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당류편식 중학생의 식습관, 식품섭취실태 및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Intake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ke Sweets in Busa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6, 2007년, pp.735 - 744  

유나희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정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지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당분이 많은 과자류나 가당 음료에 대한기호가 강한 중학교 학생들의 식습관 개선 및 영양교육을위한 사전 연구로서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조사대상자 335명 중에서 33.1%인 111명의 학생들이 당류편식군에 속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습관 점수에 있어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세 끼 식사의 규칙성, 아침식사, 식사량의 적정성, 식사 시의 균형, 녹황색 채소, 고기, 생선, 우유의 섭취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당류편식군의 점수가 낮았으며, 간식의 양, 과자 및 사탕 등의 당류, 인스턴트식품, 패스트푸드, 햄과 소시지, 탄산음료의 섭취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당류편식군의 점수가 높았다. 영양지식 점수에 있어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당류편식군의 점수가 낮았으며, 군별로 유의한 차이를보였다. 또한, 각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남학생은 식품구성탑과 5가지 식품군, 바른 간식 섭취 영역에서 군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학생은 영양과 건강, 식품구성탑과 5가지 식품군에서 군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식품섭취빈도에 있어서는 쌀밥, 잡곡밥의 섭취빈도는 당류편식군이 낮았으며, 라면과 빵, 케이크의 섭취빈도는 당류편식군이 높았다. 햄, 소시지의 섭취빈도가 당류편식군에서 높았고 콩, 배추, 무, 콩나물, 시금치, 오이, 고추, 당근, 상추, 양배추 등 채소류는 당류편식군의 섭취빈도가 낮았다. 우유 섭취빈도는 당류편식군이 낮았으나 아이스크림은 당류편식군의 섭취빈도가 훨씬 더 높았다. 과자류, 초콜릿 및 사탕, 햄버거, 피자, 탄산음료의 섭취빈도는 당류편식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영양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당류 섭취빈도(p<0.05), 당류관련 기호도(p<0.01), 당류관련 식습관 점수(p<0.01)가 낮아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당류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당류관련 기호도(p<0.01)와 당류관련 식습관 점수(p<0.01)가 높아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당류관련 기호도 점수가 높을수록 당류관련 식습관 점수(p<0.01)가 높아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당류 섭취빈도가 높아질수록 라면, 빵, 케이크, 햄, 소시지, 아이스크림, 햄버거, 피자의 섭취빈도가 높아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p<0.01), 두부, 콩(남학생 p<0.05, 여학생 p<0.01), 김치(p<0.01), 당근(p<0.01), 우유(p<0.01)의 섭취빈도는 낮아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거주 중학생을 이용하여 $13{\sim}15$세 청소년의 당류편식의 심각성을 진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사료된다. 당류편식군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도출하여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이 개선될 수있도록 학생들이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행동 변화에 중점을 두는 영양교육이 요구되어지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weets preference,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ke sweets. A survey instrument consisted of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호도 자체가 식품 섭취를 대변하는 정확한 근거가 될 수 없다는 가정 하에, 식품 기호도 뿐만 아니라 식습관, 식품섭취빈도를 근거로 당휴 편식학생군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당분이 많은 과자류나 가당옴료에 대한 기호가 강한 중학교 학생들의 식습관 개선 및 영양교육을 위한 사전 연구로서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 패턴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편식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경우는 거의 없는 싶정이며, 특히 당분이 많은 과자나 가당 옴료에 초점을 들 수 있는 당류 편식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호도 자체가 식품 섭취를 대변하는 정확한 근거가 될 수 없다는 가정 하에, 식품 기호도 뿐만 아니라 식습관, 식품섭취빈도를 근거로 당휴 편식학생군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당분이 많은 과자류나 가당옴료에 대한 기호가 강한 중학교 학생들의 식습관 개선 및 영양교육을 위한 사전 연구로서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 패턴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ong SM. 2003. Iron status and anemia of middle school girls in Ulsan metropolitan city. Korean J Commu Nutr 8: 26-32 

  2. Kim SB. 2005.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food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onbuk area. Korean J Commu Nutr 10: 574-581 

  3. Jin YH. 2002.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habits and dietary attitud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exes. Korean J Commu Nutr 7: 156-166 

  4. Lee JW. 2005. Effects of school-based nutrition education for Korean food guide on food intakes frequency of adolescents. Korean J Commu Nutr 10: 582-591 

  5. Sung CJ. 2005. A comparative study of food habits and body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clinical sympt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202-208 

  6. Joung HJ. 2004. The importance of adolescent nutrition in the era of low birthrate. Korean J Commu Nutr 9: 762-765 

  7. Kim YN. 2002. The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obesity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mall cities. Korean J Commu Nutr 7: 705-714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intake survey)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Report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intake survey) 

  10. Cha YS. 2005. A study on the status of beverage consump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Korean J Commu Nutr 10: 174-182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6. Guidelines of meal plan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infant child care facilities 

  12. Lee KS. 1995.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children who avoid to eat vegetables. J Kor Diet Assoc 1: 2-9 

  13. Park SJ. 200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s. J Kor Diet Assoc 6: 17-25 

  14. Chin JH. 2002.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food behavior of unbalanced diet children: an investigation of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J East Asian Dietary Life 12: 7-14 

  15. Seo JS. 2004.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an unbalanced diet in school feeding. J Kor Diet Assoc 10: 345-355 

  16. Seo JS. 2005.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and factors related to dislike of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 Nutr 10: 151-162 

  17. Lee HY. 2003. Setting instructional goals fo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hrough an analysis of problems identified in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 Nutr 8: 495-503 

  18. Kim JH. 1998. An ecological study on eat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 Nutr 3: 292-307 

  19. Yim KS. 2003.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diets of Korean adolescents. Korean J Commu Nutr 8: 149-159 

  20. Kim BR. 2001.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angneu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39-746 

  21. Lee JW. 2006. Beverage consump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dolescents in the Chungnam urban area. Korean J Commu Nutr 11: 469-478 

  22. 대한소아과학회. 2002. 한국 소아 및 청소년 신체 발육 표준치 

  23. Kwon SY 2005. A study of the dietary patterns and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snack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4. Chang HS. 2006. Comparison with dietary habits,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al knowledge according to sex of teenagers in Jeonnam province. Korean J Commu Nutr 11: 459-468 

  25. Jang HS. 2002. Comparisons of nutritional knowledge,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dietary behavior between adolescent boys and girls in the Daegu?Kyun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299-306 

  26. Kim MH. 2000. A Study on nutritional attitude,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nutrition knowledge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 Nutr 5: 419-431 

  27. Lee KA. 2006. The fast foods consumption pattern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Bu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448-455 

  28. Korean Nutrition Association.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orean Nutrition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