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과 정의적.인지적 특성에 미치는 중.장기적 효과
Effects of Universit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on the Science Problem-Finding Ability and Cognitive-Affective Factors of Science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19 no.2, 2009년, pp.279 - 302  

안도희 (중앙대학교) ,  한기순 (인천대학교) ,  김명숙 (성균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과학영재들의 정의적 인지적 특성과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여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과학영재 고등학생(경험 집단) 69명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교육 경험이 전혀 없는 과학고등학교 학생(비경험 집단) 91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과학 관련 검사도구는 과학문제발견력, 과학 불안도 및 과학태도이며, 학업관련 정의적 특성 검사도구는 자기효능감, 내적 동기 및 시험불안이며, 인지적 특성 검사도구는 인지전략 및 자기조절이다. 과학영재들의 과거와 현재의 과학 관련 특성과 정의적 인지적 특성의 집단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기조절 요인에서만 비경험 집단이 경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유무에 따른 과거와 현재의 이들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과학 불안도, 자기효능감 요인이 과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시험불안 요인은 과거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비경험 집단의 경우, 내적 동기, 인지전략 및 자기조절 요인이 과거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과학문제발견력은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결과, 경험 집단의 경우, 과학 불안도의 '특성' 요인만이 과학문제발견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경험 집단의 경우, 과학 불안도의 '특성' 요인과 과학태도의 '의미' 요인이 과학문제발견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niversit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o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ce problem finding ability and cognitive-affective factors. For this study, 69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ith previous Silted education experiences at the universit...

Keyword

참고문헌 (33)

  1. 강현아, 조규성, 김자홍, 이국행, 이정원, 강금자, 정덕호(2007). 과학영재아와 일반아 

  2. 과학기술부 (2007) 과학영재 발굴 육성 종합계획 (2008-2012) 수정안 

  3. 김경대, 심재영 (2008).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랩 효 

  4. 김미숙, 이회현, 엄청묵 (2008). 시도교육청과 대학의 영재교육기관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8-34 

  5. 김범기 (1993). 학생들의 과학교과 불안도와 학습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41-358 

  6. 문병상 (2000). 영재와 평재간의 학업적 자기조절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14(1), 181-197 

  7. 서혜애, 정현철 (2008).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영재교육연구, 18(2), 313-341 

  8. 심규철, 소금현, 이현욱, 장남기 (1999). 중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4), 368-375 

  9. 이수진, 배진호, 김은진 (2007) 초둥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 

  10. 정현철. 윤초희, 허남영 (2005). 과학영재의 자율연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전략 탐색 및 교수 ${\cdot}$ 학습모형 개발연구(수탁연구 CR 2005-37). 서울:한국교육개발원 

  11. 채창균, 이재경 (2009) 특목고와 사교육. 한국교육고용패널 제 4차 학술대회 논문집, 제 9주제: 특목고 1-12 

  12. 현주, 이재분, 이혜영 (2003)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 분석 연구(연구보고 RR 2003-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3. Covington, M. V., & Dray, E. (2001). The deve10pmental course of achievement motivation: A need-based approach. In A. Wigfield, & J. S. Eccles (Eds.).Develop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pp. 33-56). CA: Academic Press 

  14. Dai, D. Y., Moon, S. M., & Feldhusen, J. F. (1998). Achievement motivation and giftedstudents: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33(2/3), 45-63 

  15. Fraser, B. J. (1981). TOSRA: Test 01 science-related attitudes. Victoria: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16. Freeman, J., & Josepsson, B. (2002). A gifted programme in Iceland and its effects.High Ability Studies, 13(1), 35-46 

  17. Greene, J. A., Moos, D. C., Azevedo, R., & Winters, F. I. (2008). Exploring differencesbetween gifted and grade-level students‘use of self-regulatory learning processeswith hypermedia. Computers & Education, 50(3), 1069-1083 

  18. Hany, E. A., & Grosch, C. (2007). Long-term effects of enrichment summer courses onthe academic performance of gifted adolescents, Educational Research andEvaluation, 13(6), 521-537 

  19. Leung, S. A., Conoley, C. W., & Scheel, M. J. (1994). The career and educationalaspirations of gifted high school students: A retrospective study.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2(3), 298-303 

  20. Lupkowski, A. E., & Schumacker, R. E. (1991). Mathematics anxiety among talentedstud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6), 563-572 

  21. Munby, H. (1983). An investiga into the measurement of attitudes in science education. Columbus, OH: Ohio State University. (ERIC Document Reproductionservice No. ED237347) 

  22. Neber, H‘ & Heller, K. A. (2002). Evaluation of a summer-school program for highlygifted secondary-school students: The German pupils academy.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18(3), 214-228 

  23. Pajares, F. (1996). Self-efficacy be!iefs and mathematical problem-solving of giftedstudent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1(4), 325-344 

  24. Peterson, J., Duncan, N., & Canady, K. (2009). A longitudinal study of negative lifeevents, stress, and school experiences of gifted youth, Gifted Child Quarterly,53(1), 34-49 

  25. Peterson, J. S., & Ray, K. E. (2006). Bullying and the gifted: Victims, perpetrators,prevalence, and effects. Gifted Child Quarterly, 50(2), 148-168 

  26. Peterson, J. S., & Rischar, H. (2000). Gifted and Gay: A study of the adolescentexperience. Gified Child Quarterly, 44(4), 231-246 

  27.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82(1), 33-40 

  28. Rindermann, H., & Heller, K. A. (2005). The benefit of gifted classes and talent schoolsfor developing students'competences and enhancing academic self-concept.Germ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3), 133-136 

  29. Rinn, A. N. (2006). Effects of a summer program on the social self-concepts of giftedadolescents.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7(2), 65-75 

  30. Tsui, 1. M., & Mazzocco, M. M. M. (2007). Effects of math anxiety and perfectionismon timed versus untimed math testing in mathematically gifted sixth graders.Roeper Review, 29(2), 132-139 

  31. Watkins, D. (2001). Correlates of approaches to leaming: A cross-cultural meta-analysis.In R. Stemberg & 1. Zhang (Eds.). Perspectives on thinking, learning, andcognitive sηles (pp. 165-195). NJ: Lawrence Erlbaum 

  32. Zeidner, M., & Schleyer, E. J. (1999a). Evaluating the effects of full-time vs part-timeeducational programs for the gifted: Affective outcomes and policy considerations.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4), 4l3-427 

  33. Zeidner, M., & Schleyer, E. J. (1999b). Test anxiety in intellectually gifted schoolstudents. Anxien, Stress, & Coping, 12(2), 163-18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