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류편식 아동의 식습관 및 식품섭취패턴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Food Frequency of Young Children Who Like Sweet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5 no.1, 2009년, pp.10 - 21  

손향남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민정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지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dietary habits, food frequency, and nutrition knowledge of young children who like sweets in the Busan area;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survey method with questionnaires. One hundred eighty three children, aged 8 to 9 years, were divided into two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당분이 많은 과자류나 가당 음료에 대한 기호가 강한 초등학교 저학년 2, 3학년 아동들의 식습관 개선 및 영양교육을 위한 사전 연구로서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총 183명을 대상으로 당류에 대한식품기호도 점수, 식습관 점수, 식품섭취빈도를 기준으로 당류편식군 64명(34.
  • 편식아동의 선발방법도주로 식품기호도에 근거하여 분류하고 있었으나, 기호도 자체가 식품섭취를 대변하는 정확한 근거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당류에 관한 식품기호도뿐 아니라 식습관과 식품섭취빈도를 근거로 당류식품을 과잉 섭취하는 당류편식 아동을 분류하고, 이러한 초등학교 저학년 당류편식 아동의 식습관 개선 및 영양교육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이들의 식습관, 식품 섭취 패턴, 영양 지식을 조사하였다.
  • 01) 반면, 당류섭취빈도가 높아질 수록 두부, 콩, 김치, 우유의 섭취빈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당류편식의 문제점을 진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당류편식아동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도출하여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이 개선될 수 있도록 아동의 수준에 맞는 구체적인 교육안이 개발되고 행동 변화에 중점을 두는 영양교육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대한소아과학회 (1998): 한국 소아 및 청소년 신체 발육 표준치 

  2. Cha YS (2005): A study on the status of beverage consump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in Jeonju. Korean J Comm Nutr 10(2):174-182 

  3. Elfhag K. Erlanson-Albertsson C (2006): Sweet and fat taste preference in obesity have different associations with personality and eating behavior. Physiol Behav 88(1-2):61-66 

  4. Hwang GH, Jung LH, Yoo MJ (2001): The eating behaviors, nutrient intakes and hematological status of the lower grade primary school children in Gwangju. Korean J Dietary Culturel 4(4):293-299 

  5. Jun SN, Ro HK (1998): A study on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rurel 13(1):65-72 

  6. Kim EK (2001):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related problems in Korea children. Proceedings of KSCN Conference. Autumn source book. Korean J Comm Nutr. Seoul. pp.905-920 

  7. Kim HA, Kim EK (1996): A study on effect of weight control program in obese children, Korean. J Nutr 29(3):307-320 

  8. Kim HK. Kim JH (2006): A preliminary study on nutrition education for 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dietary habit and nutrition nowled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7):866-873 

  9. Kim KW (2006): Strategy on educational public reactions for healthful food selection. Proceedings of KSCN Conference. Autumn source book. Korean J Comm Nutr. Seoul. pp.42-57 

  10. Kwon SY (2005): A study of the dietary patterns and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snack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30-73 

  11. Lee JW, Lee MS, Kim JH, Son SM, Lee BS (2007): Nutritional Assessment. Kyomunsa. Seoul. p.121 

  12. Lee YM (2006): Eating Trends in Korean Children.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2006 autumn source book. Korean J Comm Nutr. Seoul. pp.9-31 

  13. Liem DG, Mars M, Graaf CD (2004): Sweet preferences and sugar consumption of 4- and 5-year-old children: role of parents. Appetite 43(3):235-245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intake survey)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Report on 2005 Nutri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Intake Survey) 

  16. Park HK (2006b): Prospects of policies to improve the safety & quality of foods for children. Proceedings of KSCN Conference. Autumn source book. Korean J Comm Nutr. Seoul. pp.58-64 

  17. Park HR (2006a): Nutrition state and policy in Korean Children.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Autumn source book. Korean J Comrn Nutr. Seoul. p.65 

  18. Sung CJ, Sung MK, Choi MK, Kang YL, Kwon SJ. Kim MH, Seo YL, Adachi M, Mo SM (2001): An ecological study of food and nutri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 Nutr 6(2):150-161 

  19.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20. Yang IS, Kwak TK, Han KS, Kim EK (1993): Needs assessment: Nutrition education & training program for day care children. Korean J Dietary Culture 8(2):103-116 

  21. Yim KS, Lee TY, Park HS (2003):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diets of Korean adolescents. Korean J Comm Nutr 8(2):149-159 

  22. Yoon HS, Yang HL, Her ES (200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divers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 Nutr 5(3):513-5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