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외 비식용부위(꼭지, 줄기.잎, 씨)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f Non-Edible Parts (stalk, stem.leaf, seed) from Oriental Melon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3 no.5, 2010년, pp.451 - 457  

김혜숙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  강영화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참외의 비식용부위인 씨, 꼭지, 줄기 잎 부위의 항산화 기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DPPH, ABTS, FRAP, SOD 등 다양한 항산화 실험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참외 비식용부위의 항산화 활성은 참외 꼭지부위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총 페놀 성분 또한 꼭지 생체 100 g당 143.4 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참외의 비식용부위 중 꼭지에서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참외 꼭지에서 항산화 활성 및 기능성분 함량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향후 다양한 생리활성 및 활성성분 규명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lucidate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non-edible parts of oriental mel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six samples including peel, placenta, stem leaf, flesh and seed were determine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using in vitro DPPH, ABTS, FR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꼭지, 줄기․ 잎의 경우는 참외 과실수확 후 부산물로 폐기되고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러한 부산물을 이용하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외의 비식용 부위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을 탐색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키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의 질병 및 노화는 무엇에 의해서 발생하는가? , 1993; Goleberg, 1994). 인간의 질병 및 노화는 인체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기 위한 대사과정에서 흡입한 산소 중 일부분이 활성산소라는 유독한 물질로 전함 됨으로써 발생한다. 이러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은 superoxide,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singlet oxygen 등으로 이들은 분자 구조적으로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DNA, 단백질, 효소와 같은 고분자의 세포 성분들을 쉽게 공격하여 DNA 변성, 효소 불활성화, 지질산화, 세포노화 등을 초래함으로써 암을 비롯한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동맥경화,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Helen, 1996; Papa and Skulachev, 1997).
활성산소종에는 무엇이 있는가? 인간의 질병 및 노화는 인체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기 위한 대사과정에서 흡입한 산소 중 일부분이 활성산소라는 유독한 물질로 전함 됨으로써 발생한다. 이러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은 superoxide,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singlet oxygen 등으로 이들은 분자 구조적으로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DNA, 단백질, 효소와 같은 고분자의 세포 성분들을 쉽게 공격하여 DNA 변성, 효소 불활성화, 지질산화, 세포노화 등을 초래함으로써 암을 비롯한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동맥경화,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Helen, 1996; Papa and Skulachev, 1997).
참외의 비식용부위인 씨, 꼭지, 줄기 잎 부위의 항산화 기능성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참외의 비식용부위인 씨, 꼭지, 줄기 잎 부위의 항산화 기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DPPH, ABTS, FRAP, SOD 등 다양한 항산화 실험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참외 비식용부위의 항산화 활성은 참외 꼭지부위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총 페놀 성분 또한 꼭지 생체 100 g당 143.4 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참외의 비식용부위 중 꼭지에서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참외 꼭지에서 항산화 활성 및 기능성분 함량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향후 다양한 생리활성 및 활성성분 규명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s, B.N., M.K. Shigenaga and T.M. Hagen.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90:7915-7922. 

  2. Anagnostopoulou, M.A., P. Kefalas, V.P. Papageorgiou, A.N. Assimopoulou and D. Boskou. 2006.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various extracts and fractions of sweet orange peel(Citrus sinensis). Food Chem. 94(1):19-25. 

  3. Benzie, I.F. and J.J. Strain.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1):70-76.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2. 

  5.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6. Coleman, M. D., S. Fernandes and L. A. Khanderia. 2003. A preliminary evaluation of a novel method to monitor a triple antioxidant combination (vitamin E, C and $\alpha$ -lipoic acid) in diabetic volunteers using in vitro methaemoglobin formation. Environ. Toxicol. Pharmacol. 14(1-2):69-75. 

  7. Corl, M. M. 1974. Antioxidant activity of tocopherol and ascorbylpalmitate and their mode of action. J. Am. Oil Chem. Soc. 51(7): 321-325. 

  8. Goleberg, I. 1994. Functional Foods. Chapman& Hall Press, New York, NY, USA. p. 350-550. 

  9. Helen, W. 1996. Dietary influences on membrane function: importance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disease. Nutr. Biochem. 7(1):2-15. 

  10. Hwang, I.W., H.R. Lee, S.K. Kim, H.Z. Zheng, J.U. Choi, S.H. Lee, S.H. Lee and S.K. Chung. 2008. Proanthocyanidin content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grape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5(6):859-863. 

  11. Kim, H.S., K.M. Ku, J.K. Suh and Y.H. Kang. 2009a. Quinone reductase inductive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hepatoma cell of oriental melon extract. J. Bio-Env. Con. 18(4):448-453. 

  12. Kim, H.S., M.J. Hong, I.Y. Kang, J.Y. Jung, H.K. Kim, Y.S. Shin, H.J. Jun, J.K. Suh and Y.H. Kang. 2009b.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oriental melon extract. J. Bio-Env. Con. 18(4):442-447. 

  13. Ku, K.M., H.S. Kim, B.S. Kim and Y.H. Kang.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pepper leaves from various cultivars and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ctivit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J. Appl. Biol. Chem. 52(2):70-76. 

  14. Lee, Y.S., J.B. Choi, E.Y. Joo and N.W. Kim. 2007.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of water extracts from Ailanthus altissima. J. Kor. Soc. Food Sci. Nutr. 36(9):1113-1119. 

  15.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469-474. 

  16. Oh. S.K., D.J. Kim, A.R. Chun, M.R. Yoon, K.J. Kim, J.S. Lee, H.C. Hong and Y.K. Kim. 2010.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milling by-products of rice cultivars. J. Kor. Soc. Food Sci. Nutr. 39(4):624-630. 

  17. Papa, S. and V. P. Skulachev. 1997. Reactive oxygen species, mitochondria, apoptosis and aging. Mol. Cell Biochem. 174(1-2):305-319. 

  18.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19. R.D.A. 1993. 92 Agriculture and livestock criterion profit. p. 10-13. Press of RDA. 

  20. Ronsivalli, L.J. and E.R. Vieira. 1992. Elementary food science. p. 338-344. AVI Book, New York. 

  21. Sakihama Y, M.F. Cohen, S.C. Grace and H. Yamasaki. 2002. Plant phenolic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phenolics induced oxidative damage mediated by metals in plants. Toxicology. 177:67-80. 

  22. Shin, S.R. and C.H. Lee. 2010. Antioxidant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aerial part and rhizomes of ferns native to Korea. Kor. J. Plant Res. 23(1):38-46. 

  23. Shin, Y.S., J.E. Lee, I.K. Yeon, H.W. Do, J.D. Cheung, C.K. Kang, S.Y. Choi, S.J. Youn, J.G. Cho and D. Kwoen. 2008. Antioxidant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extracts. J. Life Scien. 18(7):963-967. 

  24. Shin, Y.S., J.E. Lee, I.K. Yeon, H.W. Do, J.D. Cheung, C.K. Kang, S.Y. Choi, S.J. Youn, J.G. Cho and D.J. Kwoen.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 with water and ethanol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J. Kor. Soc. Appl. Biol. Chem. 51(3):194-199. 

  25. Williams G.M., C.X. Wang and M.J. Iatropoulos. 1990. Toxicity studies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I. Chronic feeding studies. Food Chem. Toxicol. 28:799-806. 

  26. Woo, J.Y., N.S. Paek and Y.M. Kim. 2005. Studies on antioxidative effect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of persimmon leaf extracts. Kor. J. Food & Nutr. 18(1):28-38. 

  27. Yoo K.M., D. Kim and C.Y. Lee. 2007.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antioxidant measurement. Food Sci. Biotechnol. 16:177-1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