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 시·공간 패턴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분석
The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Spatio-Temporal Data Relate to e-Learning Patterns of University e-Learning Learner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4, 2018년, pp.247 - 253  

이해듬 (목원대학교 대학교육개발원) ,  남민우 (목원대학교 대학교육개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 시 공간 데이터를 활용한 이러닝 학습패턴에 따라 학습자등의 출석률과 학업성취도 차이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3년간 총 68개 이러닝 강좌, 수강생 13,611명의 이러닝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t검증, 이원변량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공간에 따른 출석률과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내 주학습자가 출석률과 학업성취도에서 교외 주학습자들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둘째,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일 단위 학습시간대에서는 오전시간대 주학습자, 오후시간대 주학습자, 야간시간대 주학습자 순으로 출석률과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 단위 학습시간대에서는 평일시간대의 주학습자들이 주말시간대 주학습자들 보다 출석률과 학업성취도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attend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spatio-temporal data relate to e-Learning patterns of university e-Learning learners. This study collected e-Learning data from 68 e-Learning classes, 13,611 learners during 3 years. Collected data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러 선행 연구들에 비춰 보면 다양한 연구 결과에서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 공간과 학습 시간은 학업 성취도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4-14]. 관련한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본 연구는 이러닝 성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이러닝 학습 시․공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출석률, 학업 성취도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세부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시·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학습패턴에 따라 출석률과 학업 성취도 간 차이를 규명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세부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이러닝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들은 학습공간(교내, 교외)에 따라 출석률과 학업성 취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 이러닝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들은 학습시간대(주 단위*일 단위)에 따라 출석률과 학업 성취도는 차이가 있는가? 이다.
  • 본 연구의 세부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이러닝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들은 학습공간(교내, 교외)에 따라 출석률과 학업성 취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 이러닝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들은 학습시간대(주 단위*일 단위)에 따라 출석률과 학업 성취도는 차이가 있는가? 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러닝 학습 환경의 특징은 무엇인가? 교육 분야에서도 생성되는 대량의 데이터들에 대한 분석 연구들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데 특히 고등 교육에서는 이러닝 학습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통해 학습이 일어나는 환경이나 학생들을 보다 심층적 이해를 위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닝 학습 환경에서는 학습자들의 모든 행동을 로그 파일 형태로 저장하며 웹 로그 데이터는 학습자의 학습 참여도, 패턴, 학습량 및 관심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웹 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는 데 가치 있는 충분한 양의 교육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공간에 따른 출석률과 학업성취도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공간에 따른 출석률과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내 주학습자가 출석률과 학업성취도에서 교외 주학습자들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둘째,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일 단위 학습시간대에서는 오전시간대 주학습자, 오후시간대 주학습자, 야간시간대 주학습자 순으로 출석률과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출석률과 학업 성취도가 교내 주학습자가 교외 주학습자들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 공간 이용 패턴을 교내 와 교외 주학습자로 분류하여 출석률과 학업 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러닝 학습자들의 출석률과 학업 성취도는 교내 주학습자가 교외 주학습자들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 성취도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도출되었다. 대학생들은 오프라인 수업에 익숙하기 때문에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이러닝 강의임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수업 패턴으로 교내에서 공강 시간을 활용하여 이러닝을 학습하는 것이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 성과가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 시간대 패턴을 주 단위(평일-주말)와 일 단위(오전-오후 야간)에 따라 출석률, 학업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주말 학습자 보다는 평일 학습자가, 야간 시간대 학습자 보다는 오후 시간대 학습자가, 오후 시간대 학습자보다는 오전 시간대 학습자가 이러닝 수업의 출석률, 학업 성취도에서 높은 것으로 분석, 검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 R. Hwang(2016). Impact of Learner's Learning Behavior on Achieve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 D. H. Ahn. (2017).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styles on the relationship of quality and satisfaction of e-Learning contex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2), 35-45. 

  3. H. D. Lee. (2016). University e-Learning Students' Patter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Behavioral Data Related to Learning.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4. M. S. Kang, J. I. Kim & I. W. Park. (2009). The Examination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Students' e-learning Participation that Have an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 of Cyber University.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0(5), 135-143 

  5. S. Y. Park, M. W. Nam & S. B. Cha(2012).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 Evaluat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ritish journal of Education Technology, 43(4). 

  6. B. H. Moo. (2007). Analysis of Login and Learning Hour in Cyber Classes of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2(5), 171-177. 

  7. S. Y. Park & Y. S. Song. (2008). Analysis of e-learning time logs of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16, 53-67. 

  8. S. Y. Kwon. (2009). The Analysis of differences of learners participation, procrastination, learning time and achievement by adult learners adherence of learning time schedule in e-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learning-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9(3), 61-86. 

  9. C. K. Seong. (2011). Effect of the Students' e-learning Participation and Access Frequency and Access times on Learning Achievement in Blended-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35), 90-98. 

  10. I. H. Jo & J. H. Kim. (2013). Investigation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Period for Achievement Prediction Model in e-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2), 285-306. 

  11. I. H. Jo & Y. M. Kim. (2013). Impact of Learner's Time Management Strategies on Achievement in an e-learning Environment: A Learning Analytics Approach.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9(1), 83-107. 

  12. H. G. Park. (2015). Analyzing the e-Learning Trend and Achievement by Attendance Source of Students.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13. H. Y. Lee. (2015).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s based on the clustered online learners' behavioral patterns in university e-Learning environment.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14. C. H. Ahn, S. K. Joung, S. G. Kim & I. H. Choi. (2016). "The Analysis of E-learning Learners Characteristics for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in Online".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of information technology, 14(4), 187-194 

  15. M. K. Park & M. S. Park. (2017).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achievement in team based learning: Mediating effect of co-regul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0), .367-376. 

  16. S. U. Kwon & S. J. Yun. (2010).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d Use of e-Learning.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7(1), 35-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