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영적간호수행에 대한 영적안녕의 예측정도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on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원문보기

종양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9 no.1, 2009년, pp.15 - 22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among nurses. Method: Participants (N=171) were recrui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7.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영적간호수행에 대한 일반적 특성과 영적안녕의 예측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을 파악하고 관계를 분석하여 간호사의 영적간호수행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된 것으로, 그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영적안녕의 영적간호수행에 대한 예측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7년9월 3일부터 11월 30일까지로, B지역에 위치한 1개 종합병원의 간호사와 I 대학의 간호학과 학사학위과정에 재학 중인 간호사 1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따라서, 대상자의 높은 영적간호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영적간호수행이 중요하므로, 우선적으로 영적간호수행과 영적안녕과의 관계를 확인함은 물론 영적간호수행과 관련된 변인을 파악하고, 이들 변인들의 영적간호수행에대한 예측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정도를 파악하고, 영적안녕 및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의 영적간호수행에 대한 예측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사들의 영적간호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oss는 간호사의 영적간호수행에 대해 어떻게 말했는가? 영적간호는 대상자가 자기 자신과 자기 문제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12), 간호사는 대상자의 영적요구와 관련한 문제를 인식할 수 있는 분별력과 영적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수행을 할 수 있어야 한다2). Ross13)는 간호사의 영적간호수행은 모든 대상자가 받아야 할 기본 권리로서, 선택사항이 아닌 의무적인 것이라고 하였다. 현재 간호 실무에서 영적 측면의 간호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지만, 총체적인 간호접근에서 대상자의 영적간호 요구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본다.
높은 수준의 영적 안녕상태를 가진 간호사가 대상자의 영적간호 요구에 민감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반응은 무엇인가? 간호사가 이러한 대상자의 영적간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간호사가 높은 영적 안녕을 유지해야 하며, 간호사가 대상자의 영적간호 요구에 민감할 때 이에 적합한 영적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14). 또한 높은 수준의 영적 안녕상태를 가진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안정된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영적건강을 가능하게 한다12).
영성이 가진 힘은 무엇인가? 인간의 신체, 마음, 영성(spirituality)이 상호 의존한다는 간호이론의 공통되는 기본적인 가정을 고려할 때, 영성에 대한 무시는 신체적, 정신적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반면 영성의 성장과 발달은 신체적, 정서적 안녕을 가져올 수 있다5). 영성은 인간의 내적 자원의 총체, 특히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삶의 중심이 되는 철학으로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역의 건강을 통합하는 힘이 될 수 있으며, 삶에 대한 의미와 가치 및 목적을 찾게 하고 자신뿐 아니라 절대자(신), 이웃 또는 환경과 의미있는 관계를 갖게 한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ung MH, Kang JH, Shon JT, Yoo SY, Lee EJ, Jung KY. Nursing process and critical thinking. Seoul:Jungmunkak;2007. 

  2. Kim MH. A stus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importance of spiritual care. Bulletin of Sunchun Chungam 1997;5:1-12. 

  3. Choi MH, Kim KH, Kim KO, Kim KS, Kim SK, Kim JS, et al. A study on needs for the aged's spiritual nursing care. Bulletin of Chung-Ang Nurse 2001;5:1-9. 

  4. No YJ, Han SS, Ahn SH, Kim CK. Hospice and death. Seoul:Hyunmoonsa;1997. 

  5. Min SY. A study on the state of spiritual health of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Seoul:Ewha Womans Univ.;1995. 

  6. Kim SH. Relationship between definition and spiritual wellbeing inpatient elderly [dissertation]. Jeonju:Chonbuk Univ.; 2001. 

  7. Yoon HK.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self-esteem,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nursing caring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Gwangju:Chosun Univ.; 2005. 

  8. Baik SH. A study on mature belief and spiritual nursing care [dissertation]. Gwangju:Honam technological Univ.;2003. 

  9. Song HS, Kim KH. A study for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spiritual needs of inpatients. Bulletin of Chung-Ang Nurse 2002;6:27-35. 

  10. Dayson J, Cobb M, Forman D. The meaning of spirituality: literature review. J Adv Nurs 1997;26:1183-8. 

  11. Bishop AH, Scudder JR. The practical, moral, and personal sense of nursing: a phenomenological philosophy of practice.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1990. 

  12. Shin SJ. A study for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dissertation]. Seoul:Chung-Ang Univ.; 2003. 

  13. Ross L. Spiritual aspects of nursing. J Adv Nurs 1994;19:439-49. 

  14. Lee EH.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dissertation]. Gongju: Kong Ju Univ.;2006. 

  15. Jung JS.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in ICU. Bulletin of Yeisu Nursing Care 1999;12:95-110. 

  16. Oh BJ.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Nurs Inquiry 1996;5:103-119. 

  17. Taylor EJ, Highfield MF, Amenta M. Predictors of oncology and hospice nurses' spiritual care perspective and practices. Appl Nurs Res 1999;12:30-7. 

  18. Stranahan S. Spiritual perception, attitudes about spiritual care, and spiritual care practices among nurse practitioners. West J Nurs Res 2001;23:90-104. 

  19. Cho YI, Lee KY.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diabetes mellitus patients.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2000;18:123-32. 

  20. Paloutzian RF, Ellison CW. Loneliness: a source book current theory, research & therapy. New York:John Wiley & Sones;1982. 

  21. Kang JH. A study on the spiritual well-being of cance patients [dissertation]. Busan:Busan National Univ.;1996. 

  22. Jung JS. A study o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perceived importance of spiritual nursing care of the christian college students. Bulletin of Yeisu Nursing Care 1994;9:23-41. 

  23. Jung SH. Effect of the nurses' spiritual nursing education on the cognition of spiritual nursing needes of patients and nursing care [dissertation]. Seoul:Yonsei Univ.;1990. 

  24. Kim MJ. Relationship among spiritual well-being, work stress and burnout of nurses in oncology unit [dissertation]. Busan: Kosin Univ.;2005. 

  25. Park, JS, Jang, HJ. A comparative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between Korean and Korean-American. J Korean Acad Adult Nurs 2003;15:411-21. 

  26. Femnsler JI, Klemm P, Miller MA. Spiritual well-being and demands of illness in people with colonrectal cancer. Cancer Nurs 1999;22:134-40. 

  27. Song MO. Effect of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on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of the hospice patients [dissertation]. Daegu:Keimyung Univ.;2002. 

  28. Isaia D, Parker V, Murrow E. Spiritual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J Gerontol Nurs 1999;25(8):15-21. 

  29. Musqrave CF, McFarlane EA. Oncology and nononcology nurses'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s toward spiritual care: a literature review. Oncol Nurs Forum 2003;30:52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