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njugated linoleic acid의 비만 남자중학생 체지방 감소와 운동력 증진효과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Body Fat Reduction and Physical Exercise Enhancement of Obese Male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12 = no.128, 2010년, pp.1844 - 1850  

하영래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정소봉 (경상대학교 체육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자 중학생에 대한 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의 체지방감소, 동맥경화 지표 개선 및 신체활력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체지방율이 30% 이상 인 건강한 남자 중학생 희망자 24명을 CLA섭취군과 대조군(placebo)으로 무작위로 나누고 CLA (하루에 2회, 총 6 g)와 placebo를 이중맹검법으로 총 12주간 처리하였다. 실험전과 마지막에 인체구성, 혈중 지질조성 및 운동력을 조사하였다. CLA는 체지방과 body mass index (BMI)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지만, placebo는 효과가 없었다. CLA는 low-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및 tryglyceride를 유의성 있게 낮추었고, high-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는 증가시켰다. 운동능력인 trunk flexion, closed-eyes foot balance, standing long jump, shuttle run 및 sit-up를 향상시켰다. 이 결과는 CLA가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동맥경화 및 인체활동능력을 개선할 수 있어 비만 청소년의 체력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dy fat reducing and physical-activity enhancing effects, along with artherosclerosis improving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were elucidated on obese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ore than 30% body fat. Twenty-four volunte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placebo, n=12)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청소년 비만의 경우 운동능력이 저하되며 관상동맥질환의 병변이 조기에 나타나기 때문에 CLA의 비만개선에 따른 운동능력과 동맥경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혈중지질 성분 변화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LA가 비만 남자 15세 전후 중학생들의 신체조성에 대한 변화와 운동능력 및 혈중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비만은 잉여 에너지가 체내 지방조직에 축적되어 대사 장애를 일으키는 증상을 말한다[1]. 최근 비만 유병률은 서구지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비만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은? 비만치료는 체지방 감소에 의한 체중 감량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식사요법, 운동요법 및 행동수정요법이 병행되어야만 우수한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다[12,19].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고 실현이 쉽지 않기 때문에 체지방 감소를 위해 기능성 식품을 많이 활용한다.
기능성 식품 중 전 세계적으로 체지방 감소 효과로 비만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질로 인정받는 것은?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고 실현이 쉽지 않기 때문에 체지방 감소를 위해 기능성 식품을 많이 활용한다.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는 동물 및 사람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체지방 감소효과가 있는 물질로 밝혀져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7,29]. 따라서 현재 CLA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체지방감소 효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성 물질로 인정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ndersen, R. E., C. J. Crespo, S. Franc and J. Walston. 2000. Obesity and report of no leisure time activity among Americans. Educ. Gerontol. 27, 297-306. 

  2. Belury, M. A., A. Mahon, and S. Banni. 2003. The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omer, t10, c12-CLA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changes in body weight and serum leptin in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 Nutr. 133, 257-260. 

  3. Blankson, H., J. A. Stakkestad, H. Fagertun, E. Thom, J. Wadstein, and O. Gudmundsen. 2000. Conjugated linoleic acid reduces body fat mass in overweight and obese humans. J. Nutr. 130, 2943-2948. 

  4. Corl, B. A., D. M. Barbano, D. E. Bauman, and C. Ip. 2003. Cis-9,trans-11 CLA derived endogenously from trans-11 18:1 reduces cancer risk in rats. J. Nutr. 133, 2893-2900. 

  5. DeLany, J. P. and D. B. West. 2000. Changes in body composition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J. Am. Coll. Nutr. 19, 487-493. 

  6. Gaullier, J. M., J. Halse, K. Hoye, K. Kristiansen, H. Fagertun, H. Vik, and O. Gudmundsen. 2004. Conjugated linoleic acid supplementation for 1 year reduces body fat mass in healthy overweight humans. Am. J. Clin. Nutr. 79, 1118-1125. 

  7. Gaullier, J. M., J. Halse, K. Hoye, K. Kristiansen, H. Fagertun, K. Vik, and O. Gudmundsen. 2005. Supplementation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for 24 months is well tolerated by and reduces body fat mass in health, overweight humans. J. Nutr. 135, 778-784. 

  8. Gaullier, J. M., J. Halse, H. O. Hoivik, K. Hoye, C. Syvertsen, M. Nurminiemi, C. Hassfeld, A. Einerhand, M. O'Shea, and O. Gudmundsen. 2007. Six months supplementation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induces regional-specific fat mass decreases in overweight and obese. Br. J. Nutr. 97, 550-560. 

  9. Ha, Y. L., N. K. Grimm, and M. W. Pariza. 1987. Anticarcinogens from fried ground beef: heat-altered derivatives of linoleic acid. Carcinogenesis 8, 1881-1887. 

  10. Jeon, H. R. 2009.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body composition. ghrelin and glucagon like peptide-1 levels following circuit weight training in overweight college male students. J. Korean Phys. Edu. Asso. Girls Women 23, 49-61. 

  11. Jeong, Y. J., J. H. Sin, K. S. Yeom, C. H. Song, H. S. Choi, K. S. Kim, and J. H. Park.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indices and physical fitness. J. Korean Acad. Fam. Med. 24, 271-278. 

  12. Joseph, E. D. 1991. Effect of a VLCD and physical-training regimen on body composition and resting metabolic rate in obese females. Am. J. Clin. Nutr. 54, 32-31. 

  13. Kim, J. H., O. H. Kim, Y. L. Ha, and O. J. Kim. 2008. Supplement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with r-oryzanol for 12 weeks effectively reduces body fat in healthy overweight Korean women. J. Food Sci. Nutr. 13, 146-156. 

  14. Kim, J. M. 2008. The Effect of 8 weeks CLA intake on body weight, body composition and antioxidant status in BMI ${\geq}23$ subjects with exercise. MS Thesis, Kyungnam University. Masan, Korea. 

  15. Kim, O. H. 2007. Effects of functional foods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he body weight and body fat mass in overweight and obese Korean women. Ph.D.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6. Kim, Y. M. 2009.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circuit weight training.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7. Kitchevsky, D., S. A. Tepper, S. Wright, S. K. Czarnecki, T. A. Wilson, and R. J. Nicolosi. 2004. Conjugated linoleic acid isomer effects in atherosclerosis: growth and regressing of lesions. Lipids 39, 611-616. 

  18. Kuhnt, K., A. Wager, J. Kraft, S. Basu, and G. Jahreis. 2006.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11,trans- and 12,trans-18:1 and oxidative stress in humans. Am. J. Clin. Nutr. 84, 981-988. 

  19. Lee, J. H. 1994. Treatment of obesity. Korean J. Nutr. 23 347-350. 

  20. Lee, K. N., D. Krichevsky, and M. W. Pariza. 1994.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atherosclerosis in rabbits. Atherosclerosis 108, 19-25. 

  21. Lock, A. L., B. A. Corl, D. N. Barbano, D. E. Bauman, and C. Ip. 2004. The anticarcinogenic effect of trans-11 18:1 in dependent on its conversion to cis-9,trans-11 CLA by delta-9 desaturase in rats. J. Nutr. 134, 698-2704. 

  2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2005. Student physical examination results of 2005.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2007. 2005 National Nutrition Survey. 

  24. icolosi, R. J., E. J. Rogers, D. Kritchevsky, J. A. Scimeca, and P. J. Huth. 1997.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reduces plasma lipoproteins and early arotic atherosclersis in hypercholesterolemic hamsters. Artery 22, 266-277. 

  25. Oh, K. W., J. M. Jang, N. Y. Lee, J. S. Moon, J. K. Lee, B. H. You, and Y. T. Kim. 2008.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1997 and 2005. J. Korean Soc. Otolaryngol. 51, 950-955. 

  26. Ostrowska, E., M. Muralitharan, R. F. Cross, D. E. Bauman, and F. R. Dunshea. 1999.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s increase lean tissue and decrease fat deposition in growing pigs. J. Nutr. 129, 2037-2042. 

  27. Park, Y., K. J. Albright, W. Liu, J. M. Storkson, M. E. Cook, and M. W. Pariza. 1997.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body composition in mince. Lipids 32, 853-858. 

  28. Pate, R. R. 1988. Thedelving definition of physical fitness. Quest 40, 174-179. 

  29. Silveria, M. B., R. Carraro, S. Monereo, and J. Tebar. 2007.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obesity. Public Health Nutr. 10, 1181-1186. 

  30. Stangl, G. I. 2000. High dietary level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mixture alter hepatic glycerophospholipid class profile and cholesterol-carrying serum lipoproteins of rats. J. Nutr. Biochem. 11, 184-191. 

  31. Thoma, W. and T. W. Rowland. 1999. Effects of obesity on aerobic fitness in adolescent females. Am. J. Dis. Child. 145 764-768. 

  32. Watras, A. C., A. C. Buchholz, R. N. Close, Z. Zhang, and D. A. Schoeller. 2007. The role of conjugated linoleic acid in reducing body fat and preventing holiday weight gain. Int. J. Obesity 31, 481-487. 

  33. Watson, A. W. S. 1988. Quantification of influence of body fat content on selected physical performance variables in adolescent boys. Ir. J. Med. Sci. ISO. 157, 383-384. 

  34. Whigham, L. D., A. C. Watras, and D. A. Schoeller. 2007. Efficacy of conjugated linoleic acid for reducing fat mass: a meta-analysis in humans. Am. J. Clin. Nutr. 85, 1203-1211. 

  35. Yamasaki, M., H. Chujo, H. Tachibana, and K. Yamada. 2003. Immunoglobulin and cytokine production from spleen lympocyte is modulated in C57BL/6J mice by dietary cis-9,trans-11 and trans-10,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J. Nutr. 133, 784-7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