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에너지유화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나노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
The Effects of Ethanol on Nano-emulsion Prepared by High-energy Emulsification Method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5 no.3, 2009년, pp.179 - 191  

원보령 (서울산업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박수남 (서울산업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s (HCOs)/오일/에탄올/물로 이루어진 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에멀젼은 고에너지법인 균질기(homogenizer)를 병합하여 제조하였다. 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입자 크기와 입자 분포 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다른 성분의 조성은 같도록 하였다. HCO-20의 경우 에멀젼의 크기가 마이크로미터 크기에서 에탄올이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HCO-30의 경우 계면활성제 농도 4.00 %에서 입자 크기가 나노미터 크기로 나타났으며, 에탄올의 농도가 4.25 % 일 때 조성 1에서 입자 크기가 $128.15{\pm}1.06nm$이고 조성 2에서는 $136.10{\pm}0.99nm$로 가장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생성되었다. 마찬가지로 HCO-40은 계면활성제 농도 4.00 %에서 입자가 나노미터 크기로 나타났으며, 에탄올이 4.50%일 때 조성 1에서 입자 크기가 $115.85{\pm}0.78nm$이고 조성 2는 $121.15{\pm}0.35nm$로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생성되었다. HCO-60의 경우에서는 계면활성제 농도 4.00 %, 에탄올 농도 2.25 %에서 에멀젼의 크기가 $262.35{\pm}0.64nm$인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생성되었다. 마이크로 크기의 에멀젼에서는 에탄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나노에멀젼에서는 에탄올의 특정 농도에서 최저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나노에멀젼의 불안정화 과정은 Ostwald ripening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안정한 에멀젼을 만들기 위한 에탄올의 함량을 계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thanol on the emulsion prepared by 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s (HCOs)/oil/ethanol/water system. Emulsions were prepared using homogenizer as high-energy method. To evaluate effect of ethanol on the emulsion, physical pro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HCO 계열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또한 오일의 조성을 변화를 주어 어떠한 경향으로 에탄올이 에멀젼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확인하였다. 에멀젼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입자의 안정성은 입자 분포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 50으로 화장품 제품 중에서 향수, 스킨로션, 밀크로션 등에 계면활성제로 많이 사용된다. 본 실험에서는 HCO-40으로 이루어진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와 안정성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마찬가지로 조성 1 그리고 2에 따라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입도 변화를 나타내었다.
  • 본 실험에서는 나노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알아보기에 앞서 nm 크기의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는 계면활성제(HCOs)의 농도를 알아보았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에멀젼 입자 크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본 실험에서도 Figure 2와 같이 HCO-20을 제외한 모든 에멀젼이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입자 크기가 감소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에멀젼의 제조 방법 중 고에너지법의 장점은? 고에너지법은 extreme shear method[11], high-pressure homogenizers[12], 그리고 ultrasound generators[13] 등을 통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nm ~ µm 크기의 에멀젼이 생성되며 많은 기계적 에너지가 요구되지만 산업적으로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저에너지법은 유화과정 동안 발생하는 상전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구분된다.
나노에멀젼의 제조 방법 중 저에너지법은 어떤 방법인가? 이 방법은 nm ~ µm 크기의 에멀젼이 생성되며 많은 기계적 에너지가 요구되지만 산업적으로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저에너지법은 유화과정 동안 발생하는 상전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 방법은 구성성분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반면에 온도를 변화시키는 phase inversion temperature (PIT) method이다[14].
나노에멀젼의 제조 방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나노에멀젼의 제조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것은 고에너지법(high-energy methods)과 저에너지법(low-energy methods)이다[12]. 고에너지법은 extreme shear method[11], high-pressure homogenizers[12], 그리고 ultrasound generators[13] 등을 통한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 Houillot, J. Nicolas, M. Save, and B. Charleus, Miniemulsion polymerization of styrene using a pH-responsive cationic diblock macromonomer and its nonreactive diblockcopolymer counterpart as stabilizers, Langmuir, 21, 6726 (2005) 

  2. A. Musyanovych, V. Mailander, and K. Landfester, Miniemulsion droplets as single molecule nanoreactors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Biomacromolecules, 6, 1824 (2005) 

  3. W. Seifriz, That word 'Emulsoid', Science, 87, 212 (1938) 

  4. M. Cajkovac, L. Oremovic, and V. Cajkovac, Influence of emulsoid vehicle on the release and activity of allantoin, Pharmazie, 47, 39 (1992) 

  5. M. Sznitowska, K. Zurowska-Pryczkowska, S. Janicki, and T. Jarvinen, Miotic effect and irritation potential of pilocarpine prodrug incorporated into a submicron emulsion vehicle, Int. J. Pharm., 184, 115 (1999) 

  6. P. F. Yue, H. L. Yuan, W. F. Zhu, L. B. Cong, H. Xie, Z. G. Liu, L. J. Wang, and X. H. Xiao, The study to reduce the hemolysis side effect of puerarin by a submicronemulsion delivery system, Biol. Pharm. Bull., 31, 45 (2008) 

  7. M. T. Clarkson, D. Beaglehole, and P. T. Callaghan, Molecular diffusion in a microemulsion, Phys. Rev. Lett., 54, 1722 (1985) 

  8. K. Mukherjee, D. C. Mukherjee, and S. P. Moulik, Thermodynamics of Microemulsion Formation, J. Colloid Interface Sci., 187, 327 (1997) 

  9. J. B. Tagne, S. Kakumanu, and R. J. Nicolosi, Nanoemulsion preparations of the anticancer drug dacarbazine significantly increase its efficacy in a xenograft mouse melanoma model, Mol. Pharm., 5, 1055 (2008) 

  10. S. B. Calderilla-Fajardo, J. Cazares-Delgadillo, R. Villalobos-Garcia, D. Quintanar-Guerrero, A. Ganem- Quintanar, and R. Robles, Influence of sucrose esters on the in vivo percutaneous penetration of octylmethoxycinnamate formulated in nanocapsules, nanoemulsion and emulsion, Drug Dev. Ind. Pharm., 32, 107 (2006) 

  11. T. Shimamoto, Studies on the emulsion, I. Phaseinversion by homogenizer processing, Yakugaku Zasshi, 82, 1237 (1962) 

  12. R. Barnadas-Rodriguez and M. Sabes, Factor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liposomes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Int. J. Pharm., 213, 175 (2001) 

  13. A. Towata, M. Sivakumar, K. Yasui, T. Tuziuti, T. Kozuka, and Y. Lida, Ultrasound induced formation of paraffin emulsion droplets as template for the preparation of porous zirconia, Ultrason Sonochem, 14, 705(2007) 

  14. P. Izquierdo, J. Feng, J. Esquena, T. F. Tadros, J. C. Dederen, M. J. Garcia, M. Azemar, and C. Solans, The influence of surfactant mixing ratio on nano-emulsion formation by the PIT method, J. Colloid Interface Sci., 285, 388 (2005) 

  15. S. Sajjadi, Nanoemulsion formation by phase inversion emulsification: on the nature of inversion, Langmuir, 22, 5597 (2006) 

  16. Y. Saito and T. Sato, Micellar formation and micellar structure of poly(oxyethylene)-hydrogenated castor oil, Yakugaku Zasshi, 112, 763 (1992) 

  17. Y. H. Cho, S. Kim, E. K. Bae, C. K. Mok, and J. Park, Formulation of a cosurfactant-free O/W microemulsion using nonionic surfactant mixtures, J. Food Sci., 73, 115 (2008) 

  18. J. N. Coupland, D. Brathwaite, P. Fairley, and D. J. McClements, Effect of ethanol on the solubilization of hydrocarbon emulsion droplets in nonionic surfactant micelles, J. Colloid Interface Sci., 190, 71 (1997) 

  19. W. G. Cho, H. J. Yang, and S. N. Park, Ostwald ripening in hydrogenated lecithin-stabilized oil-inwater nano-emulsions, J. Soc. Cosmet. Scientist Korea, 34(1), 9 (2008) 

  20. B. R. Won, M. K. Kang, Y. J. Ahn, and S. N. Park, The effects of ethanol on nano-emulsions containing quercetin preapared by emulsion inversion point method, J. Soc. Cosmet. Scientist Korea, 35(2), 79 (2009) 

  21. G. Palazzo, A. Mallardi, M. Giustini, D. Berti, and G. Venturoli, Cumulant analysis of charge recombination kinetics in bacterial reaction centers reconstituted into lipid vesicles, Biophys. J., 79, 1171 (2000) 

  22. H. Ruf, Effects of normalization errors on size distributions obtained from dynamic light scattering data, Bio. Phys. J., 56, 67 (1989) 

  23. L. Beney, E. Linares, E. Ferret, and P. Gervais, Influence of the shape of phospholipid vesicles on the measurement of their size by photon correlation spectroscopy, Eur. Bio. Phys. J., 27, 567 (1998) 

  24. M. Sharma and S. Yashonath, Breakdown of the Stokes-Einstein relationship: role of interactions in the size dependence of self-diffusivity, J. Phys. Chem. B, 110, 172071 (2006) 

  25. J. H. Goll and G. B. Stock, Determination by photon correlation spectroscopy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s in lipid vesicle suspensions, Biophys. J., 19, 265 (1977) 

  26. H. Delonca, D. Alvarado, H. Saunal, J. P. Et, and J. P. Laget, Emulsification of vegetable oils: application to olive oil, Int. J. Cosmet. Sci., 4, 83 (1982) 

  27. J. H. Yao, K. R. Elder, H. Guo, and M. Grant, Theory and simulation of Ostwald ripening, Phys. Rev. B Condens Matter, 47, 14110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