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전시간에 따른 커피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
Influence of Roasting Time on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offee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5 no.4, 2009년, pp.496 - 505  

김지영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영숙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fluence of roasting time on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ethanol and water coffee extracts was investigated. Extract yield differed with roasting time. The maximum yield of methanol extract was 20.02% and 24.00% at respective roasting times of 12 and 20 min. The maximum yield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배전시간에 따라 커피에 함유된 성분의 조성이 변하면서 메탄올과 물에 추출되는 특정 성분 및 그 양이 변하였고, 각 시료의 항균 효과와 항산화력은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커피 가공 공정 중 하나인 배전시간의 조절로 커피의 항균효과와 항산화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에 배전시간에 따른 구체적인 성분의 변화에 대한 연구와 항균효과 및 항산화력을 포함한 특정 생리활성기능을 연관 지어 연구를 진행한다면 기존의 기호 음료로서의 커피에서 특정 생리활성성분이 강화된 기능성 음료로서의 커피로 발전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배전시간을 달리한 커피 추출물에서의 항균효과와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커피를 메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식중독균 3종, 충치균 2종, 구취균 2종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배전시간에 따른 메탄올 추출 수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물 추출 수율에 비해 비교적 높았으며, 물 추출 수율은 배전시간에 따라 시그모이드 곡선(sigmoid curve) 형태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피 생두의 주요 구성성분은? 이러한 커피는 쓴맛, 신맛, 단맛, 떫은 맛 등으로 다양하게 조화 되어 만들어지는 기호 음료로서 9세기경부터 에티오피아에서 재배되기 시작한 이래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1년에 6억잔이나 소비되며, 석유 다음으로 교역량이 많은 상품 가치가 높은 음료이다(Smith AW 1985, Schilter B 등 2001). 커피 원료인 커피 생두의 주요 구성성분은 생산지, 품종, 재배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10~13%의 수분, 37~60%의 탄수화물, 9~18%의 지방질, 11~13%의 단백질, 3.0~4.5%의 무기질, 0.9~2.4%의 카페인과 5.5~10%의 클로르제닉산(chlorogenic acid)으로 구성 되어 있다(Sivetz M 1963, Moon JW 1999). 그러나 이러한 구성성분은 배합, 배전, 분쇄, 추출 등의 공정을 거치게 되면서, 복합적인 물리, 화학적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Clarke RJ 1987).
커피란? 그 중 향기와 맛이 좋아 최고의 품질로 인정 받고 있는 아라비카종은 에티오피아 원산으로서 해발 500~1,000 m 의 높은 지대와 15~25℃의 온도에서 잘 자라고, 브라질․ 콜롬비아․멕시코․과테말라․에티오피아 등지에서 생산 되며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75%를 차지한다(Smith AW 1985, Belachew M 2003, Seo HS 2006). 이러한 커피는 쓴맛, 신맛, 단맛, 떫은 맛 등으로 다양하게 조화 되어 만들어지는 기호 음료로서 9세기경부터 에티오피아에서 재배되기 시작한 이래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1년에 6억잔이나 소비되며, 석유 다음으로 교역량이 많은 상품 가치가 높은 음료이다(Smith AW 1985, Schilter B 등 2001). 커피 원료인 커피 생두의 주요 구성성분은 생산지, 품종, 재배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10~13%의 수분, 37~60%의 탄수화물, 9~18%의 지방질, 11~13%의 단백질, 3.
배전시간을 달리한 커피 추출물에서의 항균효과와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추출 수율의 변화는? 본 연구에서는 배전시간을 달리한 커피 추출물에서의 항균효과와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커피를 메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식중독균 3종, 충치균 2종, 구취균 2종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배전시간에 따른 메탄올 추출 수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물 추출 수율에 비해 비교적 높았으며, 물 추출 수율은 배전시간에 따라 시그모이드 곡선(sigmoid curve) 형태를 나타내었다. 커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 효과를 측정한 결과 메탄올 추출물은 7종의 균주 중 6종의 균주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물 추출물은 7종의 균주 중 5종의 균주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비교적 약한 항균효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Abbott RD, Webster Ross G, White LR, Sanderson WT, Burchfiel CM, Kashon M, Sharp DS, Masaki KH, Curb JD, Petrovitch H. 2003. Environmental, life-style, and physical precursors of clinical Parkinson's disease: recent findings from the Honolulu-Asia Aging Study. J Neurol 250(3):III30-III39 

  3. Baranowski JD, Nagel CW. 1982. Inhibition of Pseudomonas fluorescens by hydroxycinnamic acids and their alkyl esters. J Food Sci 47(5):1587-1589 

  4. Belachew M. 2003. Coffee. in von Uhlig, Siegbert, ed., Encyclopaedia Aethiopica. Weissbaden. Horrowitz. pp 763 

  5. Buchanan RL, Fletcher AM. 1978. Methylxanthine inhibition of aflatoxin production. J Food Sci 43(2):654-655 

  6. Burt S. 2004. Essential oils: Their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in foods-A review. Int J Food Microbiol 94(3):223-253 

  7. Chu YH, Chang CL, Hsu HF. 2000. Flavonoid content of several vegetabl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Sci Food Agric 80(5):561-566 

  8. Clarke RJ. 1987. Roasting and grinding. In R. J. Clarke & R. Macrae (Eds.), Coffee: Technology (Vol. 2, pp 73-107). London:Elsevier Applied Science 

  9. Conner DE, Beuchat LR. 1984. Effect of essencial oil from plants on growth of spoilage yeast. J Food Sci 49(2):429 

  10. Crozier A, Lean ME, Mcdonald MS, Black C. 1997.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avonoid content of commercial tomatoes, onions, lettuce and celery. J Agric Food Chem 45(3):590-595 

  11. Daglia M, Papetti A, Grisoli P, Aceti C, Spini V, Dacarro C, Gazzani G. 2007.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Roasted Coffee Antibacterial Compounds. J Agric Food Chem 55(25):10208-10213 

  12. Dogazaki C, Shindo T, Furuhata K, Furuyama M. 2002. Identification of chemical antibacterial components against Legionella pneumophila in a coffee beverage. J Pharm Soc Jpn 122(7):487-494 

  13. Garrote G, Cruz JM, Moure A, Dominguez H, Parajo JC.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byproducts from the hydrolytic processing of selected lignocellulosic materials. Trends Food Sci Technol 15(3-4):191-200 

  14. Herald PJ, Davidson PM. 1983. Antibacterial activity of selected hydroxycinnamic acids. J Food Sci 48(4):1378-1379 

  15. Heuser I. 2003. Prevention of dementias: state of the art. Dtsch Med Wochenschr 128(9):421-422 

  16. Ibrahim SA, Salameh MM, Phetsomphou S, Yang H, Seo CW. 2006. Application of caffeine, 1,3,7-trimethylxantine to control Escherichia coli O157:H7. Food Chem 99(4):645-650 

  17. Karakaya S, El SN, Tas AA.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food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Int J Food Sci Nutr 52(6):501-508 

  18. Kim KJ, Park SK. 2006. Changes in Major Chemical Constituents of Green Coffee Beans during the Roasting. Korea J Food Sci Technol 38(2):153-158 

  19. Lindsay J, Laurin D, Verreault R, Hebert R, Helliwell B, Hill GB, McDowell I. 2002. Risk factors for Alzheimer's disease: a prospective analysis from the Canadian Study of Health and Aging. Am J Epidemiol 156(5):445-453 

  20. Macrae R. 1985. Nitrogenous compounds. 115-152. In: Coffee Chemistry. Clarke RJ, Macrae R (eds).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Barking, UK. 

  21. Moon JW. 1999. Changes in Flavor Characteristics and Shelf -life of Roasted Coffee in Different Packaging Condition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2):441-447 

  22. Morton C, Klatsky AL, Udaltsova N. 2004. Smoking, coffee, and pancreatitis. Am J Gastroenterol 99(4):731-738 

  23. Nakanishi N, Nakamura K, Nakajima K, Suzuki K, Tatara K. 2000. Coffee consumption and decreased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a study of middle-aged Japanese men. Eur J Epidemiol 16(5):419-423 

  24. Namba T, Matsuse T. 2002. A historical study of coffee in Japanese and Asian countries: focusing the medicinal uses in Asian traditional medicines. Yakushigaku Zasshi 37(1):65-75 

  25. Nartowicz VB, Buchanan RL, Segall S. 1979. Aflatoxin production in regular and decaffeinated coffee beans. J Food Sci 44(2):446-448 

  26. Reineccius G. 1995. The maillard reaction and coffee flavor. ASIC 16:249-257 

  27. Rhi JW, Shin HS. 199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tioxidant Fractions Extracted from Freeze - Dried Coffee by Various Solv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3):220-224 

  28. Rhi JW, Shin HS. 1996. Antioxidative Effect of Brown Materials Extracted from Roasted Coffee Be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1):109-116 

  29. Sabate. 2003. Caffeine, postmenopausal estrogen, and risk of Parkinson's disease. J Neurology 60(5):790-795 

  30. Salazar ME, Willett WC, Ascherio A, Manson JE, Leitzmann MF, Stampfer MJ, Hu FB. 2004. Coffee consumption and risk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Ann Intern Med 140:1-8 

  31. Schilter B, Cavin C, Tritscher A, constable A. 2001. Coffee Recent Developments. Blackwell Science KK:165-166 

  32. Schwartz J, Weiss ST. 1992. Caffeine intake and asthma symptoms. Ann Epidemiol 2:627-635 

  33. Seo HS, Kang HJ, Jung EH, Hwang IK. 2006. Application of GC-SAW(Surface Acoustic Wave) Electrinic Nose Classification of Origins and Blended Commercial Brands in Roasted Ground Coffee Bea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3):299-306 

  34. Shin SM, Park JY, Hahn YS. 2005. Antimicrobial effect of Kimchi ingredients of methanol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1):53-63 

  35. Shin YS, Lee JE, Yeon IK, Do HW, Cheung JD, Kang CK, Choi SY, Youn SJ, Cho JG, Kwoen DJ.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 with Water and Ethanol of Oriental Melon (CucumismeloL.varmakuwaMakino).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3):194-199 

  36. Sikkema J, De Bont JAM, Poolman B. 1995. Mechanism of membrane toxicity of hydrocarbons. Microbiol ReV 59(2):201-222 

  37. Sivetz M. 1963. Aromatization-properties-brewing-decaffeinationplant design. In "Coffee Processing Technology," Vol. 2, Avi Publishing Company, Westport, CT. 

  38. Smith, A. W. 1985. Introduction. In Co$ee: Chemistry (Vol. l), eds R. J. Clarke & R. Macrae.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Ltd. London. UK. pp. 141 

  39. Viani R, Horman I. 1974. Thermal behavior of trigonelline. J Food Sci 39(6):1216-1217 

  40. Walsh SE, Maillard JY, Russel AD, Catrenich CE, Charbonneau DL, Bartolo RG. 2003. Activity and mechanisms of action of selected biocidal agents on Gram-positive and-negative bacteria. J Appl Microbiol 94(2):240-247 

  41. Yukawa GS, Mune M, Otani H, Tone Y, Liang XM, Iwahashi H, Sakamoto W. 2004. Effects of coffee consumption on oxidative susceptibility of low-density lipoproteins and serum lipid levels in humans. Biochemistry 69(1):70-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