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시판 생수의 무기질 함량과 관능특성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Bottled Water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4, 2014년, pp.49 - 58  

김정환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  최준봉 (수원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시판되는 병입 생수의 무기질 함량을 조사하고 관능특성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7종의 시판 생수는 칼슘 함량이 3.399-85.470 mg/L, 마그네슘 함량은 2.619-27.390 mg/L였다. 또한 무기질 함량이 먹는물의 수질기준 이내의 수준이었으며, 경도는 19.2-326 mg/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pH는 6.31-7.74로 측정되었다. 5점 척도로 관능특성을 평가한 결과, 100 mg/L 이하의 먹는 샘물 시료들의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시원한 맛의 강도에 비례하였으며(r=0.706), 단맛(r=0.253)과도 (+)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반면 금속성 맛의 강도(r=-0.402) 및 떫은맛의 강도(r=-0.234)와는 (-)의 상관을 나타내었다(p<0.05). 주요 무기질 중 칼슘은 시원한 맛의 강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와 (-)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아울러 생수의 pH는 전체적인 기호도와 시원한 맛의 강도와 (-)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산성을 띨수록 전체적인 기호도와 시원한 맛의 강도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금속성 맛의 강도는 (+)의 상관으로 pH가 높은 시료일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mineral cont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bottled water in Korea. The contents of calcium and magnesium in the samples were determined 3.399-85.470 and 2.619-27.390 mg/L, respectively. The mineral contents of bottled water samples met the code of regulations for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시판되는 병입 생수의 무기질 함량을 조사하고 관능특성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여 물의 맛에 영향하는 무기질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서 먹는 물의 품질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는 병입 생수의 무기질 함량을 조사하고 관능특성을 평가하여, 물의 맛에 영향하는 무기질의 관련성을 규명함으 로서 먹는 물의 품질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고자 실시되었다.

가설 설정

  • 2)Mean scores within row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기구는 성인의 경우 하루 몇 리터의 물을 섭취하도록 권장하는가? 물은 6대 영양소 중 하나로서 생명활동에 필수 적이며, 세계보건기구는 성인의 경우 하루 2 리터의 물을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WHO 2011).
자연의 물맛은 어떤 성분에 의해 나타나는가? 자연의 물맛은 무기질, 가스 및 미생물을 비롯한 수중미생물의 대사물과 같은 천연의 성분과 잔류오염물질 등 인위적인 성분에 의해 나타나는데(Lin SD 2014), 정수과정을 거쳐 공급된다. 따라서 음용할 수 있는 정상적인 물맛은 주로 무기질 등의 영향에 의한 것인데, Sipos L(2011)는 물의 관능 특성을 탄산맛, 거품의 양, 금속맛, 단맛, 짠맛, 쓴맛 및 뒷맛으로 제안하였다.
국내에서 음용수를 평가하는 요소는? 따라서 과학 기술의 발달과 함께 공중보건상 안전하고 급성과 만성의 건강 위협 요소가 없는 물을 음용수로 이용하고 있으며, 오늘날 세계 각국이 음용수에 대한 기준을 더 안전한 방향으로 강화하여 관리하고 있는 추세이다(Whelton AJ et al 2007). 국내에 서는 먹는 물 관리법에서 미생물, 중금속 및 환경 오염물질 등에 대한 기준과 함께 심미적인 영향 물질의 수질기준을 정하고 있는데, 무기질의 개별 함량기준과 함께, pH, 색, 탁도는 물론 냄새와 맛에 대한 평가방법도 공표하여 관리하고 있다(환경부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이승호 (2005) 우리나라 일부지역 약수의 미네랄 함량과 특성에 관한 조사. 서울대보건대학원, 17, 서울 

  2. 이정자, 김오목, 이병옥, 정유진, 김경태, 최춘석 (2006. 11월). 맛있고 건강한 물의 미네랄 발란스에 관한 연구.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2006 공동 추계학술발표회, 대구컨벤션센터, 143-150. 

  3. 이한창, 박인숙 (2006) 발효식품학. 신광출판사, 131-132 152-154 171-172, 서울 

  4. 환경부, 먹는물 수질공정시험기준 개정전문, Accessed May 30. 2014. Available from: http://www.me.go.kr/home/web/policy_data/read.do?pagerOffset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title&searchValue%EB%A8%B9%EB%8A%94%EB%AC%BC&menuId10264&orgCd&seq5206 

  5. Ahn GJ, Shim YH, Yoo CH (2005). The changes of vitamin C and lactic acid bacteria count in dongchimi used different kinds of water. Korean J. Culinary Res 11(2): 91-109 

  6. Cidu R, Frau F, Tore P (2011). Drinking water quality: Comparing inorganic components in bottled water and Italian tap water. J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24: 184-193. 

  7. Doria MF (2006). Bottled water versus tap water: understanding consumer' preferences. J Water and Health 4(2): 271-276 

  8. EU, COUNCIL DIRECTIVE 98/83/EC of 3 November 1998 on the quality of water intended for human consumption, Accessed June 20. 2014. Available from: http://eur-lex.europa. eu/legal-content/EN/TXT/PDF/?uriCELEX: 31998L0083&fromEN 

  9. Hashimoto S, Fujita M, Furukawa K, Minami J (1987). Indices of drinking water concerned with taste and health. J Ferment Technol 65(2):185-192. 

  10. Kim YS (2006). The determinants of tap water consumption patterns. J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2): 93-106. 

  11. Koseki M, Nishikawa A, Tanaka Y, Nogichi H, Omochi T (2003). Sensory Evaluation of taste of alkali-ion water and bottled mineral waters. J Food Science 68(1): 354-358. 

  12. Lee BW, Lim BS (2002). Determination of water quality index for drinking water evaluation. J Korean Soc Environ Engineer 24(11): 1891-1899. 

  13. Lee SJ, Lee SG, Kim JG, Park HK (2011). Assessment of Korean spring waters using a new mineral water index. J Korean Soc Water and Wastewater 25(1): 7-14. 

  14. Levallois P, Grodin J, Gingras S (1999). Evaluation of consumer attitudes on taste and tap water alternatives in Quebec. Water Sci Technol 40(6): 135-139. 

  15. Lin SD (1977). Tastes and Odors in Water Supplies-A review. Illinois state water survey, 3, Urbana 

  16. Marcussen H, Hansen HCB, Holm PE (2010). The Elemental Composition and Taste of Bottled Water. Metals and Related Substances in Drinking Water: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Meteau, 278. 

  17. Moreno L, Merlos A, Abramova N, Jimenez C, Bratov A (2006). Multi-sensor array used as an "electronic tongue" for mineral water analysis. 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 116: 130-134. 

  18. Park YG (2004). Study of hardness effects of water in alcohol fermentation to focus effect of ozone.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2):98-103. 

  19. Parry J, Shaw L, Arnaud MJ, Smith AJ (2001). Investigation of mineral waters and soft drinks in relation to dental erosion. J Oral Rehabilitation 28; 766-772. 

  20. Sipos L (2011). Sensory evaulation of mineral waters by profile analysis. Acta Alimentaria 40(1): 19-26. 

  21. Teillet E, Urbano C, Cordelle S, Schlich P (2010). Consumer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bottled and tap water. J Sensory Studies 25: 463-480. 

  22. Whelton AJ, Dietrich AM, Burlingame GA, Schechs M, Duncan SE (2007). Minerals in drinking water: impacts on taste and importance to consumer health. Water Sci Technol 55(5): 283-291. 

  23. World Health Organisation (2011). Guidelines for drinking water Quality 4th ed. World Health Organisation, 164, Geneva 

  24. World Health Organisation, Hardness in Drinkingwater, Accessed June 20. 2014. Available from: http://www.who.int/water_sanitation_health/dwq/chemicals/hardness.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