$\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현지조사제도에서 일반적 억제이론에 대한 경험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General Deterrence Effects of the On-site Investigation System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원문보기

보건행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19 no.3 = no.58, 2009년, pp.109 - 124  

강희정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정책연구소) ,  홍재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정책연구소) ,  김세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정책연구소) ,  최지숙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정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cases of punishing false claimants threat general physicians to check their medical cost claims with care to avoid being suspected, and identify empirically general deterrence effects of the on-site investigation system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속적으로 진료비가 증가하는 건강보험에서 부정청구로 인한 누수를 차단하고 예방하는 것은 진료비의 효율적 지출을 위해 중요한 부분이다. 이 연구는 건강보험 재정 운영에 있어서 이러한 부분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며, 관련 정책마련과 운영에 있어서 억제기전의 활용과 관련 요인의 반영을 통한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향후, 인지된 억제력의 수준과 실제 부정청구 발생의 관련성을 평가하고 처벌 유형 등 다양한 요인들의 부정청구 예방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국내의 현지조사제도가 보다 효과적인 부정청구예방프로그램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이 연구는 전국 의과의원을 대상으로 표본 추출한 800개 의과의원을 대상으로 현지조사제도의 처벌 사례가 의사의 진료비 청구에 대한 관심과 주의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지조사제도에서 일반적 억제이론이 작용하는 기전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으로서 현지조사제도의 부정청구 예방효과를 확대시키기 위한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이 문항들은 적발과 처벌의 가능성에 대한 개별적인 인지도를 확인하는 것이었다(기광도, 2004). 이 연구에서는 진료비 청구에 있어서 현지조사를 의식하여 적발과 처벌의 위험을 피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는지까지 확인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억제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인지된 억제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문항은 “(1)현지조사제도 인지 후 불편한 감정을 느꼈는지, (2)현지조사제도 때문에 진료비 청구를 점검했는지, (3) 점검한 사항을 시정조치 했는지, (4) 현지조사제도가 진료비 청구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였으며 그렇다고 답변한 경우만 1점으로 하고 4문항의 값을 합산하여 척도를 구성하였다.
  • 이 연구의 분석단위는 의원이며, 주요 분석은 의원의 일반적 특성과 진료경험을 통제했을 때 인지 관련 특성과 종속변수인 인지된 억제력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 인지된 억제력 수준에 따라 의원의 일반적 특성, 진료경험 특성, 현지조사 인지 관련 특성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표 1). 인지된 억제력이 높은 군(3점이상)은 203곳으로 25.

가설 설정

  • 둘째, 의료공급자의 인지적 측면에서 접근한 것이다. 형사처벌시스템(the criminal justice system)에서 최근의 억제이론 연구들은 국가의 형벌이 그 자체로 범죄억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처벌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하는 인지된 억제력에 영향을 미치고, 인지된 억제력이 범죄행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Jensen, 1969; Waldo et al.
  • 억제이론(Deterrence Theory)은 18세기에 전개된 고전학파의 범죄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국가의 형벌을 통해 범죄를 통제하는 처벌의 억제효과(deterrence effect of punishment)에 초점을 두고 있다. 억제이론은 인간은 합리적이므로 부정행위로 얻는 이익과 적발로 인한 처벌의 위험을 비교했을 때, 적발과 처벌의 위험이 크다면 잠재적 부정행위를 포기 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개별적 수준에서 인지하는 처벌에 대한 두려움은 ‘인지된 억제력(perceived deterrence)'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인지된 억제력은 개인의 특성과 경험에 따라 그 수준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Relman, 1983; Hyman, 2001; Wynia et al.
  • 인지 관련 특성 정보는 면접조사를 통해 얻었으며, 지식(3점미만, 3점이상), 인지기간(1년이하, 1년초과3년이하, 3년초과5년이하, 5년초과10년이하, 10년초과 15년이하, 15년초과), 정보교류빈도(2-3개월에 한번 이상, 연간1-2회, 없음), 주정보원(주변기관/지인, 의사회/소속단체, 기타), 알고 있는 현지조사 받은 요양기관수(없음, 1-2개, 3개 이상)가 포함된다. 인지 관련 특성은 현지조사에 대한 지식, 처벌 사례에 대한 정보, 인지기간, 가까운 지인으로부터의 정보 획득, 간접적 사례 경험 등이 많을수록 인지된 억제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가정 하에 조사되었다(Stanton, 2001). 측정된 값들은 균등한 분포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크기 간에 관련성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임의로 범주화 하였다.
  • 종합관리제도는 기관별로 진료행태를 평가하여 중재그룹에 해당된 기관에 대해서는 상담과 교육 등 중재활동을 통해 자율적인 개선을 유도하는 제도이다. 종합관리제의 경험이 있는 공급자는 중재기간 동안 심평원으로부터 관련된 진료정보와 심사 및 사후관리에 대한 정보를 얻기 때문에 현지조사의 위험에 더 민감하게 반응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경험유무를 이분변수로 범주화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개설기간 정보는 심평원이 보유하고 있는 요양기관 현황자료에서 조사시점 이전까지 확인된 가장 최근의 정보를 사용하였고 월평균건강보험진료비청구액과 심사조정률은 조사시점 이전 일 년간 건강보험 청구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지조사제도를 통해 기대되는 부정청구 예방효과는 무엇에 근거를 두는가? 현지조사제도를 통해 기대되는 부정청구 예방효과는 잠재적 부정청구자라고 할 수 있는 일반 의료공급자들이 처벌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함으로써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부정청구의 동기를 차단한다는 일반적 억제이론(general deterrence model)에 근거를 두고 있다(Hupert et al., 1996; Derrig et al.
억제이론은 무엇에 뿌리를 두며, 어떤 점에 초점을 두고 있는가? , 2002; Grepperud, 2007). 억제이론(Deterrence Theory)은 18세기에 전개된 고전학파의 범죄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국가의 형벌을 통해 범죄를 통제하는 처벌의 억제효과(deterrence effect of punishment)에 초점을 두고 있다. 억제이론은 인간은 합리적이므로 부정행위로 얻는 이익과 적발로 인한 처벌의 위험을 비교했을 때, 적발과 처벌의 위험이 크다면 잠재적 부정행위를 포기 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부정청구가 의료비 증가의 심각한 원인이라 지목받음으로써 어떠한 필요성이 제기되는가? 최근까지 가입자와 전문가들 모두 부정청구가 의료비 증가의 심각한 원인이라고 믿고 있다(Kalb, 1999). 향후 의료비의 지속적인 증가가 예측되는 상황에서 공적건강보험을 운영하는 국가들은 의료비 지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부정청구 처벌제도에 대한 강한 지지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Hyman, 2001). 따라서 건강보험 부정청구 처벌제도인 현지조사제도에서 억제이론의 기전을 검증하고 관련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향후 현지조사제도 운영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제도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경험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기광도. 법위반에 대한 처벌의 억제효과분석: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형사정책 2004;16(2):9-34 

  2. 이성식. 경찰순찰활동의 범죄예방효과에 관한 경험적 연구: 대구지역 조사를 중심으로. 형사정책 2001;13(1):165-190 

  3. 이성식.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범죄 두려움.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000;10:133-159 

  4. 이성식. 청소년 사이버비행의 동기, 기회와 통제요인을 통한 모형의 구성과 검증. 정보화정책 2007;14(3):3~15 

  5. 이황후. 경찰의 범죄예방활동. 형사정책 연구 1994;19:47-80 

  6. Ahn HS. The effect of hospital, department and physician factors on hospital resource use. Korean J.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1997;7(1):125-154 

  7. Blumstein JF. Rationalizing the fraud and abuse statute. Health Aff (Millwood). 1996 Winter;15(4):118-28 

  8. Brennan TA. Practice guidelines and malpractie litigation:collision or cohesion? J. Hlth. Pol. Policy law 1991;16:67 

  9. Baker R. Learning from complaints babout general practitioners. British Medical Journal 1999;318:1567-1568 

  10. Bodenheimer TS, Gruumbach K. Understanding Health policy: A clinical approach. Third edition Lange Medical Books/Mcgreaw-Hill Medical Publishing Division .2000:84-88 

  11. Derrig RA, Zicko V. Prosecuting Insurance F명-A Case srudy of the Massachusetts Experience in the 1990s. Risk Mangement and Insurance Review 2002;5(2):11-104 

  12. Eisenberg JM. "Physician utilization the state of research about physician's pracice patterns Medical care 1985;23(5);461-483 

  13. Eldevik M. Health care workers personal ezperiences-administrative sanctions. A survery:Jauary-April 2000. The Norwegian Ministry of Health.(In Norgwegian:Helsepersonallets personlige opplevelser og erfaringer ved? motta en adcinistrativ reaksjon. Rapport fra intervju-undersokelse Januare-April 2000. Sosial og Helsedepartmentet.) 

  14. Garoupa N, Gomez-Pomar. Punish once or punish twice: A theory of the use of criminal sanctions in Addition to Regulatory penalties, Dcussion paper 308, Harvard Low School, Cambrige, Mass 2000 

  15. Grepperud, S. Optimal Prevention when Informal Penalties Matter: The Case of Medical Errors. The B.E. Journal of Economic Analysis & Policy: 2007;7(1):1-28 

  16. Horwitz J, Brennan TA. No-fault compensation for medical injury: a case study. Health Aff (Millwood). 1995 Winter;14(4):164-79 

  17. Hupert N, Lawthers AG, Brennan TA, Peterson LM. Processing the tort deterrent signal: a qualitative study. Soc Sci Med. 1996 Jul;43(1):1-11 

  18. Hyman DA. Health care fraud and abuse: market change, social norms, and the trust "reposed on the workmen". J Legal Stud. 2001 Jun;30(2):531-67 

  19. Jain A, Ogden J. General practitioners'experiences of patients'complaints:qualitative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1999;318:1596-1599 

  20. Jensen GF. crime doesn't Pay: Correlates of a shared Misunderstanding. Social Problems 1969;17:189-201 

  21. Kalb PE. Health care fraud and abuse. JAMA 1999;282(12):1163-1168 

  22. Krause JH. Healthcare fraud and quality of care: a patient-centered approach. J Health Law. 2004 Spring;37(2):161-95 

  23. Manchikanti L. Implications of Fraud and Abuse in Interventional Pain management. Pain Physician 2002;5(3):1-18 

  24. Nagin DS. Deterrence and incapitation in Torny M, The Handbook of crime and punishm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8;346 

  25. Relman A. The future of medical practice. Health Aff (Millwood). 1983 Summer;2(2):5-19 

  26. Silberman M. Toward a Theory of general and specific deterrenc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1993;30:123-135 

  27. Stanton TH. Fraud-and-abuse enforcement in Medicare: finding middle ground. Health Aff (Millwood). 2001 Jul-Aug;20(4):28-42 

  28. Schwartz WB, Mendelson DN. Eliminating waste and inefficiency can do little to contain costs. Health Aff (Millwood). 1994 Spring;13(1):224-38 

  29.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d The Department of Justice Health Care. Fraud and Abuse Control Program Annual Report for FY 2005. 2006.8 

  30. US Department of Justice. Health Care Fraud Report:Fiscal Years 1995-1996. Washington, DC: US Dept of Justice;1996 

  31. US General Accounting Office. Health Insurance: Vulnerable payors lose Billions to Fraud and Abuse. Washington, DC: US General Accounting Office;1992 

  32. Waldo GP, Chiricos TG. Perceived penal sanction and self reported criminality: A Neglected Approach to Deterrence Research. Social Problems 1972;19:522-540 

  33. Wynia MK, Cummins DS, VanGeest JB, Wilson IB. Physician manipulation of reimbursement rules for patients: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JAMA. 2000 Apr 12;283(14):1858-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