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질환 유무에 따른 식생활 습관과 식품섭취패턴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Eating Habits and Dietary Intake Patterns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Allergy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2 no.6, 2009년, pp.523 - 535  

양승혜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진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영남 (중앙대학교 생활문화산업연구소) ,  성기승 (한국식품연구원) ,  김성수 (한국식품연구원) ,  한찬규 (한국식품연구원) ,  이복희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알레르기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식품 알레르기 빈도 및 그 원인 식품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령의 알레르기 환자 62명과 정상인 69명을 대상으로 2008년 8$\sim$9월 2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조사항목으로는 일반사항, 알레르기 환자에 대한 일반사항, 생활습관, 식습관 및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 빈도가 높은 식품에 대한 섭취 빈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사항 조사 결과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가정의 한 달 평균 수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애완동물을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 (p < 0.05),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식물을 더 많이 키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2) 알레르기 환자의 알레르기 질환양상에 대한 조사결과, 복합적인 증상과 두개 이상의 알레르기를 경험한 환자가 많았고, 알레르기 유발 요인으로는 집먼지 진드기와 식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계절과는 상관없이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가 많았다. 또한 알레르기 가족력이 있는 환자가 많았으며 (66.1%), 최선의 예방방법은 주위 환경을 깨끗이 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환자가 가장 많았다 (45.2%). 3) 생활습관 조사결과, 운동 빈도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음주 빈도는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1). 4) 식습관은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결식의 비율이 높고, 간식을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5)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 빈도가 높은 식품에 대한 섭취 빈도를 살펴보면,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 보다 계란 (p < 0.05), 돼지고기 (p < 0.001), 호두 (p < 0.05), 양파 (p < 0.05), 참치 (p < 0.05), 조개류 (p < 0.05), 키위 (p < 0.05), 인스턴트식품 (p < 0.05)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eating habits and dietary intake patterns of people with or without allergy by the survey during August-September, 2008. The 131 subjects aged 10'-50' (AG = allergy group, n = 62; NG = non-allergy group, n = 69)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레르기 환자군과 정상군의 일반 환경요인, 식생활 습관 및 식품섭취패턴을 비교 조사하여 알레르기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 또한 알레르기 환자를 다루는 데 있어서 그들의 영양섭취 실태 및 식생활 행동을 파악하여 적절한 식품을 선택하도록 교육시키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알레르기 환자군과 정상군의 일반 환경요인, 식생활 습관 및 식품섭취패턴을 비교 조사하여 어떠한 식습관 및 식품 섭취가 알레르기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알레르기 환자에 대한 식사 상담 및 영양교육과 생활습관 교육의 기초자료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질환이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주거 환경의 변화와 식습관의 서구화 및 대기오염, 공해, 합성물질의 범람 등으로 인해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질환을 앓고 있는 인구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에 있어 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1) 알레르기는 ‘체내로 침입한 외부물질에 대한 특이 반응을 나타내는 생물학적인 현상’으로 정의되고 있으며,2) 그 종류로는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 피부염, 식품 알레르기, 약물 알레르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알레르기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식품 알레르기 빈도 및 그 원인 식품을 조사한 결과는 무엇인가? 1) 일반사항 조사 결과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가정의 한 달 평균 수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애완동물을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 (p < 0.05),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식물을 더 많이 키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2) 알레르기 환자의 알레르기 질환양상에 대한 조사결과, 복합적인 증상과 두개 이상의 알레르기를 경험한 환자가 많았고, 알레르기 유발 요인으로는 집먼지 진드기와 식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계절과는 상관없이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가 많았다. 또한 알레르기 가족력이 있는 환자가 많았으며 (66.1%), 최선의 예방방법은 주위 환경을 깨끗이 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환자가 가장 많았다 (45.2%). 3) 생활습관 조사결과, 운동 빈도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음주 빈도는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1). 4) 식습관은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결식의 비율이 높고, 간식을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5)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 빈도가 높은 식품에 대한 섭취 빈도를 살펴보면,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계란 (p<0.05), 돼지고기 (p<0.001), 호두 (p<0.05), 양파 (p<0.05), 참치 (p<0.05), 조개류 (p<0.05), 키위 (p < 0.05), 인스턴트식품 (p<0.05)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란 무엇인가? 최근 주거 환경의 변화와 식습관의 서구화 및 대기오염, 공해, 합성물질의 범람 등으로 인해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질환을 앓고 있는 인구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에 있어 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1) 알레르기는 ‘체내로 침입한 외부물질에 대한 특이 반응을 나타내는 생물학적인 현상’으로 정의되고 있으며,2) 그 종류로는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 피부염, 식품 알레르기, 약물 알레르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알레르기 질환은 전 인구의 약 15~20%가 경험하고 있는 흔한 질환 중의 하나로,3-6)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 전체 건강보험 적용인구 환자 중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ona E. Mansour, Bruce P. Lanphear, Thomas G. DeWitt. Barriers to asthma care in urban children: parent perspectives. Pediatrics 2000; 106(3): 512-519 

  2. May CD. Objective clinical and laboratory studies of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s to foods in asthmatic children. J Allergy Clin Immunol 1976; 58(4): 500-515 

  3. Han JS, Hong SO, Kim JS, Han JP, Kim NS. Frequency of food allergy in Korea and the causative food aller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7; 26(1): 1-9 

  4. Sloan AE, Powers ME. A perspective on popular perceptions of adverse reactions to foods. J Allergy Clin Immunol 1986; 78(1): 127-133 

  5. Metcalfe DD. Food hypersensitivity. J Allergy Clin Immunol 1984; 73(6): 749-761 

  6. Chandra RK, Puri S, Cheema PS. Predictive value of cord blood IgE in the development of atopic disease and role of breast-feeding in its prevention. Clin Allergy 1985; 15(6): 517-522 

  7.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Korea National Health Statistic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Phase Ⅳ(first year, 2007) Result Report; 2008 

  8. Lee YJ, Choi SH, Han JS.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food allergy and food behavior in adul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3; 13(3): 167-175 

  9. Lee KW, Myung CO, Nam HW, Hong CS, Lee YC.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of allergic patients and food allergens in Korea. J Korean Dietary Culture 1996; 11(1): 123-130 

  10. Confino-Cohen R, Melamed S, Goldberg A. Debilitating beliefs, emotional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given immunotherapy for insect sting allergy. Clin Exp Allergy 2002; 29(12): 1626-1631 

  11. Kim YS, Park JW, Kim GY, Song YS, Kim CW, Park JW, Hong CS. The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and stress among healthy, allergy and other-diseases group, allergy and other-diseases groups.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1; 21(4): 647-656 

  12. Hong SJ, Lee MS, Sohn MH, Shim JY, Han YS, Park Ks, Ahn YM, Son BK, Lee HB, Korean ISAAC Study Group. Self-reported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asthma among Korean adolescents: 5-year follow-up study, 1995-2000. Clin Exp Allergy 2004; 34(10): 1556-1562 

  13. Burks AW. Childhood food allergy. Pediatr Allergy Immunol 1999; 19(2): 397-407 

  14. Sampson HA. Food allergy. part 2: diagnosis and management. J Allergy Clin Immunol 1999; 103: 981-989 

  15. Son DY, Yoon KR, Lee SI. Study of the most common allergic foods in Korea. J Korean Sci Food Technol 2002; 34(5): 885-888 

  16. Jung JY, Son JY, Hong SJ, Lee YW, Sin YS, Park JW, Hong CS. Comparison of the patient's global self-assessment scoring method with th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or sment Korean asthmatics.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8; 28(2): 134-142 

  17. Sampson HA, Mendelson L, Rosen JP. Fatal and near fatal anaphylactic reactions to foo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 Engl J Med 1992; 327(6): 380-384 

  18. Fuglsang G, Madsen C, Halken S, Jorgensen M, Ostergaard PA, Osterballe O. Adverse reactions to food additives in children with atopic symptoms. Allergy 2007; 49(1): 31-37 

  19. Warrington RJ, Patricia JS, Mcphillips S.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to artificial food additives in chronic urticaria. Clin Exp Allergy 2006; 16(6): 527-533 

  20. Choi OB. Anti-allergic effects of petasites japonic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2; 15(4): 382-385 

  21. James W. Krieger, Lin Song, Timothy K. Takaro, James Stout. Asthma and the home environment of low-income urban children: Preliminary findings from the seattle-king county healthy homes project. J Urban Health 2000; 77(1): 50-67 

  22. Caldeira RD, Bettiol H, Barbieri MA, Terra-Filho J, Garcia CA, Vianna EO.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work related asthma in young adults. Occup Environ Med 2006; 63: 694-699 

  23. Hong SA, Lee SM, Lee MY, Jung JT. A study of the dietary intake and causative foods in allergic children.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1999; 9(1): 79-92 

  24. Ahn YM, Lim SH. Comparison of the skin prick test positivity of three commercial cat fur extracts and study on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with house dust mites in cat fur extracts. Allergy 1990; 10(3): 235-242 

  25. Ahn HS, Lee MY, Lee SM, Choung JT, Hwang EM. Growth, nutrient intake and allergic manifestations of the infants with family history of allergy fed on hypoallergenic formula vs general formula. Pediatr Allergy Respir Dis 1997; 7(2): 248-264 

  26. Kim YS, Park JW, Kim GY, Song YS, Kim GY, Kim CW, Park JW, Hong CS. The comparison of lifestyle patterns between allergy and non-allergy people-food intake, exercise, smoking, alcohol intake. J Korean Community Nutr 2001; 12(1): 269-277 

  27. Kim YS, Park JW, Song YS. Seasons variation of house dust mites allergen and perceived allergic symptoms.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002; 16(1): 30-44 

  28. Kilpelanen M, Terho EO, Helenius H, Koskenvuo M. Farm environment in childhood prevents the development of allergies. Clin Exp Allergy 2000; 30(2): 201-208 

  29. Jo JA, Ahn EJ, Bae CY, Shin DH. A study on family histor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atopic diseases. J Korean Acad Fam Med 1994; 15(8): 525-534 

  30. Cole JC, Own DR, Havstad SL, Perterson EL. Family history, dust mite exposure in early childhood, and risk pediatric atopy and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04; 114(1): 105-110 

  31. Min KU, Kim SH. Recommendations for the prevention of allergic diseases in Korea.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1999; 19(5): 637-643 

  32. Altman DR, Chiaramonte LT. Public perception of food allergy. Environ Toxicol Pharmacol 1997; 4(1-2): 95-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