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답변위법을 적용한 수직구의 내진설계
Seismic Design of Vertical Shaft using Response Displacement Method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 지반공학, 터널공학, v.30 no.6C, 2010년, pp.241 - 253  

김용민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정상섬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이용희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장정범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응답변위법을 수직구 내진설계에 적용하고 구조물의 응답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기반면, 지반의 상대변위 산정 방법, 하중 산정 및 적용 방법에 따른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직구 내진설계를 위한 기반면은 전단파속도가 1500m/s를 초과하는 지반을 선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지반변위 산정 방법은 다층지반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double cosine이 가장 적합하다. 또한 응답변위법 해석을 위한 동토압 및 주면전단력 산정 시 구조물의 단면형상효과를 고려하는 것이 실제 수직구의 동적거동을 적절히 반영하며 경제적인 설계를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seismic design of a vertical shaft,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FE) analys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ccurate response of a vertical shaft and to apply a Response Displacement Method (RDM).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evaluation of seismic base and response displacement of 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지진 시 수직구의 거동은 2차원 수평 지하구조물과는 분명히 다름을 알 수 있으며, 현재 국내 설계지침 및 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응답변위법의 직접적인 적용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면형상효과(하중 산정 및 재하 방식)에 따른 수직구 동적거동을 유한요소해석을 기반으로 한 응답변위법 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를 바탕으로 수직구에 적합한 내진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 그리고 1차원 등가선형 지진응답해석은 PRO-SHAKE나 SHAKE91 프로그램을 통하여 전체 지반을 모델링한 후 실지진파를 입력하중으로 기반면에 적용시켜 지반의 상대변위를 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직구 특성에 적합한 지반 상대변위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위 3가지 지반변위 산정방법에 따른 응답변위법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동적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답변위법을 수직구 내진설계에 적용하고 구조물의 응답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1차원 지진응답해석 및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응답변위법을 통한 수직구 내진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기반면 선정 기준, 하중 산정 방법 및 재하 방식 등에 따라 수직구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3차원 응답변위법을 이용한 내진해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 이 때문에 지침 및 기준을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 서로 다른 기반면을 선정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구조물의 설치 심도가 깊어 기반면의 위치 또는 심도에 따라 산정되는 하중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적절한 기반면 선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기반지반에서 상대변위를 일으키지 않고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반면(기반암)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자 1차원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기반암의 전단파속도에 따른 변위거동을 분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응답변위법을 수직구 내진설계에 적용하였을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설계 인자들에 대한 거동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직구에 적합한 응답변위법 해석방법을 제시하고자 일련의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수직구 응답변위법 해석에 적합한 지반변위 산정방법을 제시하고자 응답변위법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동적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수직구에 작용하는 하중 및 재하 방법에 따른 거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3차원 응답변위법 해석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는 20m로 모멜링 하였다. 기반암 상부 표층지반은 연약 및 단단한 토사지반(h1)과 매우 조밀한 토사지반 및 연암(h2)으로 가정하였으며 각각의 층 높이를 20m~40m까지 10m씩 변화시키면서 해석을 수행하였다. 지반 전체 높이(H)는 80m이며 기반암에서 발생하는 최대변위를 세밀하게 관찰하기 위하여 1m간격으로 지반을 나누어 모델링하였다.
  • 해석 대상 지반의 전체 깊이(H)는 80m로 가정하였으며, 지층 구성은 1차원 등가선형 지진응답해석에서와 같은 Case A, Case B, Case C로 각각 나누어 응답변위법 해석을 수행하였다. 기반암은 구조물 저면 아래에(GL -60~-80m)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응답변위법에서는 기반암을 모델링 하지 않기 때문에 지반은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나누어 총 60m로 모델링 하였다. 수직구는 직경(D) 9m, 높이(Hs) 60m로 모델링 하였다(그림 11).
  • 상시 하중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반의 초기응력을 고려하기 위하여 깊이에 따라 σz=γ · z와 같이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수평응력(σx, σy)은 수직응력에 정지토압계수(K0)를 곱한 값을 사용하였다.
  • 해석 대상 지반의 구성은 그림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지반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SB지반 이상을 기반암으로 가정하였으며 높이(h3)는 20m로 모멜링 하였다. 기반암 상부 표층지반은 연약 및 단단한 토사지반(h1)과 매우 조밀한 토사지반 및 연암(h2)으로 가정하였으며 각각의 층 높이를 20m~40m까지 10m씩 변화시키면서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직구의 내진설계는 어떻게 분류될 수 있나요? 수직구의 내진설계는 크게 의사정적해석법(pseudo-static analysis method)인 응답변위법(response displacement method)과 동적해석법(dynamic analysis method)인 시간이력해석법(time history analysis method)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구조물이 복잡하거나 보다 상세한 해석이 요구되지 않는 한 간편법인 응답변위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응답변위법은 일본에서 3차원 구조물을 2차원으로 간편하게 설계하고자 처음 개발된 방법으로써 동적 하중을 정적 하중으로 치환하는 과정과 경계조건을 산정하는 방법들이 2차원 해석에 적합하도록 기준이 마련되어 있어 3차원 거동특성을 보이는 수직구에 직접적인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응답변위법이 갖는 특징은? 응답변위법은 주로 지하구조물의 내진설계를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서 동적인 지반운동을 정적으로 변환하여 내진해석을 한다는 점은 진도법과 같으나 지반운동으로 발생된 지반 변위로부터 구조물의 응력 및 변형률을 구하는 것이 응답변위법의 특징이다. 주변지반은 탄성스프링으로 모델링 하며 작용하중은 표층지반의 상대변위에 의한 동토압, 구조물 전단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주면전단력 그리고 구조물 중량에 따른 관성력이 있다(그림 1).
지진 시 표층지반의 상대 변위를 산정에는 어떤 방법이 사용될 수 있나? 구조물에 작용하는 동토압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지진 시 표층지반의 상대 변위를 먼저 산정해야 한다. 그 방법에는 해석대상 부지의 고유주기에 해당하는 기반면 속도 응답스펙트럼을 이용하는 방법과 파 전파 이론을 이용한 1차원 지진응답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실제 설계에서는 응답스펙트럼을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는 기반암의 상부지층을 하나의 질량을 가진 단자유도계(single degree of freedom)로 가정하고 기반암의 표준응답스펙트럼과 모드해석법을 이용하여 깊이에 따른 지반의 최대 상대변위를 산정하는 방법으로써(지중구조물 내진설계 표준 및 동해설, 1998), 단일코사인 함수법(single cosine method)과 이중코사인함수법(double cosine method)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건설교통부(1997) 내진설계 기준연구(II). 

  2. 건설교통부(2008) 도로설계기준. 

  3. 김명철, 김영일, 조우연, 김문겸(2004) 국내 특성이 반영된 지하구조물의 내진설계를 위한 수정응답변위법, 한국지진공학회, 한국지진공학회, Vol. 8, pp. 83-93. 

  4. 삼호(2005) 부산 B지역 4차 전력구 공사 지반조사 보고서. 

  5. 에스케이건설(2008) 서울 A지역 전기공급시설 전력구 공사 지반 조사 보고서. 

  6. 윤종구, 김동수, 유제남 (2003) 지중구조물 내진설계를 위한 기반면의 속도 응답스펙트럼 및 응답변위 산정기법에 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Vol. 19, pp. 211-221 

  7. 일본 건설성 (1998) 지중구조물 내진설계 표준 및 동해설. 

  8. Hibbit, Karlsson, Sorensen, and Pawtucket R.I. (2008) ABAQUS Version 6.8 Manual. 

  9. Huo, H., Bobet, A., Fernandez, G., and Ramirez, J. (2005) Load transfer mechanisms between underground structure and surrounding ground: evaluation of the failure of the daikai station,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131, pp. 1522-1533. 

  10. Kato K., N. Ohbo, K. Hayahsi, and K. Ueno (1991) Earthquake observation of shaft and ground (in Japanese), Proceeding of the 46th Annual Conference of the JSCE, pp. 1262-1 271. 

  11. Kawashima, K. (2006) Seismic analysis of underground structures, Journal of Disaster Research, Vol. 1, pp. 378-390 

  12. Kawashima, K. (1996) 지하 구조물의 내진 설계 (Seismic design of underground structure). 

  13. Ohbo, K. and Ueno, K. (1992) Dynamic behavior of super deep vertical shaft during earthquake, Earthquake Engineering, Tenth World Conference, Balkema, Rotterdam. 

  14. Sangseom Jeong, Yongmin Kim, Sungjun Lee, Jungbum Jang, and Yonghee Lee (2010) Numerical analysis of the seismic behavior of vertical shaft, 7th European Conference on Numerical Method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2-4, June, Trondheim, Norway 

  15. Xuehui An, Ashraf A. Shawky, and Koichi Maekawa(1997) The collapse mechanism of a subway station during the great hanshin earthquak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19, pp.24 1-257. 

  16. Youssef, M. A. Hashash, Jeffrey J. Hook, Briger Schmidt, and John I-Chiang Yao (2001) Seismic design and analysis of underground structures,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16, pp. 247-2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