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Death Perception, Spiritual Well Being and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6, 2016년, pp.510 - 520  

양진희 (삼육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신성례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 되었다. 연구 대상은 노인요양병원 6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81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2015년 7월 16일부터 2015년 8월 1일 까지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은 평균 4.30점, 영적 안녕은 평균 3.40점,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평균 3.84점이었고,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종교, 총 임상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적 안녕은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47), 영적 안녕이 평균 평점 1단위 증가할 때마다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상'그룹에 속할 확률이 Odds비 1.702로 나타났다. 노인요양병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간호중재 개발이 요구되며, 임종간호 스트레스 감소를 통해 임종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eath perception, spiritual well-being, and terminal care stress in geriatric hospital nurses and analyze related factors affecting terminal care stress. The participants were 181 nurses working in six geriatric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onggi Pro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 임종간호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임종 간호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국내 연구에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연령, 결혼여부, 학력, 지위, 총 임상경력, 현 근무부서 경력, 임종간호 교육경험과 같은 간호사 개인의 특성 및 죽음 불안, 임종간호 태도, 정신 건강, 죽음 인식, 영적 안녕 등이 있었으나, 이는 주로 임상간호사[6,7], 암 병동 간호사[8,9], 중환자실 간호사[10,11]를 대상으로 한 연구였다. 반면 노인요양시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임종간호 태도, 죽음 인식 등이 보고된 바 있으나[12-14] 임종을 앞둔 환자들의 삶의 현실을 바라보고 의미를 평가하는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의 고충은 무엇인가? 임종간호는 죽음을 앞둔 환자와 그 가족이 인간으로서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삶의 마지막 순간을 평안하게 맞이하도록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키며 사별 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기 위한 총체적인 돌봄이다[3]. 그러나 죽음에 직면한 환자들의 간호요구가 증가되면서 현장에 있는 간호사들은 의료적 한계에 대한 부담감, 간호사에 대한 과도한 기대 등으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거나[4] 회피하는 경우도 있으며, 육체적인 피로와 함께 공포, 절망감, 무력감 등의 스트레스를 경험한다[5].
임종간호란 무엇인가? 임종간호는 죽음을 앞둔 환자와 그 가족이 인간으로서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삶의 마지막 순간을 평안하게 맞이하도록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키며 사별 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기 위한 총체적인 돌봄이다[3]. 그러나 죽음에 직면한 환자들의 간호요구가 증가되면서 현장에 있는 간호사들은 의료적 한계에 대한 부담감, 간호사에 대한 과도한 기대 등으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거나[4] 회피하는 경우도 있으며, 육체적인 피로와 함께 공포, 절망감, 무력감 등의 스트레스를 경험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tatistics Korea: Elderly statistics[internet]. Seoul: Statistics, c2013 [cited 2015 Apr 20], Available from:http://www.kosis.kr. 

  2. Statistics Korea: Status of health care resources [internet]. Seoul: Statistics, c2013[cited 2015 Apr 20], Available from: http://www.kosis.kr. 

  3. Y. J. Noh, "Hospice and death, Won-Buddhist Thought & Religious Culture, 22(1), p.613-623, 1998. 

  4. Y. H. Kim, "A Study of Nurses Burden and Attitude on Terminal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1), p.65-74, 2001. 

  5. S. Y. Kang & B. S. Lee,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7(2), p.237-251. 2001. 

  6. Y. H. Woo, K. H. Kim & K. S. Kim,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6(1), p.33-41, 2013. DOI: http://dx.doi.org/10.14475%2Fkjhpc.2013.16.1.033 

  7. S. I. Ji, H. S. You, "The Impact of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7(4), p.232-240, 2014. DOI: http://dx.doi.org/10.14475%2Fkjhpc.2014.17.4.232 

  8. Y. O. Lee, "A Study of Cancer Unit Nurses' Stress from Bereavement Support"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 2004. 

  9. J. H. Kim, "The Job Stress, Perception, and Train in Needs on the End-of-Life Care among Cancer Unit Nurses"{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 2009. 

  10. S. Y. Chung,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ICU nurse"{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13. 

  11. E. J. Kwon, "Perceptions of deaths and stress of end-of-life care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 of Busan. 2013. 

  12. H. Kim, "Attitudes toward Death and End-of-life Care among Nurses in Nursing Homes"{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 2013. 

  13. M. S. Ahn, K. J. Lee, "Awareness of Good Death and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among Geriatric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7(3), p.122-133, 2014. DOI: http://dx.doi.org/10.14475%2Fkjhpc.2014.17.3.122 

  14. J. S. Jung, "Influencing Factors of Performance on Terminal care in Term care Hospital nurses"{master's thesis}. Kwangju: Kwangju Women's Univ. 2014. 

  15. Y. Inumiya, S. Y. Han, "A Study on Development of a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0(1), p.31-82, 2004. 

  16. J. H. Kang, S. J. Han, "A Stud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6(2), p.80-89, 2013. DOI: http://dx.doi.org/10.14475%2Fkjhpc.2013.16.2.080 

  17. Y. S. Yoo, S. S. Han, J. U. Hong, S. M. Lee, M. J. Seo, & J. S. Park, "Spiritual Care and Spiritual Wellness of Hospice Team Memb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2), p.285-293, 2006. 

  18. Y. H. Lee, "Spiritual Care, The Korean nurse, 27(1), p.21-27, 1988. 

  19. Y. Inumiya, "A Study on Development of a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and Relationships among its Element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 2002. 

  20. R. F. Paloutzian, & C. W. Ellison,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LA Peplau & D. Perlman(Eds.),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John Wiley, p.135-151, 1982. 

  21. S. S. Choi, "A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ness,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urban adult"{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 1990. 

  22. H. I. Lee, H. S. Choi, "Correlation among Spiritual Health, Mental Health and Maturation of Christian Belief, Korean journal of hospice care, 3(1), p.1-11, 2003. 

  23. S. S. Noh, "A Study on Death Perception, Terminal Care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master's thesis}. Seoul: Clinical Nursing Science Sungkyunkwan Univ. 2010. 

  24. Y. J. Cho,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11. 

  25. S. S. Lim, "A Study of Spiritual Well being and the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master's thesis}. Seoul: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 Hanyang Univ. 2009. 

  26. K. O. Lee, H. J. Yoon,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steem,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Nurses Caring of Cancer Patients,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31(2), p.85-99, 2006. 

  27. J. I. Choi,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 toward Aging of Geriatric Hospital Nurse"{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 2006. 

  28. M. H. Sung,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on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9(1), p.15-22, 2009. 

  29. H. S. Kim, "End-of-Life Care Stress, Spiritual Well-Being and Burnout among Critical Care Nurses"{master's thesis}. Seoul: Clinical Nursing Science catholic Univ. of Seoul. 2014. 

  30. M. Y. Lee, "End-of-life Care Stress and Strategies of Coping and Relief among Nurses"{master's thesis}. Seoul: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 Hanyang Univ. 2012. 

  31. Y. A. Yoon,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End of life care stress"{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 2009. 

  32. J. H. Oh,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Geriatric Hospital Nurse"{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