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아대두 청국장의 발효 중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2 no.3, 2009년, pp.133 - 141  

엄상미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보영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훈일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두를 $25^{\circ}C$에서 48시간 발아시킨 발아콩을 원료로 볏짚 B. natto, B. natto와 A. oryaze 혼합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청국장과 비발아콩 볏짚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중 질소화합물, 유리아미노산 함량,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식품의 품질 지표로 사용되는 아미노태 질소함량과 장류의 이상발효 지표로 사용되는 암모니아테 질소함량은 4종류의 청국장 모두 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혼합균주를 이용한 발아중 청국장>발아콩 볏짚 청국장>B. natto를 접종한 발아콩 청국장>비발아콩 볏짙 청국장 순으로 나타났고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혼합균주를 이용한 발아콩 볏짚 청국장>B. natto를 접종한 발아콩 청국장>비발아콩 볏짙 청국장>발아콩 볏짚 청국장 순으로 나타났다. 혼합균주를 이용한 발아콩 청국장은 다른 청국장에 비해 약 $1.3{\sim}3.0$배 높은 질소화합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4종류의 청국장 모두 발효 60시간까지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다. 비발아콩 볏짚 청국장은 lysine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발아콩 볏짚 청국장은 72시간 발효 이후 glutamic acid함량이 3.64 mg/g으로 가장 높았고, 혼합균주를 이용한 발아중 청국장의 glutamic acid 함량은 4.37mg/g으로 높았다. 청국장의 총당 함량 변화는 비발아콩 볏짚 청국장을 제외한 나머지 청국장에서 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여 발효 72시간에는 $9.81{\sim}14.04%$ 총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비발아콩 볏짚 청국장의 총당 함량은 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발효 72시간에는 20.34%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 12시간에 최대값을 보인 이후 감소하였다. 따라서 아미노태질소와 glutamic acid 함량측면에서 B. natto와 A. oryaze 혼합균을 이용한 발아콩 청국장이 다른 청국장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발아콩을 이용하여 혼합균주로 청국장 제조 시 기능성 성분의 증가와 더불어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four kinds of Cheonggukjang during fermentation. Three different kinds of Cheonggukjang were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using rice straw, Bacillus natto, Bacillus natto plus Aspergillus oryzae, and non-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보[Oh와 Eom, 2008]에 이어 대두 발아 시 여러가지 생리활성 물질이 증가한다는 보고들[Oh와 Cha, 2000; Kim 등, 2004; Eom, 2006]을 바탕으로 청국장의 기능성을 향상 시키고자 25P에서 4&시간 발아시킨 콩을 원료로 볏짚, Bacillus natto 또는 Bacillus 와 Aspergillus oryzae 복합균주를 이용한 3가지 청국장과 비발아콩을 이용한 청국장을 제조하여 이들 청국장의 발효 중 화학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ok JY (1993) The change of chunggugjang with fermentation time. Ph.D. Thesis, Yeungnam University, Kyongsan, Korea. 

  2. Choi UK, Son DH, Ji WD, Im MH, Choi JD, and Chung YG (1998) Changes of taste components and palatability during chunggugjang fennentation by Bacillus subtilis DC-2.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840-845 

  3. Choi UK, Kim MH, Lee NH, Jeong YS, Kwon OJ, and Kim YC (2007)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a fermented soybean product, by the degree of germination of raw soybeans. Food Sci Biotechnol 16, 734-739 

  4. Dubois M., Gillers KA, Hamilton JK, Robers PA, and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nn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 Anal Chem 28, 350-352 

  5. Eom SM (2006) Changes in chemical constituents of soybean during germin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M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6. Heo S, Lee SK, and Joo HK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brinolytic bacteria from Korean traditional cheonggukjang. Agric Chem Biotechnol 41, 119-124 

  7. Kim BN, Park CH, Yun BM, Jung MC, and Lee SY (1995) Changes of saccharides and amino acids in natto added with spice during fenn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4, 114-120 

  8. Kim DH, Lim DW, Bai S, and Chun SB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meju system inoculated with four Bacill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006-1015 

  9. Kim DM., Kim SH, Lee JM., Kim JE, and Kang SC (2005) Monitoring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products during storage for shelf-life establishmen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32-139 

  10. Kim JS, Kim JG, and Kim WJ (2004) Changes in isoflavone and oligosaccharides of soybean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94-298 

  11. Kim JS, Yoo SM, Choe JS, Park HJ, Hong SP, and Chang CM (199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chonggugjang produceed in different regions. Agric Chem Biotechnol 41, 377-383 

  12. Kim KJ, Ryu MK, and Kim SS (1982) Chungkook-jang koji fementation with rice straw.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301-308 

  13. Kim MH, Kim WW, Lee NH, Kwon DJ, Kwon OJ, Chung YS, Hwang YH, and Choi UK (2007)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noggukjang made with germinated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76-680 

  14. Ko HS, Cho DH, Hwang SY, and Kim YM (1999) The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by chungkukjang's processing methods. Korean J Food Nutr 12, 1-6 

  15. Joo HK (1996) Studies on chemical composition of commercial Chung-kuk-jang and flavor compounds of Chung-kuk-jang by mugwort (Artirnisia asiatica) or red pepper seed oil. Korea Soybean Digest 13, 44-56 

  16. Lee BY, Kim DM, and Kim KH (1991) Studies on the change in rheological properties of chungkoo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78-484 

  17. Lee HJ and Suh JS (1981)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k-jang processing, (1) Changes of the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ies during chungkookjang-koji preparation. Korean J Nutr 14, 97-104 

  18. Lee HY, Kim JS, Kim YS, and Kim WJ (2005) Isoflavone and quality improvement of soymilk by using genninated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43-448 

  19. Lee YL, Kim SH, Choung NH, and Yim MH (1992)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viscous substance during the Chungkookjang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5, 202-209 

  20. Oh SH and Cha YS (2000) Changes in gamma-aminobutyric acid synthesis system in developing soybean sprouts. FASEB J 14, A241 

  21. Oh HI and Eom SM (2008)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6-62 

  22. Park JM, Lee SS, and Oh HI (1995) Change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me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8, 184-191 

  23. Seok YR, Kim YH, Kim S, Woo HS, Kim TW, Lee SH, and Choi C (1994) Change of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using Bacillus icheniformis CN-115. Agric Chem Biotechnol 37, 65-71 

  24. Shon MY, Seo KI, Lee SW, Choi SH, and Sung NJ (2000) Biological activities of choenggulqang prepared with black bean and changes in the phytoestrogen conten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36-941 

  25. Shon MY, Kwon SH, Park SK, Park JR, and Choi JS (2001)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black bean chungkugjang added with kiwi and radish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449-455 

  26. Son DH, Kwon OJ, Ji WD, Choi UK, Kwon OJ, Lee EJ., Cho YJ, Cha WS, and Chung Y.G (2000) The quality changes of chungkookjang prepared by Bacillus sp. CS-17 during fermentation tim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6 

  27. Suh JS, Lee SG, and Ryu MK (1982)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lqang processing II. Chnages of the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ies during the storage of chungkoo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309-314 

  28. Suh JS, Ryu MK, and Hur YH (1983)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kjang processing III. Changes of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and nitrogen compounds during chungkookjang koji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5, 385-371 

  29. Sung NJ, Ji YA, and Chung SY (1984) Changes in nitrogenous compounds of soybean during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3, 275-284 

  30. Woo SM, Kwon JH, and Jeong YJ (2006) Sele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heongkukjang strains. Koean J Food Preserv 13, 77-82 

  31. Yang CB and Kim ZU (1980) Changes in nitrogen compounds in soybean sprout. J Korean Agric Chem Soc 23, 7-13 

  32. Yang JL, Lee SH, and Song YS (2003) Improving effect of powders of cooked soybean and cheonggukjang on blood pressure and lipid metabolism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99-9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