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영양부서의 급식 및 영양관리 평가 지표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Indicators for a Foodservice & Nutrition Management Evaluation at a Hospital Nutrition Department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5 no.4, 2009년, pp.364 - 382  

이주은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곽동경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standard indicators to evaluate the food and nutrition systems in hospitals and to test the validity of those items scientif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ual validity was examined with recognition degrees of importance from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영양부서의 급식 및 영양관리 평가지표에 대하여 현장의 의견 수렴과 과학적 검증을 하는 데 있다. 먼저 우리나라 의료법과 식품위생법을 토대로 병원 영양부서에서 실천되어야 하는 급식 및 영양 관리에 대한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이 지표들에 대하여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여 신뢰도와 변별도,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의료기관 평가의 한 부문에 해당하는 영양부서 평가기준에 대하여 현장 의견 수렴과 과학적 검증을 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영양 부서의 급식 및 영양관리 평가를 위한 지표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취지하에 우리나라 식품위생법과 의료법을 기본으로 병원 영양부서에서 의무적으로 준수되어야 하는 기준들을 정리한 뒤, 미국의 JCAHO 기준과 그에 대한 연구문헌, 우리나라 의료기관 평가제도에 관련된 문헌들을 참고로 하고 전문가 단체와 현장의 급식・영양부서장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병원 영양부서 급식 및 영양관리 평가지표의 초안과 수정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상과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영양부서의 급식 및 영양관리 평가지표에 대하여 현장의 의견 수렴과 과학적 검증을 하는 데 있다. 먼저 우리나라 의료법과 식품위생법을 토대로 병원 영양부서에서 실천되어야 하는 급식 및 영양 관리에 대한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이 지표들에 대하여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여 신뢰도와 변별도,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상의 과정에서 개발된 우리나라 의료기관 평가 제도의 영양부문 평가기준 초안에 대하여 병원 영양 부서장들과 식품영양학과 관련 교수 및 급식경영 전공 박사학위 이상 전문가들의 의견수렴을 위하여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을 실시하였고, 개발된 초안 평가기준과 기존 기준의 차이점 및 법적인 내용을 토대로 한 의무사항과 기타 권장사항의 분류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여 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공급 과잉현상 이유는? 최근 병원의 대형화, 현대화, 의료시장의 개방화 등에 따른 의료환경 변화는 의료공급 과잉현상을 초래하게 되었으며, 소비자들의 인식변화로 양질의 의료관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Kwak 등2008).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기관에서 제공되는 병원급식은 진료지원 서비스로 확대되어 영양서비스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이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 단체급식에 대한 법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식품위생법 외에 의료법에서 ‘의료기관의 급식관리 기준’을 정하고 있으나 이 기준의 대부분은 영양서비스 중 급식서비스 부문에 상당히 치우쳐 있어서 영양서비스 전반을 균형 있게 관리할 수 있는 법적 기준으로는 상당히 미비하다할 수 있다(김 2000)
병원급식이 왜 중요한가? 병원급식은 환자들에게 치료와 회복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이고, 영양교육이나 영양판정의 시행은 환자 중심의 의료기관 평가로의 전환이나 임상의 질을 도입하려 하는 새로운 방향의 의료 기관 평가기준에 부합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환자의 영양관리 부분에 해당하는 항목들에 대한 기준이 아직까지 모호한 실정이고, 기존의 평가 지침 또한 환자위주의 진료중심이라기보다는 시설 중심의 하드웨어적인 성격이 강한데다가 병원급식 전문 관리자들의 검증을 거치지 않은 상태여서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한 기준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 (김 2000; Lee 2005).
영양 부서의 급식 및 영양관리 평가를 위한 지표 4가지는? 3. 본 연구에서 처음 제안된 병원 영양부서 급식 및 영양관리 평가지표들이 각 영역별 요인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잠재적 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직교 회전하여 총 4개의 요인으로 수렴하여 (ㄱ) 급식시설관리, (ㄴ) 급식위생관리, (ㄷ) 운영관리 및 기타급식관리, (ㄹ) 영양관리로 구성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영재 (2004): 급식 시설 설비의 위생기준. 급식경영전문인 과정 I. 연세대학교 사회교육원. 서울. pp.153-163 

  2. 김동연 (2000): 의료기관 서비스평가의 시범평가를 통한 영양서비스 평가 현황. 국민영양 218:8-12 

  3. 보건복지부 (2004): 의료기관평가 지침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관평가지원센터. Available from: http://www.khidi.or.kr/etcsite/medicalnotice.do-code1101&menuCd30140101. Accessed January 5, 2007 

  4. 보건복지부 (2005a): 의료기관평가 지침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관평가지원센터. Available from: http://www.khidi.or.kr/etcsite/medicalnotice.do-code1101&menuCd30140101. Accessed January 5, 2007 

  5. 보건복지부 (2005b): 의료기관평가 결과분석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관평가지원센터. Available from: http://www.khidi.or.kr/etcsite/medicalnotice.do-code1101&menuCd30140101. Accessed January 5, 2007 

  6. 보건복지부 (2006a): 의료기관평가 지침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관평가지원센터. Available from: http://www.khidi.or.kr/etcsite/medicalnotice.do-code1101&menuCd30140101. Accessed January 30, 2007 

  7. 보건복지부 (2006b): 보건복지백서 2005. 보건복지부. 과천.pp.325-328 

  8. 보건복지부 (2007a): 의료기관평가 지침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관평가지원센터. Available from: http://www.khidi.or.kr/etcsite/medicalnotice.do-code1101&menuCd30140101. Accessed January 30, 2007 

  9. 보건복지부 (2007b): 2007년도 의료기관평가, 임상질지표 평가 도입. 보건복지부 의료정책팀 보도자료. http://www.mohw.go.kr/front/al/sal0301ls.jsp. Accessed January 30, 2007 

  10. Balogun LB, Ward DC, Stivers M (1996): JCAHO update: the nuts and bolts of competency standards, including requirements for age-specific competencies. J Am Diet Assoc 95(2):244-245 

  11. Cho MY (2005): A compared study of pharmacy standards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 Doctors degree thesis. Sookmyung University. pp.6-47 

  12. Choi KK (2005): Development of the facility model based on the HACCP and dry kitchen concept for improving sanitary condition of 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pp.14-40 

  13. Chong YK, Unklesbay N, Dowdy R (2000): Clinical nutrition and foodservice personnel in teaching hospitals have different perceptions of total quality management performance. J Am Diet Assoc 100(9):1044-1049 

  14. Eom YL, Lyu ES (2003):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dietitians in contract managed foodservice companies. J Korean Diet Assoc 9(3):248-258 

  15. Escott-Stump S, Krauss B, Pavlinac J (2000):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Friend, not Foe. J Am Diet Assoc 100(7):839-844 

  16. Hyeon SK (2005): Problem and solution of guidelines for 2004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J Korean Hospital Assoc 9/10:44-50 

  17. Kim HJ (1997): Development of a quality assessment model for hospital food and nutrition services. Doctors degree thesis. Dongduk University. pp.31-71 

  18. Kim HJ, Jang EJ, Hong WS (2000): The assessment of management practices on foodservice, clinical nutrition service in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Diet Assoc 6(2):136-147 

  19. Kim HR (1999):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hospital service evaluation questionnaire: Nursing service part.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pp.6-25 

  20. Kim JS, Yang IS, Kim HA, Park MK, Park SY (2003): A study on the status of contract managed hospital food services. J Korean Diet Assoc 9(2):128-137 

  21. Krasker GD, Balogun LB (1995): 1995 JCAHO standards: development and relevance to dietetics practice. J Am Diet Assoc 95(2):240-243 

  22. Kwak TK, Lyu ES, Lee HS, Lyu K, Choi SK, Hong WS (2008): Institutional foodservice operation. Shinkwang Press. Seoul. pp.23-25 

  23. Lee JS (2002): Development of a hospital foodservice facility plan and model based on general sanitation standards and HACCP guidelines. Docto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pp.11-64 

  24. Lee SH (2005): Problem and solution of 2004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J Korean Hospital Assoc 9/10:32-43 

  25. Lee SJ (1999): Development of quality management standards and evaluation tool for he quality improvement of hospital food and nutrition services. Docto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pp.12-26 

  26. Lim SJ, Baik HJ, Um KS, Kim MS, Kang KH, Yang JY (2002): Design and remodeling example of hospital foodservice facility for efficient operation. J Korean Diet Assoc 8(1):89-94 

  27. Moon HK, Jean JY, Kim CS (2004): Effect of sanitizations on raw vegetables not heated i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Diet Assoc 10(4):381-389 

  28. Roh HJ (2007): Statistical analysis of mulitivariate data by SPSS. Hyosan Press. Seoul. pp.441-480, pp.559-572 

  29. Sohn CY (2007): Development of hospital food service evaluation index for the systematic medical insurance fee system in Korea. Docto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pp.112- 116 

  30. Tomes AE, Chee Peng Ng S (1995): Service quality in hospital care: the development of an in-patient questionnaire. Int J Health Care Qual Assur 8(3):25-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