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령대 변화에 따른 비만 남성 체형 특성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oportion of the Male Body According to Obesit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3 no.8, 2009년, pp.1306 - 1314  

최영림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한설아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남윤자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gress of obesity in men from childhood to adulthood, by analyzing the measurement references from the 5th Size Korea. It also seek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bese figures through the comparison of body proportions to normal-weight people, to provide a basic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사이즈코리아 측정자료를 분석하여 아동에서 성인에 이르는 남성 비만의 추이를 분석하고 정상체중과의 인체비례 비교를 통하여 비만 체형의 특성을 조사하여 치수체계 개발과 그레이 딩룰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그레이딩룰을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하지 않고 큰 사이즈로 그레이딩될수록 진동두께, 샅폭과 같은 두께 부위가 더 증가될 수 있도록 룰을 조절하거나 아동복의그레이딩에 있어서는 룰값의 배분에 있어 두께 부위에 가중치를 두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령별 비만 집단의 체형 특성에 차이가 있으므로비만 체형에 대한 체형 분석과 의복 원형 개발시 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며 이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아동, 청소년에서 성인에 이르는 남성 비만의 추이를 분석하고 정상체중과의 인체비례 비교를 통하여 비만 집단의 체형적 특성을 조사하여 치수체계 개발과 그레이딩룰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이즈코리아 직접측정데이터베이스와 3차원 스캔데이터베이스를 수합하여 동일 항목 중에서 비만과 관련이 깊은 둘레, 너비, 두께, 길이항목들을 추출하였다.
  • 본 연구는 저체중, 정상체중, 비만 집단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5차 사이즈코리아 직접 측 정치와 3차원 측정치를 통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측정방법은 측정도구가 달라 이에 따른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구자, 정명숙. (2001). 신사복의 패턴 그레이딩을 위한 체형 분류. 한국의류학회지, 25(6), 1069?1078 

  2. 보건복지부. (2003). 한국인의 주요 상병 및 건강행태 분석.서울: 보건복지부 

  3. 보건복지부. (2006).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3기. 서울: 보건복지부 

  4. 부애진, 홍정민. (2001), 비만 남아의 상반신 원형 제작을 위한 체형 분석(1). 복식, 51(1), 87?96 

  5. 석혜정. (2000). 20대 남성 체형 연구-의류치수체계 개발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윤지원. (2007). 20대 비만 남성을 위한 의복 치수체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조윤주, 이정란. (2000), 학령기 비만 남아의 상반신 체형 특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4), 300?307 

  8.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2004). 5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사업 보고서. 서울: 지식경제부 

  9. 질병관리본부. (2007). 소아청소년 표준성장도표. 서울: 질병관리본부 

  10. 한국산업표준. (2004a). KS K 9402-남자 아독복의 치수. 서울: 국가표준종합정보센터 

  11. 한국산업표준. (2004b). KS K 9400-남자 청소년복의 치수.서울: 국가표준종합정보센터 

  12. 한국산업표준. (2004c). KS K 0050-성인 남성복의 치수. 서울: 국가표준종합정보센터 

  13. 한진이, 조진숙. (2005). 학령기 남아 예복의 그레이딩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8), 1146?1157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WHO: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Western Pacific Regional Offic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