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이버대학 e-러닝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 규명
The Examination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Students' e-learning Participation that Have an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 of Cyber University 원문보기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10 no.5, 2009년, pp.135 - 143  

강민석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지원팀) ,  김진일 (선문학교 교양대학) ,  박인우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e-러닝 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사이버대학 e-러닝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e-러닝 학습 참여 변인과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어떤 학습 참여 변인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 학습자 배경(성별, 연령별, 학년별)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은 무엇인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한다. 연구 결과, 학습 참여 변인 중 출석률과 토론게시판 게시 횟수가 학업 성취도와 높은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누적학습시간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으로는 출석률, 토론 게시판 게시 횟수, 강의실 접속 순으로 규명되었다. 학습자 배경별로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참여 변인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이버대학 e-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제고하기 위해 학습 참여 변인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students' e-learning participation that have an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 of cyber universities. Based on the related research, the followings are derive. First, students' attendance and particip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e-러닝 학습 참여 관련 변인들이 학업성취와 어떤 관련을 갖는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관련 변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관련 변인이 학습자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사이버대학 학생의 e-러닝 참여와 관련한 시사점을 제언한다.
  • 더구나 사이버대학 학습관리시스템에 학습자의 학습 참여 관리에 대한 매우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18], e-러닝 학습참여 변인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 영향정도를 규명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제한점과 필요성에 근거하여 e-러닝 학습참여와 관련된 구체적인 활동들이 학습효과와의 관련성과 영향 정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의 e-러닝 학업성취도와 학습참여 변인과의 관계, 그리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참여 변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검증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그 결과들이 가지고 있는 함의점에 대해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다.
  • 첫째, 본 연구에서는 e-러닝 학습참여변인을 토론게시판 글 작성회수와 같은 학생들의 양적 참여에 국한하였다. 이에 학생들의 참여 내용의 질적 수준, 과제 수행 결과 등 학생들의 참여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의 참여의 질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러닝 학습참여도를 다루고 있는 대부분의 연구들은 대채적으로 어떤 관점으로 구분하고 있는가? e-러닝 학습참여도를 다루고 있는 대부분의 연구들은 대체적으로 학습효과 자체로 보는 관점과 학습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는 관점으로 크게 구분된다. e-러닝 학습참여도를 학습효과로 보는 연구는 e-러닝 학습참여도를 학습만족도나 학업성취도와 같이 학습결과로서 얻어지는 결과로 보고 있다[12][13][15].
e-러닝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는? 이러한 e-러닝의 양적 확산에 따라 e-러닝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e-러닝 학습효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연구자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참여도를 보는 관점이 차이를 보인다.
사이버대학 e-러닝 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어떠한가? 이에 사이버대학 e-러닝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e-러닝 학습 참여 변인과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어떤 학습 참여 변인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 학습자 배경(성별, 연령별, 학년별)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은 무엇인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한다. 연구 결과, 학습 참여 변인 중 출석률과 토론게시판 게시 횟수가 학업 성취도와 높은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누적학습시간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으로는 출석률, 토론 게시판 게시 횟수, 강의실 접속 순으로 규명되었다. 학습자 배경별로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참여 변인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이버대학 e-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제고하기 위해 학습 참여 변인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essi, S, M., & Trollip, S. R., Multimedia for learning-Methods and Development(3rd Ed). Boston, MA: Allyn & Bacon, 2001. 

  2. Khan, B. H., Web-based instruction(WBI): What is it and why is it?. In B.H. Khan(ed), Web-based instruction(pp. 5-18).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 Technology Publication Inc., 1997. 

  3. 산업자원부, 한국사이버교육학회, 2003 e러닝 백서, 한국사이버교육학회, 2003. 

  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정보화백서, 2007년 12월. 

  5. 신나민, 임정훈, 이혜정, 한국 원격교육 연구의 동향과 전망: 1985-2005년도를 중심으로, 제21권 4호, 교육공학연구, 2005년, pp. 195-227. 

  6. 이상수, 강정찬, 이인자, 황주연, 이유나, 웹기반 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 제21권 4호, 교육공학연구, 2005년, pp. 229-254. 

  7. 정현미, 양용칠, .교육공학연구. 20년 연구 흐름 분석, 제 21권 4호, 교육공학연구, 2005년,21(4), pp. 167-194. 

  8. Koble, M., & Bunker, E., Trends in research and practice: An examination of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987 to 1995,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1(2), pp. 19-38, 1997. 

  9. 박혜정, 최명숙, 대학 교육에서 e-러닝의 학습효과와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 분석, 제24권 1호, 교육공학연구, 2008년, pp. 27-53. 

  10. 임진호, 초등학생의 e-러닝에서 인지된 효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모형에 관한 연구, 2006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신종호, 박인우, 김동일, 계보경, e-러닝에서의 학업성취도 영향 요인 연구, 2005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2. 서혜전, 웹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 관련 요인 연구, 2001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제9권 4호, 교육정보방송연구, 2003년,pp. 229-267. 

  14. 정재삼, 임규연,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제16권 2호, 교육공학연구, 2000년, pp. 107-135. 

  15. 임정훈, 이향녕, 웹기반 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 탐색. 원격교육연구, 제 3권 10호, 2003년, pp. 179-207. 

  16. 구교정, 성인 원격교육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교원 정보화 원격교육을 중심으로, 2005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Kember, D., A longitudinal-process model of drop-out from distance education.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0(3), pp. 278-301, 1989. 

  18. 교육인적자원부,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 통계 현황, 2006년. 

  19. 이옥화, 임연욱, 온라인 수업의 실시간 토론 내용 분석, 제 19권 1호, 교육공학연구, 2003년, pp.29-50. 

  20. 한정선, 오정숙, 웹 기반 학습의 온라인 토론에 서 교수자의 참여에 따른 학습자의 토론 참여 양상에 대한 연구, 제21권 4호, 교육공학연구, 2005년, pp. 123-142. 

  21. Romiszowski, A., & Mason, R. ,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n D.H. 

  22. 정해용, 김상훈, 사이버교육 효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제 11권 1호, 정보시스템연구, 2002년, pp. 51-74. 

  23. 이인숙, e-Learning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자기효능감과 e-Learning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관련성 규명, 제19권 3호, 교육공학연구, 2003년, pp. 41-68. 

  24. 장은정, e-learning 공동체에서 학습 전략과 몰입이 학습 결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제18권 3호, 2002년, pp. 27-54. 

  25. 이종연,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및 사전지식과 전달전략이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제 18권 3호, 교육공학연구, 2002년, pp. 3-25. 

  26. 박정한, 우옥희. PBL(Problem-Based Learning)이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제 15권 3호, 교육공학연구, 1999년, pp. 55-81. 

  27. 김동식, 이승희.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협력적 성찰이 문제해결 수행 및 과정에 미치는 영향, 제19권 1호, 교육공학연구, 2003년, pp. 131-159. 

  28. 류완영. 웹 기반 교육에서의 평가:나일주(편저), 웹 기반 교육, 교육과학사, 1999년, p. 177-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