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아콩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특성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koo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4, 2012년, pp.547 - 553  

백낙민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강경명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박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신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짚에서 분리한B. licheniformis B-59를 starter로 사용하여 12시간(GS12), 24시간(GS24) 동안 발아시킨 발아콩을 이용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을 대조구(NG)과 비교하였다. 청국장의 발효 과정 중 발아시간에 따른 총균수와 pH의 변화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균수는 발효 48시간 후 $10^8{\sim}10^9$ CFU/mL, pH는 6.90~7.0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발효 과정 중 점질물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 12시간째 1.5~3배 증가하였으며, 이후 감소하였다. 발아시간에 따른 원료 콩의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발효 과정 중 발아시간에 따른 증가현상은 뚜렷하였다. 이소플라본 함량 중 daidzein함량은 발효전 처리구간의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발효 후 NG 0.095 mg/g, GS12 0.218 mg/g 그리고 GS24 0.344 mg/g로 원료 콩의 발아 시간에 따라 청국장의 daidzein 함량은 증가하였다. 발효 후 청국장의 genistein 함량은 NG는 0.046 mg/g, GS12 0.151 mg/g, GS24 0.225 mg/g로 발아에 의해 증가하였다. 원료 콩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35.18 mg% (NG), 194.31 mg% (GS12), 262.32 mg% (GS24)로 발아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발효 후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254.26 mg% (NG), 337.49 mg% (GS12), 528.78 mg% (GS24)로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맛, 색상, 풍미, 쓴맛, 조직감, 종합적기호도 등 청국장의 기호성은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ongkookjang that was prepared with three kinds of soybeans [non-germinated soybean (NG), soybeans germinated for 12 hr (GS12), and soybeans germinated for 24 hr (GS24)] wer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pH, total aerobes, and slime content of Cheongkookjangs that were prepared with NG, GS12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발아콩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콩나물에 집중되어 있으며(13), 발아콩을 식품에 적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발아콩을 이용한 청국장 제조의 가능성을 검증 위하여 발아콩과 생리적 특성이 있는 Bacillus licheniformis B-59 (14)를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hoi등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발아콩을 이용한 청국장은 어떠한 제조과정을 거치게 됩니까? 발아콩을 이용한 청국장은 Choi 등(15)의 방법으로 제조 하였다. 정선한 콩을 깨끗이 세척한 후 25℃의 증류수에 6시간 수침시킨 다음 암소에서 2시간 간격으로 살수하여 12시간, 24시간 동안 발아 시켰으며, 대조구로 증류수에 6시간 수침시킨 콩을 사용하였다. 회수한 발아콩을 100 g씩 담아 121℃에서 45분간 증자 후 50℃로 냉각시켜 0.1 M phosphate buffer (pH 7.0)에 적정 농도(108 CFU/mL)로 현탁 시킨 B. licheniformis B-59(14) 현탁액을 증자된 콩에 각각 2% (v/w)접종하였다. 청국장의 발효는 40℃에서 48시간 발 효시키면서 12시간 간격으로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청국장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는 무엇입니까? 특히 청국장은 소화흡수율이 높고, 소금이 들어가지 않는 무염 발효식품으로 고혈압, 위암, 뇌졸중 등의 발생과 관련이 높은 정제소금의 과잉섭취를 막을 수 있는 바람직한 식품이 라 볼 수 있다(2). 청국장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맛, 향, texture, 색, 기능성 등이 있고,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원료, 발효조건 및 발효미생물 등이 있는데, 이들 중 청국장의 맛과 향의 생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Corresponding author. E-mail:leesh@cu.
청국장이 바람직한 식품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청국장은 전통 콩 발효 식품류 중 가장 짧은 기간(2-3일) 에 완성(1)할 수 있으면서도 그 풍미가 독특하고 여러 가지 필수아미노산과 식물성 지방 및 유기산들을 많이 함유하여 영양적으로도 우수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경제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콩의 섭취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특히 청국장은 소화흡수율이 높고, 소금이 들어가지 않는 무염 발효식품으로 고혈압, 위암, 뇌졸중 등의 발생과 관련이 높은 정제소금의 과잉섭취를 막을 수 있는 바람직한 식품이 라 볼 수 있다(2). 청국장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맛, 향, texture, 색, 기능성 등이 있고,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원료, 발효조건 및 발효미생물 등이 있는데, 이들 중 청국장의 맛과 향의 생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Corresponding author.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wak CS, Yeon KM, Kim SA, Sook LM (2006) Cytotoxicity on human cancer cells antitumorigenesis of chungkookjang, a fermented soybean product, in DMBAtrea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47-356 

  2. Lee JO, Ha SD, Kim AJ, Yuh CS, Bang IS, Park SH (2005) Industrial applica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ungkukjang. Food Sci Ind, 38, 69-78 

  3. Lee BY, Kim DM, Kim KH (1991) Studies on the change in rheological properties of Chungkoo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478-484 

  4. Suh JS, Ryu MK, Hur YH (1983) Effect on Bacillus strains on the chongkookjang prosessing(III). J Korean Soc Food Sci Nutr, 15, 385-391 

  5. Youn KC, Kim DH, Kim JO, Park BJ, Yook HS, Cho JM, Byun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201-210 

  6. Kim JS (1996) Current research trends on bioactive function of soybean. Korean Soybean Digest, 13, 17-24 

  7. Wei H, Wei L, Frenkel K, Bowen R, Barnes S (1993) Inhibition of tumor promoter-induced hydrogen peroxid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by genistein. J Nutr Cancer, 20, 1-2 

  8. Hodgson JM, Croft KD, Puddey IB, Mori TA, Bellin LL (1996) Soybean isoflavonoids and their metabolic products inhibit in vitro lipoprotein oxidation in serum. Nutr Biochem, 7, 664-669 

  9. Rifici VA, Schneider SH, Khachadurian AK (1994) Stimul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by insulin and insulin growth factor I. Atherosclerosis, 107, 99-108 

  10. Yang CB, Kim ZU (1980) Changes in nitrogen compounds in soybean sprout. J Korean Agric Chem Soc, 23, 7-13 

  11. Kim JS, Kim JG, Kim WJ (2004) Changes in isoflavone and oligosaccharides from soybeans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94-298 

  12. Lee HY (2005) Isoflavone and quality improvement of soymilk by using germinated soybean. M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13. Lee SH, Chung DH (1982) Studies on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 on growth and nutrient compositions in soybean sprout. J Korean Agric Chem Soc, 25, 75-82 

  14. Lee SH, Beak LM, Park LY (2008)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p. isolated from rice straw a Cheonggukjang star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62-567 

  15. Choi UK, Kim MH, Lee NH, Jeong YS, Hwang YH (2007)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a kind of fermented soybeans, by the germination degree of raw soybean. Food Sci Biotechnol, 16, 734-739 

  16. Lee YL, Kim SH, Choung NH and Yim MH (1992)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viscous substance during the Chungkookjang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5, 202-209 

  17.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8. Singleton VL, Joseph A, Rossi J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onolics with phosphomolibdic-phosphotungsitc acid reagent. Am J Clin Nutr, 68, 1474-1479 

  1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20. Song T, Barua K, Buseman G, Murphy PA (1998) Soy isoflavone analysis: quality control and a new internal standard. Am J Clin Nutr, 68, 1474-9 

  21. Youn KC, Kim DH, Kim JO, Park BJ, Yook HS, Cho JM, Byun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201-210 

  22. Kim JS, Yoo SM, Choe JS, Park HJ, Hong SP, Chang CM (199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Chonggugja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Agric Chem Biotech, 41, 377-383 

  23. Shon MY, Kwon SH, Sung CK, Sung CK, Park SK, Choi SD (2001)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Chungkugjang prepared with small black bean. Korean J Life Science, 11, 284-290 

  24. In JP, Lee SK (2004) Effect of yucca(Yucca shidigera) extrac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ukjang using Bacillus subtillis p01.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76-181 

  25. Lee YL, Kim SH, Choung NH and Yim MH (1992)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viscous substance during the Chungkookjang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5, 202-209 

  26. Woo SM, Kwon JH, Jeong YJ (2006) Sele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heongbukjang strains. J Korean Food Preserv, 13, 77-82 

  27. Lee JH, Min DB (2006) Nutraceuticals, aging, and food oxidation. Handbook of functional Lipids. Taylor & Francis Group, LLC CRC Press, USA, p 325-350 

  28. Gramaza A, Khokhar S, Yoko S, Swiglo AG., Hes M, Korczak J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tea extracts in lipids and correlation with polyphenol content. Eur J Lipid Sci Technol, 108, 351-362 

  29. Aoshima H, Tsunoue H, Koda H, Kiso Y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diphenyl-2-picrylhydraz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 5240-5244 

  30.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31. Lee JJ, Cho CH, Kim JY, Kee DS, Kim HB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substances extracted by alcohol from chungkukjang powder. Korean J Microbiol, 37, 177-181 

  32. Kurzer MS, Xu X (1997) Dietary phytoestrogens. Annu Rev Nutr, 17, 358-387 

  33. Wang HJ, Murphy PA (1994) Isoflavone content of commercial soybean foods. J Agric Food Chem, 42, 1666-1673 

  34. Joo HK (1996) Studies on chemical composition of commercial Chungkukjang and flavor compounds by mugwort (Artimisia asiatica) or red pepper seed oil. J Korean Soybean Digest, 13, 44-56 

  35. Kim KJ, Ryu MK and Kim SS (1982)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with rice straw.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301-3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