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핵물리 연구 참여 경험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탐구과정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in nuclear physics research on their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process and career plann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9 no.5, 2009년, pp.541 - 551  

이인선 (이화여자대학교) ,  최경희 (이화여자대학교) ,  한인식 (이화여자대학교) ,  김선화 (순천향대학교) ,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6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30주간 핵물리 관련 URP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이러한 경험이 그들의 과학 지식 및 과학 탐구 과정, 과학자에 대한 인식, 그리고 그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참여 학생들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 실험과정 및 토의과정에의 참여 관찰 및 필드노트, 개별 심층 면담 및 그룹면담, 연구일지 등이 주요 자료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학생들은 과학이론이 생성되기까지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성들, 즉 계속적인 반복의 과정으로 시간과 인내를 요구하며, 창의성과 공동 연구의 중요성 등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전형적인 과학자의 이미지에 대해 다소 변화된 부분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URP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물리학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됨과 동시에 물리학에 대한 자신의 적성을 확인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in nuclear physics research on their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process and career planning. The thirty-week URP (Undergraduate Research Participation) program was designed with the participation of six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탐구는 과학교육에서 어떤 역할을 해왔는가? 과학적 탐구는 자연 세계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그 현상에 관하여 탐색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그동안 과학교육의 주요 목표로서 강조되어왔다. 우리나라 2007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목표에도 자연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교육인적자원부, 2007),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National Science Curriculum Standard)에서도 탐구로서의 과학을 중요 요소 중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NRC, 1996).
URP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 1996; Lopatto, 2004; Kardash, 2000; Ryder & Leach, 1999). Chopin(2002)은 학생들이 URP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전문 지식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동기, 의사소통 기술, 문제 해결 능력 등에 있어 향상을 보인다고 하였으며, 과학자의 길로 진로를 결정하는 비율도 높아졌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Crawford et al.
실제 교육 현장에서 과학적 탐구 중심으로 진행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과학적 탐구를 중심하는 수업이 그다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여러 가지 요인 중 하나는 탐구중심의 과학수업을 계획하고 안내하며 학습을 촉진해야 할 과학교사들의 대부분이 과학자들이 수행하는 연구 과정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어 탐구의 본질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데 있다(Gott & Duggan, 1995; Hodson,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교육인적자원부 

  2. 양일호, 조현준, 한인경 (2006). 초등과학교육에서 실험활동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1), 235-252 

  3. 조미헌, 이용학 (1994). 인지적 도제 방법을 반영한교수설계의 기본 방향. 교육공학연구, 9(1), 147-161 

  4. 조영남 (1998). 구성주의 교수-학습.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 12, 93-122 

  5.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mproving science teachers’ 

  6. Akerson, V. L.,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nfluence of a 

  7. Braben, D. (1994). To be a scientis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8. Charmaz, K.(2000). Grounded theory: Objectivist and constructivist methods. I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pp.509-535). Thousand Oaks, CA : Sage Publications 

  9. Chopin, S. F. (2002). Undergraduate research experiences: The translation of science education from reading to doing. Education Note, The Anatomical record(New Anat.), 269, 3-10 

  10. Clancey, W. J. (1992). Representations of knowing: In defense of cognitive apprenticeship.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3,139-168 

  11. Clancey, W. J. (1997) Situation cognition: On human knowledge and computer representation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Collins, A., Brown, J. S., & Newman, S. (1989). Cognitive apprenticeship: Teaching the craft of reading, writing, and mathematics. New Jersey: Lawrence Erlabuam Associates 

  13. Crawford, I., Suarez-Balcazar, Y., Figert, A., Nyden, P., & Reich, J. (1996). The use of research participation for mentoring prospective minority graduate students. Teaching sociology, 24(3), 256-263 

  14. Driver, R., Leach, J., Millar, J. R., & Scott, P. (1996). Young people’s images of science.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15. Germann, P. J., Aram, R. A., & Burke, G. (1996). Identifying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sponses of seventh-grade students to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designing experi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79-99 

  16. Gott, R. & Duggan, S. (1995). Investigation work in the science curriculum,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17. Hodson, D.(1990). A critical look at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0(256), 33-40 

  18. Kardash, C. (2000). Evaluation of an undergraduate research experience: Perceptions of undergraduate interns and their faculty mentors. Evaluation, 92(1), 191-201 

  19. Kirshner, D., & Whitson, J. A. (1997). Editors'introduction to situated cognition: Social, semiotic,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In D. Kirshner & J.A. Whitson (Eds.), Situated cognition: Social, semiotic,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pp.1-16). Mahwah, NJ: Lawrence Erlbaum 

  20.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22. Lincoln, Y. S. & Guba, E. G.(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23. Lopatto, D. (2004). Survey of undergraduate research experiences (SURE): First findings. Life Sciences Education, 3(4), 270-277 

  24. Melear, C. T., Goodlaxson, J. D., Warne, T. R., & Hickok, L. G. (2000). Teach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ow to do science: Responses to the research experien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1(1), 77-90 

  25. Merriam, S. B. (1988).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San Francisco: Jossey-Bass Inc 

  26.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c Press 

  27. Resnik, D. B. (1998). The ethics of science: An introduction. London: Routledge 

  28. Roth, W., & McGinn, M. (1997). Deinstitutionalising school science: Implications of a strong view of situated cogni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4), 497-513 

  29. Ryder, J. & Leach, J. (1999). University science students'experience of investigative project work and their images of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9), 945-956 

  30. Schwartz, R., Lederman, N., & Crawford, B.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31. Yin, R. K. (199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London: Sage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