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수 도정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1, 2010년, pp.1695 - 1699  

우관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서명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강종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고지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송석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재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오병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박기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용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남민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황금찰수수의 도정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항산화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항산화성분으로 총 polyphenol, flavonoid, tannin, anthocyaninproanthocyanidin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수율은 각각 수수의 hull, bran 및 grain으로 구분하여 80% 메탄올로 추출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수율을 측정한 결과 9.95, 19.05 및 2.94%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hull, bran 및 grain층에서 각각 9.95, 19.05 및 2.94%의 수율을 보였다. 실험결과 bran의 추출물이 hull이나 grain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항산화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항산화성분이 다량 분포하는 bran 추출물이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각각 66.37 및 36.56 mg TE/g sample으로 나타나 hull이나 grain 추출물보다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수수의 bran은 기능성식품 제조에 있어 좋은 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their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sorghum.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compounds in the methanolic extract from the milling fractions, the content of polyphenol, flavonoids, tannin, anthocy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수의 항산화성분, 색소 등의 다양한 활성성분들은 수수의 외피를 구성하는 미강에 집중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보고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수의 껍질, 미강 및 알곡을 분리하여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대표적인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황금찰수수의 도정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항산화성분으로 총 polyphenol, flavonoid, tannin, anthocyanin 및 proanthocyanidin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를 억제 시킬 수 있는 합성물질을 과다 섭취할 경우에 문제점은? 최근 산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 흡연, 음주 등은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고 체내에 축적된 활성산소는 세포의 구성성분이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을 비가역적으로 파괴하여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1-3). 활성산소를 억제 시킬 수 있는 합성물질이 이용되어 왔으나 합성식품첨가제의 기피현상뿐만 아니라 과량을 섭취할 경우 신장, 폐, 간, 위장점막, 순환계 등에 심각한 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보다 안전한 대체물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4,5).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천연식품을 통해 노화억제, 면역증강 등의 효과를 얻어 젊고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천연식품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들이보고되면서 천연유래 생리활성물질의 효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6) 특히, 천연물질의 항산화, 항암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7).
환경오염, 흡연, 음주 등이 질병을 유발시키는 과정은? 최근 산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 흡연, 음주 등은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고 체내에 축적된 활성산소는 세포의 구성성분이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을 비가역적으로 파괴하여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1-3). 활성산소를 억제 시킬 수 있는 합성물질이 이용되어 왔으나 합성식품첨가제의 기피현상뿐만 아니라 과량을 섭취할 경우 신장, 폐, 간, 위장점막, 순환계 등에 심각한 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보다 안전한 대체물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4,5).
천연식품을 통해 노화억제, 면역증강 등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이유는? 최근 산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 흡연, 음주 등은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고 체내에 축적된 활성산소는 세포의 구성성분이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을 비가역적으로 파괴하여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1-3). 활성산소를 억제 시킬 수 있는 합성물질이 이용되어 왔으나 합성식품첨가제의 기피현상뿐만 아니라 과량을 섭취할 경우 신장, 폐, 간, 위장점막, 순환계 등에 심각한 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보다 안전한 대체물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4,5).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천연식품을 통해 노화억제, 면역증강 등의 효과를 얻어 젊고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천연식품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들이보고되면서 천연유래 생리활성물질의 효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6) 특히, 천연물질의 항산화, 항암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Reiter RJ. 1995. Oxidative process and antioxidative defense mechanism in the aging brain. FASEB J 9: 526-533. 

  2. Halliwell B, Gutteridge JMC, Cross CE. 199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J Lab Clin Med 119: 598-620. 

  3. Cao LH, Lee JK, Cho KH, Kang DG, Kwon TO, Kwon JW, Kim JS, Sohn EJ, Lee HS. 2006. Mechanism for the vascular relaxation induced by butanol extract of Agrimonai pilosa. Korean J Pharmacogn 37: 67-73. 

  4. Ode P. 1995. Herbal insights - a close look at active constituents of medicinal herbs. SOFW J 121: 8-11. 

  5.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l 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6. Arai S. 1996. Studies on function foods in Japan-state of art. Biosci Biotechnol Biochem 60: 9-15. 

  7. Ryu HS, Kim HS. 2006.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Korean J Food Nutr 19: 176-182. 

  8. Kim KO, Kim HS, Ryu HS. 2006.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sorghum, su-su)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J Korean Diet Assoc 12: 82-88. 

  9. Woo KS, Ko JY, Seo MC, Song SB, Oh BG, Lee JS, Kang JR, Nam MH.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fu (soybean curd) added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746-1752. 

  10. Chang HG, Park YS. 2005. Effects of waxy and normal sorghum flours on sponge cake properties. Food Engine Prog 9: 199-207. 

  11. Chae KY,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waxy sorghum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363-369. 

  12. Grimmer HR, Parbhoo V, McGrath RM. 1992. Antimutagenicity of polyphenol-rich fraction from Sorghum bicolor grain. J Sci Food Agric 59: 251-256. 

  13. Hahn DH, Rooney LW, Earp CF. 1984. Tannin and phenols of sorghum. Cereal Foods World 29: 776-779. 

  14. Kil HY, Seong ES, Ghimire BK, Chung IM, Kwon SS, Goh EJ, Heo K, Kim MJ, Lim JD, Lee D, Yu CY.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rude sorghum extract. Food Chem 115: 1234-1239. 

  15. Awika JM, Rooney LW, Waniska RD. 2004. Anthocyanins from black sorghum and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Food Chem 90: 293-301. 

  16. Dykes L, Rooney LW. 2006. Sorghum and millet phenols and antioxidants. J Cereal Sci 44: 236-251. 

  17.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8.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a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19. Turker N, Erdogdu F. 2006. Effects of pH and temperature of extraction medium on effective diffusion coefficient of anthocyanin pigments of black carrot (Daucus carota var. L.). J Food Eng 76: 579-583. 

  20. Baoshan S, Jorge M, Ricardo DS, Isabel S. 1998. Critical factors of vanillin assay for catechins and proanthocyanidins. J Agric Food Chem 46: 4267-4274. 

  21. Lee SM, Lee J. 2006.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s of vegetable oils, margarines, butters, and peanut butters consumed in Korean diet. Food Sci Biotechnol 15: 183-188. 

  22.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23. Zielinski H, Kozlowska H. 2000.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grains and their different morphological fractions. J Agric Food Chem 48: 2008-2016. 

  24.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25. Middleton E,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 115-119. 

  26. Nakagawa M, Amano I. 1974. Evaluation method of green tea grade by nitrogen analysis. J Jpn Food Sci Technol 21: 57-63. 

  27. Kong S, Choi Y, Kim Y, Kim DJ, Lee J.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components in methanolic extract from Geumjong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807-811. 

  28. Elisia I, Hu C, Popovich DG, Kitts DD. 2007. Antioxidant assessment of an anthocyanin-enriched blackberry extract. Food Chem 101: 1052-1058. 

  29. Hu C, Zawistowski J, Ling W, Kitts DD. 2003. Black rice (Oryza sativa L. indica) pigmented fraction suppresses both reactive oxygen species and nitric oxide in chemical and biological model systems. J Agric Food Chem 51: 5271-5277. 

  30. John S, Jianmel Y, Joseph E, Yukio K. 2003. Polyphenolics in grape seeds-biochemistry and functionality. J Med Food 6: 291-299. 

  31. Hwang IW, Lee HR, Kim SK, Zheng H Z, Choi JU, Lee SH, Lee SH, Chung SK. 2008. Proanthocyanidin content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grape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5: 859-863. 

  32.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33. Kim JE, Joo SI, Seo JH, Lee SP. 2009.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89-995. 

  34. Nieva MM,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35. Choi Y, Jeo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03: 130-1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