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수 내에는 많은 미네랄이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불소는 생수통에 반드시 표기해야 할 무기물이다. 칼슘, 마그네슘, 불소와 같은 무기물은 치아형성에 관여하며, 적절하게 섭취시 치아우식증을 예방할 수 있다. 현행 먹는 샘물 수질기준에 따르면 무해무기물질인 칼슘과 마그네슘에 대한 기준치는 없으며, 유해무기물질인 불소와 같은 무기물은 2 mgF/L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생수 15종을 대상으로 칼슘, 마그네슘, 불소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생수 내 무기물 함량의 표기 여부 및 무기물 농도를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5개의 생수 중 1개의 생수를 제외하고 모두 칼슘함량을 표기하였다. 평균 칼슘농도는 34.68${\pm}$31.84 mg/L, 최대 128.91${\pm}$1.85 mg/L, 최소 2.0${\pm}$0.02 mg/L이었다. 2. 15개의 생수 중 2개의 생수를 제외하고 모두 마그네슘 함량을 표기하였다. 평균 마그네슘 농도는 9.22${\pm}$11.06 mg/L, 최대 30.43${\pm}$0.75 mg/L, 최소 0.0 mg/L이었다. 3. 15개의 생수 중 4개의 생수를 제외하고 모두 불소 함량을 표기하였다. 평균 불소 농도는 0.25${\pm}$0.33 mg/L, 최대 1.13${\pm}$0.04 mg/L, 최소 0.01${\pm}$0.03 mg/L이었다. 모두 생수는 현행 먹는 샘물 기준치인 2 mg F/L이하에는 만족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inking water has lots of minerals, especially calcium, sodium, kalium, magnesium, and fluoride must be labelled on the bottle about their contents. Minerals like calcium, magnesium, and fluoride have influence to the tooth development. Appropriately taking some minerals, dental caries can be pre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mg의 불소섭취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보고하였다13). 이에 저자는 실질적으로 마시는 생수 내의 불소농도를 인지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생수 내 불소농도와 더불어 칼슘과 마그네슘의 농도를 측정하고 생수 내 무기물 함량의 표기 여부 및 무기물 농도를 비교, 검토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수병에 반드시 표기해야 하는 항목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생수 내에는 많은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불소와 같은 무기물질 함량은 생수병에 반드시 표기해야 하는 항목이다. 현행 먹는 샘물 기준에 따르면 무해 무기물질인 칼슘과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은 수질 기준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불소와 같은 유해 무기물질은 2.
치아형성에 관련이 높은 무기물 중 타액 내 칼슘이 치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미네랄 중에서 치아형성에 관련이 높은 무기물은 칼슘, 마그네슘, 불소 등이며, 이중 칼슘은 인체에 약 1,400~2,000 g정도 존재하며, 이 중 99%는 골격과 치아를 헝성한다. 또한 타액내 칼슘은 미성숙 또는 탈회 에나멜질 표면을 석회화시켜 치아 우식증에 대한 감수성을 감소시키고, 완충작용을 하여 세균에 의한 에나멜의 미네랄 용해를 방해한다2).
현행 먹는 샘물 기준으로 유해 무기물질의 농도는 얼마 이하로 규정되어 있는가? 생수 내에는 많은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불소와 같은 무기물질 함량은 생수병에 반드시 표기해야 하는 항목이다. 현행 먹는 샘물 기준에 따르면 무해 무기물질인 칼슘과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은 수질 기준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불소와 같은 유해 무기물질은 2.0 mg/L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이에 반해 그리스나 다른 유럽 국가에서는 생수 내 칼슘, 나트륨, 알루미늄과 같은 무기물에 대한 농도 규정은 있으나, 불소 농도에 대한 규정은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Zohouri FV, Maguire A, Moynihan PJ : Fluoride 

  2. National Research Council Study Committee on the 

  3. Center for Disease Control(CDC) : Public Health 

  4. 김인숙, 오정숙, 이은숙 등 : 치과영양학(제4판). Komoonsa Medical Science, 140-141, 2006. 

  5. 예방치학연구회 : 현대예방치학(제2판). 군자출판사, 175-177, 2008., 

  6. Marthalerm TM : The value of caries prevention of 

  7. Aasenden R, Peebles IC : Effects of fluoride supplementation 

  8. Tinanoff N, Mueller B : Fluoride content in milk and 

  9. Fomon Sj, Ekstrand J, Ziegler EF : Fluoride intake and prevalence of dental fluorosis: trends in fluoride 

  10. Featherstone JDB : The science and practice of 

  11. Larsen MJ, Senderovitz F, Kirkegaard E, et al. : 

  12. Myers HM : Fluorides and dental fluorosis. Monogr 

  13. Silverstone LM : The caries preventive regimen. 

  14. 김인숙, 오정숙, 이은숙 등 : 치과영양학(제4판). Komoonsa Medical Science, 81-83, 2006. 

  15. 이성호, 송희봉, 조찬래: 국내 시판샘물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J of KSEE, 14: 2119-2128, 2002. 

  16. 김두희 : 보건학 총론. 학문사, 581-586, 1987. 

  17. 최한영 : 먹는 샘물의 위생학적 연구. Junior College, 15:81-98, 1995. 

  18. 김정욱, 김종철, 손동수 : 각종 분유내의 불소 농도와 영아 불소 섭취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2:1-14, 1995. 

  19. Anna Enno : Fluoride content of prepackaged fruit 

  20. Larsen MJ : Fluctuation of fluoride concentration in 

  21. Ekstrand J, Ziegler EE, Nelson SE, et al. : 

  22. J, Fomon SJ, Ziegler EE, et al. : Fluoride 

  23. Fomon SJ, Ekstrand J : Fluoride and dental fluorosis. 

  24. Angmar MB, Whitford GM : Plasma fluoride levels 

  25. Wiatrowski E, Kramer L, Osis D, et al. : Dietary 

  26. Heilman JR, Kiritsy MC, Levy SM, et al. : Fluoride 

  27. Farkas CS, Farkas EJ : Potential effect of food processing 

  28. Hong L, Levy SM, Broffitt B, et al. : Timing of fluoride 

  29. Burt BA : The changing patterns of systemic fluoride 

  30. Valman HB : The first year of lift : feeding and 

  31. Howat AP, Nunn JH : Fluoride levels in milk formulations. 

  32. Ericsson Y, Rebelius U : Wide variations of fluoride 

  33. Ekstrand J : Fluoride intake in early infancy. J 

  34. Ekstrand J, Hardell LI, Spak CJ : Fluoride balance 

  35. Spak CJ, Ekstrand J, Zylberstein D : Bioavailabil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