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성별에 따른 관상동맥질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6 no.4, 2009년, pp.497 - 505  

박수경 (인하대학교 병원) ,  김화순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조인숙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함옥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and gender differences in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s: Participants for this descriptive survey were 67 men and 65 women who signed informed consents. They were pat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삶의 질 관련 주요 변수로 밝혀진 사회적지지와 우울 및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성별에 따른 삶의 질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 , 2008: Pocock, Henderson, Clayton, Lyman, & Chamberlain, 2000)는 주로 남자 환자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관상동맥질환자의 성별에 따른 삶의 질에서 차이와 어떤 요인이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질환자의 성별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알아보고, 어떤 요인이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삶의 질에서 차이와 영향 요인을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알려진 사회적지지, 우울 및 일반적 특성이 성별에 따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을 가진 남성과 여성의 삶의 질 차이를 확인하고 우울과 사회적지지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그 영향 요인에서 차이를 파악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성별에 따른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이란? 우울은 정상적인 기분변화에서 병적인 상태에 이르는 근심, 침울감, 무기력감 및 무가치감을 나타내는 상태를 말한다(Battle, 1978). 본 연구에서는 우울 측정도구인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Scale)을 이용하여 측정한 점수이다(Radloff, 1977).
관상동맥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삶의 질에서 차이와 영향 요인을 조사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관상동맥질환자의 성별에 따른 일반적 특성에서 차이를 파악한다. • 성별에 따른 관상동맥질환자의 삶의 질, 사회적지지 및 우울 정도를 비교한다. •성별에 따른 관상동맥질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다.
관상동맥질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중재적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관상동맥질환자들은 질병 경과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한 정신적인 좌절, 신체활동제한과 관련한 직업복귀 문제 및 치료에 따른 경제적 부담 등으로 인해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고 있다(Jo, 1998). 삶의 질 저하는 관상동맥질환자들의 사망률과 급성관상동맥 증상으로 인한 입원율 증가를 초래한다(Spertus, Jone, McDonel, Fan, & Fihn, 2002). 따라서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적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ttle, J. (1978).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Reports, 42, 745-746. 

  2. Brandt, P., & Weinert, C. (1981). The PRQ - A social support measure. Nursing Research, 30(5), 277-280. 

  3. Broddadottir, H., Jensen, L., Norris, C., & Graham, M. (2009).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8(1), 18-25. 

  4. Cobb, S. (1976). Presidential Addres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6. Conn, V. S., Taylor, S. G., & Abble, P. B. (1991). Myocardial infarction survivors: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physical health, psychosocial state and regimen adher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6(9), 1026-1034. 

  7. Deshotels, A., Planchock, N., Dech, Z., & Prevost, S. (1995). Gender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quality of life in cardiac rehabilitation patients.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15(2), 143-148. 

  8. Emery, C. E., Frid, D. J., Engebretson, T. O., Alonzo, A. A., Fish, A., Ferketich, A. K., et al., (2004). Gender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mong cardiac patients. Psychosomatic Medicine, 66(2), 190-197. 

  9. Frasure-Smith, N., Lesperance, F., Juneau, M., Talajic, M., & Bourassa, M. G. (1999). Gender, depression, and one-year prognosi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Psychosomatic Medicine, 61(1), 26-37. 

  10. Franche, R. L., Abbey, S., Irvine, J., Shnek, Z. M., Grace, S. L., Devins, G., M., et al. (2004). Sex differences in predictors of illness intrusiveness 1 year after a cardiac even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6(1), 125-132. 

  11. Halm, M. A., & Penque, S. (1999). Heart disease in women. American Journal of Nursing, 99(4), 26-31. 

  12. Hawthorne, M. H., (1994). Gender differences in recovery after coronary artery surgery.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6(1), 75-80. 

  13. Herlitz, J., Wiklund, I., Caidahl, K., Karlson, B. W., Sjoland, H., Hartford, M., et al. (1999). Determinants of an impaired quality of life five year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Heart, 81(4), 342-346. 

  14. Jeong, J. S. (2007). A study o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5. Jo, H. S. (1998). The effect of the team-based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health behavior performance,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the group of ischemic heart disease with PTCA.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1), 83-92. 

  16. Koh, S. B., Chang, S. J., Kang, M. G., Cha, B. S. & Park, J. K. (1997). Reliability and validity on measurement instrument for health status assessment in occupational worker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0(2), 251-266.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1995).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 (based on vital registration). 

  18.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5).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 (based on vital registration). 

  19. Lee, J. S. (2004).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20. McSweeney, J. C., Cody, M., O'Sullivan, P., Elberson, K., Moser, D. K., & Garvin, B. J. (2003). Women's early warning symptom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irculation, 108(21), 2619-2623. 

  21. Park, I. S., Song, R., Ahn S., So, H. Y., Kim, H. L., & Joo, K. O. (2008). Factors explaining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6), 866-873. 

  22. Pocock, S. J., Henderson, R. A., Clayton, T., Lyman, G. H., & Chamberlain, D. A. (2000). Quality of life after coronary angioplasty or continued medical treatment for angina: Three-year follow-up in the RITA-2 trial. randomized intervention treatment of angina.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35(4), 907-914. 

  23.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24. Rankin, S. H., & Fukuoka, Y. (2003).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women 1 year after myocardial infarction. Progress in Cardiovascular Nursing, 18(1), 6-11. 

  25. Shin, S. J. (1999). A study on the gender difference of health status on the recovery state after CABG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6. Sokol, R. S., Folks, D. G., Herrick, R. W., & Freeman, A. M. (1987). Psychiatric outcome in men and women after coronary bypass surgery. Psychosomatics, 28(1), 11-16. 

  27. Spertus, J. A., Jone, P., McDonel, M., Fan, V., & Fihn, S. D. (2002). Health status predicts long-term outcome in outpatients with coronary disease. Circulation, 106(1), 43-49. 

  28. Tak, Y. R., & Lee, H. Y. (1997). Family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in family who has a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3(1), 42-51. 

  29. Vaccarino, V., Lin, Z. Q., Kasl, S V., Mattera, J. A., Roumanis, S. A., Abramson, J. L., et al. (2003). Sex differences in health statu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Circulation, 108(21), 2642-2647. 

  30. Ware, J., E., Kosinski, M., & Dewey, J. E. (2000). How to Score Version 2 of the SF-36 Health Survey. Lincoln, RI: QualityMetric,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