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맥류(귀리, 보리, 호밀 및 밀)의 발아 시 변화되는 일반성분, phytic acid, 유리당, 무기성분 및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조회분은 발아 후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며, 조단백질은 귀리에서 발아 후 약간 증가하였다. 항암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phytic acid는 귀리가 발아 전 1.09 mg/g에서 발아 후 1.56 mg/g으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많은 증가를 보였다. Glucose 함량은 호밀과 밀에서 발아 후에 각각 6 및 3.5배 증가하였으며, maltose는 귀리와 밀에서 발아 후에 각각 7.4 및 5.5배 증가하였다. 주요 불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이었으며, 발아 시 palmitic acid와 linoleic acid는 귀리와 보리에서는 많은 감소를 보였으나, oleic acid는 귀리와 보리에서 발아 후에 각각 38.80 및 39.76%로 증가하였다. 추후 화학적인 성분 변화뿐만 아니라 발아 전후에 변화하는 생리활성 및 다양한 효소저해 활성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winter cereal crops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The contents of general composition (crude protein, lipid, and ash), phytic acid, free sugar, mineral, and fatty acid were analyzed. Crude ash co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종자를 싹 틔워 먹는 발아 식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맥류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리를 발아시킨 엿기름을 제외하고는 맥류 자체를 발아시킨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맥류 중 귀리, 보리, 호밀 및 밀을 도정 하지 않은 전곡상태에서 발아시킴에 따라 변화되는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발아 맥류를 이용한 새로운 기능성 소재 및 식품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맥류란 무엇인가? 맥류는 일반적으로 귀리, 보리, 쌀보리, 호밀, 밀, 라이밀 등을 총칭하며 약 1만 5000년 전부터 중요한 식용작물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라이밀 같은 새로운 맥류를 개발하는 데까지 발전해온 작물이다(1). 또한 맥류를 포함한 대부분의 곡류 배아에는 많은 영양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2), 배아의 영양성분을 증가시키거나 섭취율을 높이기 위한 발아 공정들이 개발되고 있다(3,4).
발아란 무엇인가? 발아란 식물의 씨눈에 정해진 유전적 정보가 적당한 환경하에서 싹이 발생 또는 그 종의 번식을 위해 생명을 시작하는 것으로 종자의 씨눈과 배젖에 있는 비활성상태의 DNA 유전정보와 각종효소, 영양소 등이 외적 환경 여건이 좋아지면 활성화 되어 식물로서의 생명을 시작하는데 발아 시 각종 영양소가 최대한 갖추어지게 된다(5). 씨눈 부분이 발아되면서 영양성분인 단백질과 아미노산, 지방산,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등이 변화하며, γ-orizanol이나 arabinoxylane, γ-aminobutyric acid(GABA), vitamin E 등의 생리활성 성분들도 증가하고 발아 중에 효소가 활성화됨으로써 영양성분들의 체내 흡수가 용이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맥류(귀리, 보리, 호밀 및 밀)의 발아 시 변화되는 일반성분, phytic acid, 유리당, 무기성분 및 지방산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무엇인가? 맥류(귀리, 보리, 호밀 및 밀)의 발아 시 변화되는 일반성분, phytic acid, 유리당, 무기성분 및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조회분은 발아 후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며, 조단백질은 귀리에서 발아 후 약간 증가하였다. 항암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phytic acid는 귀리가 발아 전 1.09 mg/g에서 발아 후 1.56 mg/g으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많은 증가를 보였다. Glucose 함량은 호밀과 밀에서 발아 후에 각각 6및 3.5배 증가하였으며, maltose는 귀리와 밀에서 발아 후에 각각 7.4 및 5.5배 증가하였다. 주요 불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이었으며, 발아 시 palmitic acid와 linoleic acid는 귀리와 보리에서는 많은 감소를 보였으나, oleic acid는 귀리와 보리에서 발아 후에 각각 38.80및 39.76%로 증가하였다. 추후 화학적인 성분 변화뿐만 아니라 발아 전후에 변화하는 생리활성 및 다양한 효소저해 활성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ee YT. 2008. Effects of malt modification on $\beta$ -glucan solubility and beer viscos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60-363. 

  2. Choi YM, Jeon GU, Kong SH, Lee JS. 2009. Changes in GABA content of selected specialty rice after germination. Food Eng Prog 13: 154-158. 

  3. Choe JS, Youn JY. 2005.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and wheat varieties. Korean J Food Nutr 34: 223-229. 

  4. Tamagawa K, Iizuka S, Fukushima S, Endo Y, Komiyama Y. 1997. Antioxidative activity of polyphenol extracts from barley bran. J Jap Soc Food Sci Technol 44: 512-515. 

  5. Bartnick M, Szafranska J. 1987. Changes in phytate content and phytase activity during the germination of some cereals. J Cereal Sci 5: 23-28. 

  6. Lee YR, Kim JY, Woo KS, Hwang IG, Kim KH, Kim KJ, Kim JH, Jeong HS. 2007.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ood Sci Biotechnol 16: 1006-1010. 

  7. Lee MH, Son HS, Choi OK, Oh SK, Kwon TB. 1994.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J Korean Food Nutr 7: 267-273. 

  8. Cho BM, Yoon SK, Kim WJ. 1985. Changes in amino acid and fatty acids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rapeseed. J Korean Food Sci 17: 371-376. 

  9. Choi KS, Kim ZU. 1985.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germination of mung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271-275. 

  10. Colmenares de Ruiz AS, Bressani R. 1990.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amaranth grain. Cereal Chem 67: 519-522. 

  11. Kim IS, Kwon TB, Oh SK. 1985.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371-376. 

  12. Hsu D, Leung HK, Finney PL, Morad MM. 1980. Effect of germination on nutritive value and baking properties of dry peas, lentils and faba beans. J Food Sci 45: 87-91. 

  13. Ikeda K, Arioka K, Fujii S, Kusano T, Oku M. 1984. Effect on buck-wheat protein quality of seed germination and changes in trypsin inhibitor content. Cereal Chem 61: 236-240. 

  14. Anderson RL, Wolf WJ. 1995. Compositional changes in trypsin inhibitors, phytate, saponins and isoflavones related to soybean processing. J Nutr 125: 581-588 

  15. Al-Wahsh IA, Horner HT, Palmer RG, Reddy MB, Massey LK. 2005. Oxalate and phytate of soy foods. J Agric Food Chem 53: 5670-5674 

  16.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35. 

  17. Bae SK, Lee YC, Kim HW. 2001. The browning reaction and inhibition of apple concentrated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13. 

  18. Lee JI, Kye BM. 1970. Effect of oil quality by extracting hour on rape. Res Rept RDA (C.P) 13: 89-94. 

  19. Haung W, Lantzsch HJ. 1983. Sensitive method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phytate in cereals and cereal products. J Sci Food Agric 34: 1423-1426. 

  20. Kim JY. 2008.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during germination.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Korea. p 33-38. 

  21. Seog HM, Kim JS, Hong HD, Kim SS, Kim KT. 1993.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 of maturing barley kernels. J Korean Agric Chem Soc 36: 449-455. 

  22. Higgins TJV, Jacobson JV, Zwar JA. 1982. Gibberellic acid and abscisic and modulate protein synthesis and mRNA levels in barley aleurone layers. Plant Mol Biol 1: 191-215. 

  23. MacGregor AW, MacDougal FH, Mayer C, Daussant J. 1984. Changes in levels of $\alpha$ -amylose components in barley tissues during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Plant Physiol 75: 203-206. 

  24. Shin JS, Kim YS. 2005. Changes of fatty acid during germination by seed pretreatment, SMP, in tobacco. Korean J Crop Sci 50: 156-1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