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abbage Powder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9 no.5, 2009년, pp.729 - 735  

양미옥 (원광디지털대학교 한방건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배추 분말을 0, 2, 4, 6, 8, 10%로 첨가하여 제조한 양배추 설기떡의 수분 함량, 색도, 기계적 검사에 의한 조직감, 관능 특성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수분 함량은 37.2~33.7%로 무첨가시료(37.7%)에 비해 낮은 수분 함량이었으며, 색도 측정에서 L값은 대조구가 65.52로 가장 높은 값이었으며,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시료의 경우는 61.94~53.61로 양배추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인 차이로 감소하였다. a값과 b값은 대조구에 비해 양배추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다. 견고성(Hardness), 부착성(Ad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점착성(Gumminess)과 씹힘성(Chewiness)은 양배추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양배추 첨가에 따라 쌀 전분 함량이 희석되고, 고식이섬유원으로서 식이섬유소가 수분 결합력이 커서 보수성을 갖기 때문에 설기떡의 견고성 및 점착성(Gumminess)의 물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양배추 설기떡의 관능적 기호도 중 색(Color), 향(Flavor)과 맛(Taste)의 평가는 양배추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씹힘성(Chewiness)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시료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촉촉한 정도(Moistness)는 대조구가 5.85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0~2%, 4~6%와 8~10% 첨가 시료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으나, 양배추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5.42에서 3.85로 점차 낮은 점수를 얻었다. 이 결과는 멥쌀가루보다 건조한 양배추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설기떡의 수분 함량이 감소되었기 때문이며. 본 실험과 같이 양배추를 건조시켜 첨가할 경우 설기떡 제조 시에 수분 첨가량을 추가해 주어야 한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는 양배추 분말을 6% 첨가한 CS6시료가 6.0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양배추 분말을 첨가하여 설기떡을 제조할 경우 6%를 첨가한 시료가 색, 향기, 맛, 촉촉한 정도에서 적당한 정도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선호도에서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 받았으므로 가장 적절한 배합비로 생각되며, 본 실험을 통하여 인돌(indole)과 같은 피토케미컬(phytochemical)을 함유하고 있는 양배추가 부재료로 첨가된 기능성 떡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abbage powder. The moisture contents of Sulgidduk added with cabbage powder ranged from 37.2 to 33.7% an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s the amount of cabbage powder increased, t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첨가되는 양배추 분말의 양에 따른 설기떡의 기계적, 관능적 품질 특성을 살펴보고 적정 첨가량의 수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배추는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가? 양배추(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는 십자화과 초본으로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이며, 비타민 C 함량이 높고 암을 예방하는 인돌(indole)이라는 피토케미컬(phytochemical)을 함유하고 있다(Murdock DH 2002). 십자화과 채소는 절단, 분해, 조리되는 과정이나 생체 내 효소에 의해 다양한 인돌류가 생성되고 그 중 indole-3-carbinol의 암 억제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Lee et al 1990), 많은 연구자들은 자연에 존재하는 식품으로부터 항암생리활성 물질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Lila MA 2007).
양배추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색도 변화 중 황색도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대조구인 무첨가 설기떡은 6.07이며,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은 7.31~13.45로,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다. 황색도의 경우도 적색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배추의 안토산틴과 클로로필 색소가 가열에 의해 황색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십자화과 채소는 절단, 분해, 조리되는 과정이나 생체 내 효소에 의해 무엇이 생성되는가? capitata)는 십자화과 초본으로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이며, 비타민 C 함량이 높고 암을 예방하는 인돌(indole)이라는 피토케미컬(phytochemical)을 함유하고 있다(Murdock DH 2002). 십자화과 채소는 절단, 분해, 조리되는 과정이나 생체 내 효소에 의해 다양한 인돌류가 생성되고 그 중 indole-3-carbinol의 암 억제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Lee et al 1990), 많은 연구자들은 자연에 존재하는 식품으로부터 항암생리활성 물질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Lila MA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우정, 구경형 (2001) 식품관능검사법. 효일출판사, 서울. pp 95-119. 

  2. 농촌진흥청(2006) 식품성분표(I).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수원. pp 140. 

  3. 譚興貴 主編 (2003) 中醫藥膳學. 중국중의약출판사, 북경. pp 69. 

  4. 문관심 (1984)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서울. pp 325. 

  5. 施杞, 夏翔 主編 (1998) 中國食療大全. 上海科技出版社, 상해. pp 319. 

  6. 윤동혁 (2005) 색 色, 색을 먹자. 출판기획 거름, 서울. pp 13-26. 

  7. 이주희, 김미리, 민혜선, 이영은, 송은승, 권순자, 김미정, 송효남 (2008) 과학으로 풀어쓴 식품과 조리원리. (주)교문사, 서울. pp 153, 158. 

  8. Bae YJ, Hong JS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gidduk added with Buchu (Allium tuberosum R.) powder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827-833. 

  9. Cho MS, Lee JS, Hong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paprica.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33-339. 

  10. Eun SD,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Houttuynia cordata Thumb.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23-30. 

  11. Han DC, Kyung KH (1995) Antimicrobial activity of autoclaved cabbage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74-79. 

  12. Hwang SJ, Kim JW (2007) Effect of roots powder of Bakkoonflowers on general compos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giduk. Korean J Dietary Culture 22: 77-82. 

  13. Kim BW, Yoon SJ, Jang MS (2005) Effect of addition Baekbokryung(White Poria cocos Wolf)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895-907. 

  14. Kim HK, Do JR, Hong JH, Lee GD (2005) Optimization for function properties of cabbag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2: 591-599. 

  15. Kim YS (2008) Addition ratio of Buckwheat vegetable poeder (Fagopyum esculentum Moench)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 Nutri 21: 436-442. 

  16. Lee HG, Chung RW, Sin SJ (2004)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ackhapbyung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80-488. 

  17. Lee HG, Kim KJ (1994)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Moo-dduk by different ingredi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10: 242-248. 

  18. Lee HG, Lee EM, Cha GH (2005)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hinsuncho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422-432. 

  19. Lee JS, Cho MS, Hong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added tomato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75-381. 

  20. Lee KS, Lee JC, Lee JK, Park WJ (2001) Effect of addition of minor ingredients fo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uk. Korean J Dietary Culture 16: 399-406. 

  21. Lee SM, Rhee SH, Park KY (1997) Antimutagenic effect of various cruciferous vegetables in Salmonella assaying system. J Fd Hyg Safety 12: 321-327. 

  22. Lee YS, Jang WS, Eui MJ, Lee SJ, Jang JJ (1990) Inhibitory effect of Chinese cabbage extract on diethylnitrosamine-induced hepatic foci in Sparague-Dawley rats. J Korean Cancer Assoc. 22: 355-359. 

  23. Lila MA (2007) From beans to berries and beyond: Teamwork between plant chemicals for protection of optimal human health. Ann N Y Acad Sci 1114: 372-380. 

  24. Murdock DH (2002) The encyclopedia of foods. Academic press, California. pp 221. 

  25. Noh JE, Choi YK, Kim HK, Kwon JH (2005) Pre-establishment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rions for antioxidant extracts from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2: 62-67. 

  26. Park BH, Cho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00-608. 

  27. Yoo KM, Kim SH, Chang JH, Hwang IK, Kim KI, Kim SS, Kim YC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Dandelion(Taraxacum officinale) leaves and root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10-116. 

  28. Yoon SJ, Choi B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lotus roo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431-438. 

  29. Yoon SJ, Lee MY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oncentrations of Hericium erinace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31-36.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