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added mulberry fruit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The chemical composition as a whole was 10.23% moisture, 8.03% crude protein, 5.40% crude fat, 2.51% crude ash, and 6.98% crude fib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과 기능성이 있는 오디 열매를 경제적인 실용화와 조리적용을 위해 오디가루를 첨가하여 절편을 제조하였으며, 오디가루의 첨가 비율이 오디절편의 수분함량, 색도, 텍스쳐 특성, 관능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오디절편을 20°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에 따른 기계적 품질특성과 관능검사를 통하여 기호도를 알아보고 오디절편에 적합한 오디가루 첨가 비율과 제조의 최적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의보감 탕액편에 의하면 까만 오디의 효능은? 오디(桑椹子)는 뽕나무 열매로서 한방에서 상심(桑椹), 상실(桑實), 오심(烏椹), 흑심(黑椹) 등으로 지칭되며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뽕나무(Morus alba L)의 성숙한 과실이다(강경수 1999). 동의보감 탕액편에는 ‘까만 오디는 뽕나무의 정령이 모여 있는 것이며, 당뇨병에 좋고 오장에 이로우며 오래 먹으면 배고픔을 잊게 해준다’고 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한다’ ‘오디를 오래 먹으면 백발이 검게 변하고 노화를 방지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Heo J 1993). 오디는 다량의 glucose와 fructose를 함유하고 있으며 oxalic acid와 citric acid를 함유하고 있으며 영양성분은 일반 과실에 비해 대체적으로 높고, 특히 Ca, K, vitamin C의 함량은 후지 사과에 비해 각각 14배, 2배, 18배 높다고 하였으며 vitamin C는 감귤보다 1.
오디란 무엇인가? 오디(桑椹子)는 뽕나무 열매로서 한방에서 상심(桑椹), 상실(桑實), 오심(烏椹), 흑심(黑椹) 등으로 지칭되며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뽕나무(Morus alba L)의 성숙한 과실이다(강경수 1999). 동의보감 탕액편에는 ‘까만 오디는 뽕나무의 정령이 모여 있는 것이며, 당뇨병에 좋고 오장에 이로우며 오래 먹으면 배고픔을 잊게 해준다’고 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한다’ ‘오디를 오래 먹으면 백발이 검게 변하고 노화를 방지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Heo J 1993).
오디절편에 적합한 오디가루 첨가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오디가루를 첨가하여 절편을 제조할 경우 적당한 단맛과 부드러운 정도, 씹힘성을 강하게, 절편의 촉촉함을 느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된 오디가루를 4%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제조 방법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경수. 1999. 본초학. 오디항. 영림출판사 

  2. 김상순. 1985. 한국 전통 식품의 과학적 고찰. 숙명여대 출판부. 서울. p 331 

  3. 김우정, 구경형. 2001. 식품관능검사법. 효일출판사. 서울. pp 74-94 

  4. 이효지. 1988. 조선시대 떡류의 분석적 고찰. 한국음식문화연구회논총. 1:45-113 

  5. 윤서석. 1990. 한국음식(역사와 조리). 수학사. 서울. pp 11, 317 

  6.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ington, DC, pp 777-784 

  7. Cha JY, Kim HJ, Chung CH, Cho Y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6):1310-1315 

  8. Chae KY, Hong JS.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with different amounts of Job's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5):770-776 

  9. Cho MZ, Kim AJ. 2007. The manufacturing and physiological evaluation of mulberry fruit tea. Korean J Food & Nutr 20(2):173-178 

  10. Choi EH, Kim MK. 2003. Effects of different moisture addition and sugar on the quality of Nokcha-Julpyun. Korean J Food Culture 18(1):28-36 

  11. Han KY,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leaf Jeolpyu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2):1604-1611 

  12. Havesteen B. 1983. Flavonoids, a class of natural products ofhigh pharmacological potency. Biochem Pharmacol 32:1141-1145 

  13. Heo J. 1993. Donggibokam. In: Tangakpeun(III). Park IK & Cho DH(ed). Minjungsuweo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445 

  14. Hong JH, An SH, Kim MJ, Park GS, Choi SW, Rhee SJ.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Seolgidduk added with citric aci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6):777-782 

  15. Hwang SJ, Ahn JC.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containing astragalus membranaceus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4(2):266-271 

  16. Hwang SJ, Kim DH. 2006. Effects of adding bamboo leaves powder on the quality of Jeolpy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869-874 

  17. Jung GT, Ju IO, Choi DG.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e of mulberry wine. Korean J Food Preserv 12(1):90-94 

  18. Kang JH, Yoon S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lpyun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lotus loo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392-397 

  19. Kang YS, Chae KY, Hong JS. 2007.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lished rice, brown rice and black rice Jeolpyeon by the addition of astringent persimmon concentrat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1):50-61 

  20. Kim AJ, Kim MW, Woo NRY, Kim MH, Lim Y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Oddi-Pyun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mulberry fruit extrac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6):708-714 

  21. Kim AJ, Lim YH, Kim MW, Kim MH, Woo KJ. 2000. Mineral contents and preparation by adding mulberry leaves powder. Korean J Food Sci 16(4):311-315 

  22. Kim AJ, Yuh CS, Bang IS, Park HY, Lee GS. 2007. An investigation the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ddi jelly using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Food & Nutr 20(1):27-33 

  23. Kim HB, Kim AJ, Yuh CS, Chang SJ. 2003. Sensory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analysis of sherbet ice-cream with mulberry fruit. Korean J Seric Sci 45(2):85-89 

  24. Kim HB, Kim SY, Ryu KS, Lee WC, Moon JY. 2001.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Korean J Seri Sci 43(2):104-108 

  25. Kim HH, Park GS. 1998. The sensory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Julpyun and Sulgidduk in according to concentrations of green tea powder. Journal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8(4):454-461 

  26. Kim HJ, Cha JY, Choi ML, Cho YS. 2000. Antioxidative activities by water-souble extrac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2):148-152 

  27. Kim HR, Kwon YH, Kim HB, Ahn BH. 2006.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and wine with varieti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3):209-214 

  28. Kim IS, Lee JY, Rhee SJ, Youn KS, Choi SW. 2004. Preparation of minimally processed(Morus spp.) ju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321-328 

  29. Kim JG. 1995. Nutritional properties of Chol-pyon preparation by adding mugwort and pine leaves. Korean J Soc Food Sci 15(1):50-54 

  30. Kim MH, Park MW, Park YK, Jang MS. 1994. Effect of addition of Surichwi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richwijulpyun. Korean J Soc 10(2):94-98 

  31. Kim MW, Kim AJ.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wine by two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s. Korean J Food & Nutr 20(3):276-281 

  32. Kim SY, Park KJ, Lee WC. 1998. Anti 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 Med Crop Sci 6(3):204-209 

  33. Kim TY, Kwon YB. 1996. A study on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 Sci 38(2):100-107 

  34. Kim YS, Jeong DY, Shin DH. 2008.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hchnol 40(1):63-69 

  35. Lee HS, Jang MS. 2005.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of Julpyun affected by Chungmirae(Smilax china L.)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4):482-489 

  36. Lee JH, Woo KJ, Choi WS, Kim AJ, Kim MW.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arch oddi dasik added with mulberry fruit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5):629-636 

  37. Lee KH, Park JE, Jang M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un containing Baekbokryung(White poria cocos wolf) powder based on water cont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282-293 

  38. Lee MY, Kim JG.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by different rations of Lycil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6):818-823 

  39. Lee SB, Lee KH, Lee K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h pan bread with mulberry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5):805-811 

  40. Paik JK, Kim JM, Kim JG. 2005.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Jeolpyon added with buckwheat. Korean J Soc Food Culture 20(6):715-720 

  41. Sim YJ. 1994. The contents of amino acids and amylose of Ssooksulgis and Ssookjulpyuns affected by added mugworts. Korean J Food Nutr 72(2):144-150 

  42. Suh HJ, Kim YS, Kim JM, Lee H. 2006. Effect of mulberry extract on the growth of yogurt starter cultur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1):144-147 

  43. Yoon SJ, Jang MS. 2006. Characteristics of quality in Jeolpyun with different amounts of rami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5):636-641 

  44. Yu SM, Chang CM. 1996.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using mulberry fruit. Rural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