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동해안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인 갯방풍으로부터 2개의 polyacetylene 화합물인 falcarindiol(1)과 falcarinol(2), 4개의 coumarin 화합물인 bergapten(3), xanthotoxin(4), umbelliferone(5), scopoletin(6) 및 1개의 sesquiterpene 화합물인 $(5\beta,10\alpha)$-lasidiol angelate(7)가 분리되었다. 이들 화합물 중 scopoletin(6)과 $(5\beta,10\alpha)$-Lasidiol angelate(7)는 갯방풍으로부터 처음 분리되어진 것이다.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결정은 $^1H$ COSY, HMQC 그리고 HMBC와 같은 2D NMR 분광학적 실험과 문헌에 보고 된 값을 비교하여 이루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polyacetylenes (1 and 2), four coumarins (3-6), and one sesquiterpene (7) were isolated from the halophyte Glehnia littoralis. Particularly, compound 6 and 7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Glehnia littoralis. Their chemical structures have been determined by extensive 2-D NMR experim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갯방풍 추출물 시료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을 자세히 분석해 본 결과 구조적으로 또 다른 형태의 화합물들이 미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어 갯방풍 시료를 대량으로 채집하였으며 이러한 미량성분들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갯방풍에서 추가적으로 분리된 3가지 화합물과 이들의 구조결정 및 생리활성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갯방풍에서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한 시약 및 기기는 무엇을 사용하였는가? 화합물의 분리에 사용한 칼럼 충전물질은 RP18(YMCGEL ODS-A, 12 nm, S-75 μM), silica gel(silica gel 60, 0.0063-0.200 mm, Merck), HP20(HP-20 supelco, 250 - 850 μM, Sigma)을 사용하였으며, TLC plate는 Silica F254s(Merck)를 사용하였다. 추출, 분획 및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한 모든 용매는 1급 시약을 사용하였다. RI detector가 장착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Dionex P580)를 이용하여 화합물을 분리·정제하였으며 HPLC column은 YMC pack ODS-A(250 × 10 mm, S 5 μM, 12 mm)을 사용하였다. 선광도는 CHCl3용매로 polarimeter (ATAGO, POLAX-2L)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화합물의 구조 동정은 Varian NMR (300 MHz)을 사용하였으며 NMR 측정 용매는 CD3OD와 CDCl3(Cambridge Isotope Laboratories, Inc., USA)를 사용하였다.
갯방풍(Glehnia littoralis Fr. Schm. ex Miq.)은 무엇인가? ex Miq.)은 산형과(Umbelliferae) 갯방풍속(Glehnia)의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일본, 중국, 만주, 사할린, 오츠크, 큐릴열도 및 북미 캘리포니아에서 알래스카까지 주로 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1 갯방풍의 서식지는 해양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바닷가 해안사구로써 바닷물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염분이 유입되어 일반적으로 다른 육상식물들이 생존하기 어려운 염분함량이 높은 독특한 생태계이므로 갯방풍에는 기존 육상식물들과는 다른 이차 대사물질들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갯방풍의 서식지는 어디인가? )은 산형과(Umbelliferae) 갯방풍속(Glehnia)의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일본, 중국, 만주, 사할린, 오츠크, 큐릴열도 및 북미 캘리포니아에서 알래스카까지 주로 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1 갯방풍의 서식지는 해양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바닷가 해안사구로써 바닷물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염분이 유입되어 일반적으로 다른 육상식물들이 생존하기 어려운 염분함량이 높은 독특한 생태계이므로 갯방풍에는 기존 육상식물들과는 다른 이차 대사물질들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i, H. I.; Liu, T. S.; Huang, T. C.; Koyama, T.; Devol, C. E. 

  2. Chiang Su New Medicinal College (de.). Dictionary of Chinese Crude Drug; Shanghai Scientific Technologic Publisher: Shanghai, 1977, p 644. 

  3. Choo, B. K.; Ji, Y. U.; Moon, B. C.; Kim, B. B.; Lee, A. Y.; 

  4. Kim, S. M.; Shin, D. I.; Song, H. S.; Kim, S. K.; Yoon, S. T. 

  5. Hiraoka, N.; Chang, J. I.; Bohm, L. R.; Bohm, B. A, Biochem Syst Ecol. 2002, 30, 321. 

  6. Miyazawa, M.; Kurose, K.; Itoh, A.; Hiraoka, N.; Kameoka, 

  7. Shin, S. W. Natural product sciences. 2005, 11, 92. 

  8. Anetai, M.; Masuda, T.; Takasugi, M. Natural Medicines 1996, 

  9. Anetai, M.; Masuda, T.; Takasugi, M. Natural Medicines 1997, 

  10. Seo, Y. K.; Ryu, K. S. Korean J. Pharmacog. 1977, 7, 233. 

  11. Kong, C. S.; Um, Y. R.; Lee, J. I.; Kim, Y. A.; Ye, S. S.; Seo, 

  12. Um, Y. R.; Kong, C. S.; Lee, J. I.; Kim, Y. A.; Nam, T. J.; Seo, 

  13. Elgmal, M. H. A.; Elewa, N. H.; Elkhrisy, E. A. M.; Duddck, 

  14. Masuda, T.; Takasugi, M.; Anetai, M. Phytochem. 1998, 47, 13. 

  15. Lechner, D.; Stavri, M.; Oluwatuyi, M.; Pereda-Miranda. R.; 

  16. Lee, J. H.; Kim, K. H. Cancer Prev. Res. 2008, 13, 216. 

  17. Repcak, M.; Imrich, J.; Franekova, M. J. Plant Physiol. 2001, 

  18. Singh, R.; Singh, B.; Singh, S.; Kumar, N.; Kumar, S.; Arora, 

  19. Hirata, T.; Shimoda, K.; Fujino, T.; Ohta, S. J. Mol. Catal. B Enzym. 2000, 10, 477. 

  20. Bayoumi, S. A. L.; Rowan, M. G.; Beeching, J. R.; Blagbrough, I. S. Phytochem. 2010, 71, 598. 

  21. Mikami, M.; Taya, S.; Nakai, T.; Fujita, Y. J. Org. Chem. 1981, 

  22. Spraul, M. H.; Nitz, S.; Drawert, F.; Duddeck, H.; Hiegemann, 

  23. Appendino, G.; Jakupovic, J.; Bossio, E. Phytochem. 1998, 49, 17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