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교수 실제를 통한 초임 과학교사의 PCK 분석
An Analysi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Teaching Practi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0 no.4, 2010년, pp.437 - 451  

민희정 (한국교원대학교) ,  박철용 (한국교원대학교) ,  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 과학교사의 PCK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공립중학교에 근무하는 두 명의 초임 과학교사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수업 촬영, 반구조화된 면담, 기타 문서자료 등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평가에 대한 지식은 약간 차이가 있지만 그 수준은 부족한 편이었으며, 교수전략과 교수 지향은 교사에 따라 매우 상이했다. 교사들은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을 인식하였지만, 학습자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부족해 두 초임과학교사의 수업은 공통적으로 과학교과서의 내용전달에 초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두 초임교사의 PCK는 예비교사의 PCK와 비슷했다. 초임교사의 PCK 발달을 위해 예비교사 프로그램의 패러다임전환과 현직교사 연수 및 지원 프로그램의 확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beginning science teachers' PCK.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beginning science teachers were chosen in public middle school.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record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other document data. 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agnusson 등 (1999)에 의하면 PCK를 어떤 요소들로 나누어 제안하였나?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의 입장에서 PCK의 요소를 제시한 Magnusson 등 (1999)의 정의를 따르고자 한다. 그는 PCK를 과학교 수에 대한 지향점,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신념, 평가에 대한 지식과 신념, 학습자 이해에 대한 지 식과 신념, 과학 교수를 위한 수업 전략에 대한 지식 과 신념 등 다섯 가지 요소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과 학 교수에 대한 지향은 과학을 가르치는데 있어 교사 가 가지고 있는 방향성을 말하며, 이 과학 교수 지향 에 따라 수업의 목표 및 수업에서 사용하는 전략 등의 교수 특징이 달라진다(Magnusson et al.
초임 과학교사의 PCK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평가에 대한 지식은 약간 차이가 있지만 그 수준은 부족한 편이었으며, 교수전략과 교수 지향은 교사에 따라 매우 상이했다. 교사들은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을 인식하였지만, 학습자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부족해 두 초임과학교사의 수업은 공통적으로 과학교과서의 내용전달에 초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두 초임교사의 PCK는 예비교사의 PCK와 비슷했다.
PCK는 무엇인가? 그는 미국교육의 과거를 돌아보며, 교과내용과 교육학적 지식 사이에 잃어버 린 패러다임이 존재하며, 이를 교사의 지식 중 하나인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라고 언급 하였다. 즉 PCK는 교사를 그 분야의 학자와 구분지어 줄 수 있는 내용과 교수법의 결합체(amalgam)로서 교과 내용 지식과 일반 교육학 지식이 통합된 것이다(Shulman, 1987).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PCK를 교수 내용 지식(박재원 등, 2007; 조희형, 고영자, 2008), 내용 교수 지식(최승현, 곽영순, 2007), ‘교수 학적 내용지식’(이연숙, 2006), ‘교수적 내용 지식’ (박경민, 2001), ‘내용교수법’(이화진 등, 2005), ‘교 과교육학 지식’(박성혜, 2003; 임청환, 2003) 등 다 양하게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번 역이 줄 수 있는 오해의 소지를 제거하고, 과학교사의 전문성을 표현하는 새로운 결합체로서의 속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경희(2009).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80-591. 

  2. 곽영순(2003). 과학과 수업 분석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84-493. 

  3. 곽영순(2008).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 유형별 교사 전문성의 특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92-602. 

  4.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5. 교육부(199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수학, 과학, 기술, 과정. 

  6.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2004). 과학교육학개론. 서울:북스힐. 

  7. 박경민(2001). 교수적 내용 지식에 대한 중등 과학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미현(2004). 과학 교사의 전공과 비전공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수업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성혜(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71-683. 

  10. 박성혜(2006).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법 및 자기 효능감과 태도에 따른 교과교육학지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22-131. 

  11. 박재원, 원정애, 백성혜(2007). 물속에서의 무게와 압력에 대한 초등 교사의 교수 내용 지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26(2), 226-241. 

  12. 박철용, 민희정, 백성혜(2008).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 과학교사의 교수내용 지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41-648. 

  13. 백성혜(2008). 화학 과목의 교사 자격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및 수업능력 평가 연구. 대한화학회 화학교육/초중등교사분과 심포지움: 중등 화학 임용 시험 체제 개선 방안, 15-37. 

  14. 성숙경(2010). 수업에 대한 동료교사의 협의가 과학교사의 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107-123. 

  15. 이연숙(2006).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및 그 표상(PCKr)의 개념적 정의와 분석도구 개발 : 예비 과학교사의'힘과 에너지'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윤식(1999). 분석장학론. 서울:교육과학사. 

  17. 이화진, 오은순, 송현정, 전효선, 조일수, 강대현, 권점례, 곽영순, 유정애, 이경언, 양윤정, 이윤, 김명화, 오상철, 홍선주, 김완수(2005). 2005 KICE 교수 학습개발센터 콘텐츠 개발?운영 -내용교수법(PCK) 및 온라인 수업장학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5-1. 

  18. 임청환(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4), 258-272. 

  19. 전화영, 유미현, 홍훈기, 박은이(2009).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수업 불안 실태 및 전문성 발달 노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68-78. 

  20. 조희형, 고영자(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 (PCK)의 재구성과 적용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21. 최승현, 곽영순(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7-3-3. 

  22. Cochran, K. F., DeRuiter, J. A., & King, R. A. (1993). Pedagogical content Knowing: An inte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4), 263-272. 

  23. De Jong, O., Van Driel, J. H., & Verloop, N. (2005). Preservice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Using Particle Models in Teaching Chemist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8), 947-964. 

  24. Denzin, N. K. (1978).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New York: McGraw-Hill. 

  25. Feldman, S. (1998). Teacher quality and professional unionism. In Shaping the Profession that Shape the Future, Speeches from the AFT/NEA(the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on Teacher Quality. Available at [www.aft.org/edissues/downloads/tqspeech.pdf]. 

  26. Gess-Newsome, J.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 N.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27.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8. Loughran, J. J., Mulhall, P., & Berry, A. (2004). In search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 ways of arti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ona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70-391. 

  29.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Academic Publishers. 

  30. Marks, R. (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31.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32. Mulhall, P., Berry, A., & Loughran, J.(2003). Frameworks for representing science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ia-Pacific Forum on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4(2), Article 2. 

  33. Mulholland, K., & Wallace, J.(2005). Growing the Tree of Teacher knowledge: Ten Years of Learning to Teach Element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7), 767-790. 

  34. NCATE (1998). Program Standards for elementary teacher preparation (review and comment edition). Washington DC: Author. 

  35.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36. NSTA (1998). Standards for Science Teacher Preparation. Washington DC: Author. 

  37. Tara Star., Graham, Peg., & Oppong, Nicholas K.(2007). Colleagues' roles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Result from a research study of National Board certifi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4), 368-389. 

  38.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39.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40. Stansbury, K., & Zimmerman, J.(2000). Lifelines to the Classroom: Designing Support for Beginning Teachers. Knowledge Brief. Washington, DC; National Center for Improving Science Education, WestED. 

  41. Van Driel, J. H., De Jong, O., & Verloop, N. (2002).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6(4), 572-590. 

  42.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43. Wenglinsky, H. (2000).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