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중 닭튀김의 구성 지방산 조성
Evaluation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Fried-chicken Sold in the Market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5 no.5, 2009년, pp.600 - 605  

김영주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기택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판되는 닭튀김류의 지방함량과 지방산 조성, 트랜스 지방산함량 및 산가를 조사하기 위해 총 20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종의 닭튀김에서 추출된 지방함량은 $4.94{\sim}18.06%$의 다양한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지방함량의 분포는 닭 자체의 지방함량이나 닭을 튀긴 기름의 종류, 튀김온도, 시간, 튀김옷의 성분차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차이라고 생각된다. 조사된 닭튀김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이었다. 포화 지방산 중에서 palmitic acid($10.67{\sim}25.43%$)가 불포화지방산 중에서는 oleic acid($29.78{\sim}67.85%$)와 linoleic acid($8.42{\sim}39.54%$)가 가장 많았다. 식품 100 g당 함유되어 있는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0.1 g 이하의 낮은 함량을 보여주었으며 닭튀김에 함유된 지방을 추출하여 산가를 측정한 결과 20종의 닭튀김의 결과치는 식품공전상 튀김식품의 산가 규격을 초과하지 않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t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trans fatty acid content, and acid value of twenty types of fried chickens purchased in local markets in Korea. The fat was extracted from the fried chickens and analyzed by the folch method, which revealed that the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20종의 닭튀김을 수거하여, 이들에 함유되어 있는 유지의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특히 트랜스 지방의 함량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지 산패의 척도인 산가를 측정하여 산패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닭고기의 지방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닭고기의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는데 이는 고단백질 웰빙 식품으로서 인식되고 있고, 다른 육류에 비해 조직감이 부드럽고 조리가공 형태도 다양하여 모든 연령층에게 긍정적으로 선호되고 있으며 또한, 여성의 취업률 증가와 더불어 외식문화가 발달하여 닭튀김류가 주요 식사 메뉴로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기 때문이다(Kim YH 등 1999, Kim JW와 Lee YH 2001, Kim JW와 Park SY 2001, Chae HS 등 2002). 한편, 닭고기의 지방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C16:0), palmitoleic acid(C16:1), stearic acid(C18:0), oleic acid(C18:1), linoleic acid(C18:2)으로 알려져 있는데(Young HT와 Choi HJ 2003), 닭고기를 식용유지로 튀기면 가열된 식용유지가 열전달 매체로서 닭고기 안으로 흡수되고 닭고기의 지방은 용출되어 외부의 식용유지 중으로 빠져 나가게 되면서 튀기기 전의 지방산 조성이 변하게 된다(Jeon MS 등 2008). 따라서 불포화지방 함량이 많은 식물성유지를 사용하여 육류 섭취 증가에 의한 포화지방산 섭취를 상대적으로 줄이기도 하나 닭튀김을 과량 섭취 시에는 지방의 섭취가 높아져서 체내에 총 지방섭취량이 증가하기도 한다(Yoon GS 2001).
트랜스 지방산은 인체에 어떤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가? 이와 더불어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트랜스지방산이 생성되기도 하는데 Moreno 등(1999)과 Romero A 등(2000)의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식용유를 가열할 때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의 증가, 튀김유의 재사용으로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트랜스 지방산은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고밀도지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LDL) 콜레스테롤은 감소시킴으로서 인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튀김식품의 트랜스지방산 생성을 억제하려면 튀김과정 중 신선한 기름을 재차 첨가해주고, 튀길 때 트랜스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쇼트닝보다 불포화 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올리브유나 콩기름 등의 식물성 식용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on JY 등 1998, Gil BI와 Rho JH 2007).
본 연구에서는 닭튀김의 지방 추출을 위해 Folch 법을 사용하였는데 그 방법은 어떻게 되는가? 닭튀김의 지방 추출을 위해 Folch 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뼈를 제거한 후 닭튀김(다리, 가슴살, 날개, 몸통부위)을 약 5~15 g을 믹서(Food Mixer FM-909T, HANIL(주), KOREA)로 분쇄하여 균질화 후 screw cap이 달린 50 mL vial에 넣었다. Folch용매는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2:1(v/v)의 비율로 혼합하여 30 mL을 넣은 다음 10분 동안 충분히 균질화 후 추출하였다. 추출하고 남은 닭튀김은 filter paper(Whatman No.4)를 이용하여 거른 후 NaCl 0.88% 용액을 5 mL 첨가하고 3분간 2,4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두 층으로 분리한 후 하층부만 취하여 sodium sulfate column을 이용하여 수분과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이것을 질소가스로 용매는 완전히 제거하고 농축 후 추출된 지방의 무게를 측정한 후 지방 함량을 계산하였으며 추출은 2회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식품의약품안전청. 2006. 트랜스지방 분석법. Available from: http://transfat.kfda.go.kr/info/indexAnalysis.do. Accessed February 3, 2009 

  2. 식품의약품안정청. 2008. 식품공전. 제 1권4 제5 식품별 기준 및 규격. 서울. p222 

  3. 신효선. 1986. 튀김 중 유지의 이화학적 변화와 튀김유의 문제점. Korean J Food Cookery Sci 2(1):73-82 

  4. AOCS. 1990.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4th ed.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ampaign, IL, USA Te 1a-64 

  5. Chae HS, Cho SH, Park BY, Yoo YM, Kim JH, Ahn CN, Lee JM, Kim YK, Choi YG. 2002. Changes of the fatty acid, amino acids and collagen contents in domestic broiler chickens of different marketing standard. Korean J Food Ani Resour 22(1):1-7 

  6. Gil BI, Rho JH. 2007. Hazardous effect of dietary trans fats on human health and regulatio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6):1015-1024 

  7. Hwang JH. 1995. Fatty acid composition and lipid oxidation of commercial deep-fat fried foods in Kangreung. Korean J Home Economics 33(6):245-252 

  8. Jeon MS, Kim JY, Lee JW, Lee KT. 2008. Changes in total trans fatty acids content in soybean oil, shortening, and olive oil used for fry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2):181-189 

  9. Jo EJ, Ahn ES, Shin DH. 1997. Lipid and microbial changes of fried foods at market during storage. J Fd Hyg Safety 12(1):47-54 

  10. Joo KJ. 1991.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various deep-fat fried foods. J Korean Soc Food Nutr 20(2):162-166 

  11. Kim JW, Lee YH. 2001. The consumption pattern of further processed chicken produc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1(2):116-125 

  12. Kim JW, Park SY. 2001. The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broiler chicken in Korea. Korean J Poult Sci 28(3):193-205 

  13. Kim NS, Kim SA. 1994. Analysis of lipid composition in various fast-foods. Korean J Soc Food Sci 10(2):131-137 

  14. Kim YH, Min JS, Hwang GS, Lee SO, Kim IS, Bark HI, Lee MH. 1999. Fatty acids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native chicken m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31(4):964-970 

  15. Moreno MCMM, Olivares DM, Lopez FJA, Adelantado JVG, Reig FB. 1999. Determination of unsaturation grade and trans isomers generated during thermal oxidation of edible oils and fats by FTIR. J Molecular Structure 482-483(4):551-556 

  16. Nam JH, Song HI, Park CK, Park SH, Kim DW, Moon YH, Jung IC. 2002. Effects of ultrasonic treatment time on the qulity and palatability of fried chicken mea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2):115-121 

  17. Park GY, Kim AK, Park KA, Jung BK, Bae CH, Kim MH. 2003. Acidification of frying oil used for chicken. J Fd Hyg Safety 18(1):36-41 

  18. Park GY, Jung BK, Kim AK, Park KA, Cho SJ, Kwak JE, Chang MS, Bae CH, Chough NJ. 2004. Evaluation of the safety of fried-food in fast food store. J Fd Hyg Safety 19(2):55-59 

  19. Ro KA, Kim NY, Jang MS. 1998. Effect of frying methods of chicken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oil and fried chickens in the school foodservice.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4(1):99-108 

  20. Romero A, Cuesta C, Sanchez-Muniz FJ. 2000. Trans fatty acid production in deep fat frying of frozen foods with different oils and frying modalities. Nutrition Research 20(4):599-608 

  21. Shin KK, Park HL, Lee SK, Kim CJ. 1998. Studies on fatty acids composition of different portions in various mea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8(3):261-268 

  22. Son JY, Chung MS, Ahn MS. 1998.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frying oils during potato and chicken frying. Korean J Soc Food Sci 14(2):177-181 

  23. Yoon GS. 2001. A survey on the use of deep-fat-fried foods and treatment of the used oils at home in Chonbuk a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6):533-541 

  24. Young HT, Choi HJ. 2003. Studies on nutrient components between the chungjung chicken meats and general chicken meats. Korean J Food & Nutr 16(3):187-191 

  25. Yun GS, Kim NY, Jang MS. 2000. Effect of application methods of frying oil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oil in the school foodservice. Korean J Soc Food Sci 16(4):328-3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