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추출물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지질조성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on Lip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System in Rats Fed High Fat High Cholesterol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 2010년, pp.71 - 77  

송원영 (한국국제대학교 식품과학부) ,  성병훈 (금황바이오) ,  강신권 (한국국제대학교 식품과학부) ,  최정화 (한국국제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황버섯추출액을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쥐에 농도별로 50 mg/kg b.w(PA group), 100 mg/kg b.w(PB group)의 수준으로 공급하였을 시 지질대사 및 항산화 방어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체중증가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상황버섯 공급군에서는 체중의 감소가 나타났다. 특히 상황 버섯 농도를 높게 한 PB군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식이 효율 또한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상황버섯을 공급한 군에서는 감소하였고 PB군은 정상군 수준으로 되었다. 중성지질의 양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상황버섯을 공급한 PA군과 PB군은 모두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총콜레스테롤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군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상황버섯 공급군 PA, PB군은 감소하였다. 특히 상황버섯 농도를 높게 한 PB군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HDL-cholesterol은 정상군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상황버섯을 공급한 군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LDL-cholesterol 및 동맥경화지수(AI)는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상황버섯 공급군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상황버섯 농도를 높게 한 PB군에서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SOD 활성은 상황버섯 공급군에서 증가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또한 GPx를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콜레스테롤 공급군에서 감소되었고 상황버섯을 공급한 PA군과 PB군에서 고지방.콜레스테롤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특히 상황버섯 농도를 높게 한 PB군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생체 조직의 과산화적 손상 지표가 되는 간의 지질과산화물(TBARS) 함량을 간 조직에서 측정한 결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군에 비해 상황버섯을 공급한 모든 군에서 감소하였다. 또한 혈장에서 측정한 결과 상황버섯을 공급한 군 모두에서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상황버섯은 지질대사 개선작용을 지니고 있으며 항산화계 활성을 지니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water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on lip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system in rats fed high fat high cholesterol diet. Rats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which are composed of normal diet group, high fat high chol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견지에서 볼 때 항산화계와 관련된 기능성 물질로서 상황버섯의 이용을 기대해 볼 수 있는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공급한 흰쥐에서 상황버섯 추출물을 농도별로 공급하였을 시 혈액과 조직에서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황버섯의 혈중 지질대사와 간 조직에서의 항산화방어계의 개선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05 by Tukey's test. The experimental groups are the same as in Table 1.

    1)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황버섯이란? 버섯은 분류학상 진균류에 속하는 담자균과 자낭균 중 자실체를 형성하는 고등균류로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비타민(9,10) 등의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독특한 맛과 향을 지니고 있어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무공해 식품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상황버섯(P hellinus linteus)은 소나무 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 진흙버섯속(P hellinus)에 속하는 백색부후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면역활성의 증강을 통해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2). 특히 상황버섯에서 추출된 다당체의 항종양작용에 대한 기작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이들은 주로 marcrophage나 보체시스템 등의 면역 체계를 활성화시켜 항종양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버섯의 영양학적 가치는? 버섯은 분류학상 진균류에 속하는 담자균과 자낭균 중 자실체를 형성하는 고등균류로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비타민(9,10) 등의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독특한 맛과 향을 지니고 있어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무공해 식품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상황버섯(P hellinus linteus)은 소나무 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 진흙버섯속(P hellinus)에 속하는 백색부후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면역활성의 증강을 통해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2).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체내를 보호하는 항산화 방어계에는 어떤 효소가 있는가? 이러한 항산화 방어계의 주된 역할을 담당하는 인자에는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SH-px) 등의 효소 계열의 예방적 항산화계와 글루타티온,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카로티노이드 및 폴리페놀화합물 등 식물 유래의 식이성 천연항산화물질이 있다(7). 이에 따라 국내, 국외에서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의 개발과 함께 이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성식품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Lee KH, Choi HS, Kim WJ. 1995. Effect of several factors on the characteristics of six-vegetable and fruit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439-444. 

  2. Muller SA. 1999. Classification, pharmacology and side effects of common laxatives. Ital J Castroent Erol Hepatol 31: 234-237. 

  3. Manninen V, Tenkanen L, Kostinen P, Huttunen T, Manttari M, Heinonen O, Frick H. 1992. Joint effect of serum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on coronary heart disease risk in the Helsinki heart study. Circulation 85: 37-45. 

  4. Rifkind BM. 1986. Diet, plasma cholesterol and coronary heart disease. J Nutr 116: 1578-1580. 

  5. Mantha SV, Kalra J, Prasad K. 1996. Effects of probucol on hyper cholesterolemia-induced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s. Life Sci 58: 503-509. 

  6. Yokozawa T, Nakagawa T, Kitani K.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green tea polyphenol in cholesterol-fed rats. J Agric Food Chem 50: 3549-3552. 

  7. Ji LL. 1995. Exercise and oxidative stress: Role of the cellular antioxidant system. Gerontology 37: 317-325. 

  8. Kim DS, Kim CH. 2001. Effect of sea tangle, Laminaria J aponicus, extract on activities of glucokinase and hexokinase in alloxan-induced diabetic mellitus mice. Korean J Life Sci 11: 467-482. 

  9. Hong JS, Kim, YH, Lee KR, Kim MK, Cho CI, Park KH, Choi YH, Lee JB. 1988. Composition of organic acid and fatty acid in Pleurotus ostreatus, Lentinus edodes and Agaricus bispor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100-106. 

  10. Lim SS, Lee JH. 1997.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 alis and Circium japonicurn var ussuriense on serum lipid of hyperlipidemic rat. Korean J Nutr 30: 12-21. 

  11. Ren G, Liu XY, Zhu HK, Yang SZ, Fu CX. 2006. Evaluation of cytotoxic activities of some medicinal polypore fungi from China. Fitoterapia 77: 408-410. 

  12. Kim HM, Han SB, Oh GT, Kim YH, Hong DH, Hong ND, Yoo ID. 1996. Stimulation of humoral and cell mediated immunity by polysaccharide from mushroom Phellinus linteus. Int J Immunopharmacol 18: 295-303. 

  13. Tamura Y, Niinobe M, Arima T, Okuda H, Fujn S. 1973. Studies on aminopeptidases in rat liver and plasma. Biochim Biophys Acta 327: 437-445. 

  14. Rhee YK, Han MH, Park SY, Kim DH. 2000.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y of the fruit body of Phellinus linte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477-480. 

  15. Kwon SH, Kim CN, Kim CY, Kwon ST, Park KM, Hwangbo S. 2003. Antitumor activities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mycelia of mushroom. Korean J Food & Nutr 16: 15-21. 

  16. Jung ME, Ham SS, Nam SM, Kang IJ, Kim SJ, Chung CK. 2001.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methanol extract on liver lipid metabolism of rats fed $CCl_4$ and high f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31-337. 

  17. Shon TH, Nam KS. 2001. Antimutagenicity and induction of anticarcinogenic phase II enzyme by basidiomycetes. J Ethnopharmacol 77: 103-109. 

  18. Oh GT, Han SB, Kim HM, Han MW, Yoo ID. 1992.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to B-lymphocyte. Arch Pharm Res 15: 379-381. 

  19. Kim HM, Han SB, Oh GT, Kim YH, Hong DH, Hong ND, Yoo ID. 1996. Stimulation of humoral and cell mediated immunity by polysaccharides from mushroom Phellinus linteus. Int J Immunopharmacol 18: 295-303. 

  20. Pyo MY, Hyun SM, Yang KS. 2001. Effect of Phellinus lineus extracts on the humoral immune response in normal and cyclophosphamide-treated mice. J Appl Pharmacol 9: 194-200. 

  21.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2. Fiordaliso M, Kor N, Desager KP, Goethals F, Deboyser D, Roberfoid M, Delzenne N. 1995. Dietary oligofructose lowers triglycerides, phospholipids and cholesterol in serum and very low density lipoproteins of rats. Lipids 30: 163-167. 

  23. Folch JM, Lees M, Stanley GHS.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6: 497-509. 

  24. Sale FD, Marchesini S, Fishman PH, Berra B. 1984. A sensitive enzymatic assay for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in lipid extract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p 347-350. 

  25.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nti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6. Lawrence RA, Burk RF. 1976.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selenium-deficient rat liver. Biochem Biophy Res Commun 71: 952-958. 

  27. Satoh K. 1978. Serum lipid peroxide in cerebrovascular disorders determined by a new metric method. Clinica Chemica Acta 90: 37-43. 

  28.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29. Sreel RGD, Torrie JH. 1990.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McGrow Hill, New York, USA. 

  30. Koh JB, Lee CH. 2005. Effect of Pleurotus eryngii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Nutr 34: 626-631. 

  31. Kang SA, Jang KH, Hang KH, Choi WA, Jung KH, Lee IY. 2002. Effects of dietary $\beta$ -glucan on adiposity and serum lipids levels in obese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052-1057. 

  32. Kim HM, Han SB, Oh GT, Kim YH, Hong DH, Hong ND, Yoo ID. 1996. Stimulation of humoral and cell mediated immunity by polysaccharide from mushroom Phellinus linteus. Int J Immunopharmacol 18: 295-303. 

  33. Mantovani MS, Bellini MF, Angeli JP, Oliveira RJ, Silva AF, Ribeiro LR. 2007. $\beta$ -Glucan in promoting health: Prevention against mutation and cancer. Mutat Res 658: 154-161. 

  34. Manzi P, Pizzoferrato L. 2000. Beta-glucans in edible mushrooms. Food Chem 68: 315-318. 

  35. Cheung PCK. 1996.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the submerged fermentation of mushroom. Nutr Res 16: 1953-1957. 

  36. Jones DP, Eklow L, Orrenius S. 1981. Metabolism of hydrogen peroxide in isolated hepatocytes: relative contribution of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in decomposition of endogenously generated $H_2O_2$ . Arch Biochem Biophys 210: 505-516. 

  37. Shoi YH, Nam KS. 2001. Antimutagenicity and induction of anticarcinogenic phase II enzymes by basidiomycetes. J Ethnopharmacol 77: 103-109. 

  38. Ye SF, Hou ZQ, Zang QQ. 2007. Protective effects of Phellinus lineus extract against iron overload-mediated oxidative stress in cultured rat hepatocytes. Phytother Res 21: 948-953. 

  39. Matsuzawa T, Sano M, Tomita I, Saitoh H, Ohkawa M, Ikekawa T. 1998. Studies on antioxidants of Hypsizigus marmoreus. II. Effects of Hypsizigus marmoreus for antioxidants activities of tumor-bearing mice. Yakugaku Zasshi 118: 476-481. 

  40. Lee JW, Baek SJ, Bang KW, Kang SW, Kang SM, Kim BY, Ha IS. 2000. Biological activities of polysaccaride extracted from the fruit body and cultured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IY001. Kor J Food Sci Technol 32: 726-7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