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의료 및 복지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공감, 문화적 민감성에 관한 연구
Cultural Knowledge, Empathy and Cultural Sensi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ealth And Welfare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3 no.2, 2010년, pp.192 - 199  

오원옥 (동국의대 간호학과) ,  정우식 (차의과학대학교 건강과학대학 보건행정정보학과) ,  강형곤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김은혜 (차의과학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실버산업복지학과) ,  석민현 (차의과학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creasing highly in Korea.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students majoring in health and welfare need to develop their cultural competence for quality of lif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was to be conducted by examining the level of culture knowled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건의료 및 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공감, 문화적 민감성 정도를 파악한다.
  • 보건의료 및 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공감, 문화적 민감성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보건의료 및 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지식, 공감, 문화적 민감성 정도를 파악한다.
  • 8점으로 매우 낮은 점수를 보였다. 다문화 지식은 민족별로 그 민족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전통이나 종교, 생활습관 등에 관해 질문하는 방법과 다문화와 관련된 개념이나 용어에 대해 대상자가 얼마나 알고 있는지를 질문하는 것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문화의 다양성과 차이성에 대해 대상자가 얼마나 알고 있는지를 질문하였다. 이런 유형의 다문화지식 도구를 이용한 연구결과,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전문직과 일반직의 다문화 지식은 66점 (Jones et al, 2004), 간호사의 다문화지식은 74점 (Kardong-Edgren et al.
  • 특히, 보건복지 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에 가장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전문 인력의 준비에 관한 연구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영역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문화적 역량의 주요 요소인 다문화 지식, 공감, 문화적 민감성의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 요소 간의 상호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보건복지 전공자들을 문화적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우리사회가 빠른 속도로 다양화 되고, 다문화 가족의 수가 급증하고 있지만, 국내 연구에서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보건의료나 복지 서비스의 실태, 타당도, 인력의 준비 등에 관한 검토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보건의료 및 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지식, 공감, 문화적 민감성 수준을 파악하여 보건의료 및 복지를 전공하는 미래 전문인력의 문화적 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보건의료 및 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공감, 문화적 민감성 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보건의료 및 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공감, 문화적 민감성 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다문화지식과 문화적 민감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다문화 지식과 태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Kardong-Edgren 등(2005)의 선행연구와도 일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측정도구가 다양한 문화의 세부적인 실제 사항들을 대상자가 알고 있는지에 대한 측정이라기 보다는 다문화와 관련된 개념을 대상자가 얼마나 알고 있는지를 질문한 도구라는 한계점을 지적할 수 있다. 다문화 지식을 측정하는 도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문화의 규범이나 언어사용, 행동 양상 등에 대한 세부적인 지식을 측정하는 방법과 다문화 관련 개념들에 대한 측정으로 구별될 수 있고, 본 연구는 후자의 도구를 선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가 국가적 차원에서 다문화 가족에게 제공한 서비스는? 결혼이민자의 상당수는 언어소통, 사회적 편견과 차별, 자녀교육 문제 등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가족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같은 다문화 사회통합 지원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고 있다. 정부는 2006년부터 21개 지역에 결혼이민자 가족 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임신 및 출산 지원, 상담․ 교육 ․ 정보제공, 자녀양육지원, 한국어교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는데 (보건복지부, 2009),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선행요건은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 인력의 확보라고 할 수 있다.
국제결혼 출신국은? 우리나라의 전체 혼인 건 수 중 약 11%는 국제결혼이며, 결혼이민자의 수도 15만 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농림어업 종사 남성의 40%가 외국 여성과 결혼하고, 출신국은 중국, 베트남, 필리핀, 일본 등인 것으로 나타나 (통계청, 2009), 우리나라 보건의료 및 복지 서비스 실무에서 다문화가정,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 및 서비스 개발이 주요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결혼이민자의 상당수는 언어소통, 사회적 편견과 차별, 자녀교육 문제 등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가족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같은 다문화 사회통합 지원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고 있다.
결혼이민자의 상당수가 겪는 어려움은? 특히, 농림어업 종사 남성의 40%가 외국 여성과 결혼하고, 출신국은 중국, 베트남, 필리핀, 일본 등인 것으로 나타나 (통계청, 2009), 우리나라 보건의료 및 복지 서비스 실무에서 다문화가정,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 및 서비스 개발이 주요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결혼이민자의 상당수는 언어소통, 사회적 편견과 차별, 자녀교육 문제 등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가족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같은 다문화 사회통합 지원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고 있다. 정부는 2006년부터 21개 지역에 결혼이민자 가족 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임신 및 출산 지원, 상담․ 교육 ․ 정보제공, 자녀양육지원, 한국어교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는데 (보건복지부, 2009),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선행요건은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 인력의 확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인수 (2005). 한국판 의과대학생 공감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 박미수 (2010). 대학생의 성별과 종교의 유무에 따른 용서와 공감능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남. 

  3. 박성희 (1994). 공감, 공감적 이해. 서울: 원미사. 

  4. 박은숙, 석민현, 정경숙 (1997). 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3(2), 142-153. 

  5. 보건복지부 (2009). 가족건강사업안내. 

  6. 통계청 (2009). 한국의 사회동향 2009. 

  7.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2008). 문화적 민감성 척도 개발. 평택대학교. 

  8. 황경주 (1988). 간호사의 공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9. American Nurses Association (2007). Public health nursing: Scope and standards of practice. Silver Spring. 

  10. D'Andrea, M., Daniels, J., & Noonan, M. J. (2003). New developments in the assessment of multicultural competence: The multicultural awareness-knowledge-skills survey. Teachers form. In Pope-Davis, D. B., Coleman, H. L. K., Liu, W. M., & Toporek, R. L. Handbook of multicultural competencies in counseling and psychology. 154-167,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1. Bennett, J. A., De Mayo, M., & Saint Germain, M. (1993). Caring in the Time of AIDS: The Importance of Empathy. Nurs Adm Q, 17(2), 46-60. 

  12. Clark, M. J. (2008). Community health nursing: A advocacy for population health. practice (5th ed.). 216-218,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13. Davis, M. H. (1983).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multidimensional approach. J Pers Soc Psychol, 44(1), 113-126. 

  14. Foronda, C. F. (2008). A concept analysis of cultural sensitivity. J Transcult Nurs, 19(3), 207-212. 

  15. Giger, J, N., & Davidhizar, R. (2002). Culturally competent care: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people of afghanistan, afghanistan americans, and islamic culture and religion. Int Nurs Rev, 49(2), 79-86. 

  16. Holleran, L. K., & MacMaster, S. A. (2005). Applying ciltural competency framework to twelve step programs. Alcohol Treat Q, 23(4), 107-120. 

  17. Hughes, K. H., & Hood, L. J. (2007). Teaching methods and an outcome tool for measuring cultural sensitivity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 Transcult Nurs, 18(1), 57-62. 

  18. Jeffrey, C. L. (2008). Empathy and competence. eMJA, 188(7), 414-416. 

  19. Jones, M. E., Cason, C. L., & Bond, M. L. (2004). Cultural attitudes, knowledge, and skills of a health workforce. J Transcult Nurs, 15(4), 283-90. 

  20. Johnson, J. D. (2005, Winter). The role of cultural competency in eliminating health disparities. Minority Nurse, 52-55. 

  21. Kardong-Edgren, S., Bond, M. L., Schlosser, S., Cason, C., Jones, M. E., Warr, R., & Strunk, P. (2005). Cultural attitudes, knowledge, and skills of nursing faculty toward patients from four diverse cultures. J Prof Nurs, 21(4), 175-82. 

  22. LaMonica, E. L. (1981). Construct validity of an empathy instrument. Res Nurs Health, 4(4), 389-400. 

  23. Lee, C. A., Anderson, M. A., & Hill, P. D. (2006). 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for nurses: A pilot study. J Contin Educ Nurs, 37(6), 137-141. 

  24. Majumdar, B., Browne, G., Roberts, J., & Carpio, B. (2004). Effects of cultural sensitivity training on health care provider attitudes and patient outcomes. Image J Nurs Sch, 36(2), 161-166. 

  25. Maurer, F. A., & Smith, C. M. (2009). Community/public health nursing practice: Health For families and populations. 4th ed. Saunders. 

  26. Mercer, S. W., & Reynolds, W. J. (2002). Empathy and quality of care. Br J Gen Pract, 52, S9-S13. 

  27. Morse, J. M., Anderson, G., Bottorff, J. L., Yonge, O., O'Brien, B., Solberg, S. M., McIlveen, K. H. (1992). Exploring empathy: A conceptual fit for nursing practice? Image J Nurs Sch, 24(4), 273-80. 

  28. Napholz, L. (1999). A comparison of self-reported cultural competency skills among two group of nursing students: Implications for nursing education. J Nurs Educ, 38(2), 81-83. 

  29. Rew, L., Becker, H., Cookston, J., Khosropour, S., & Martinez, S. (2003). Measuring cultural awareness in nursing students. J Nurs Educ, 42(6), 249-257. 

  30. Ruddock, H. C., & Turner, S. (2007). Developing cultural sensitivity: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a study abroad programme. J Adv Nurs, 59(4), 361-369. 

  31. Schattner, A., Rudin, D., & Jellin, N. (2004). Good physicia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patients. BMC Health Serv Res, 4, 26. 

  32. Smith, L. (1998). Concept analysis: Culture competence. J Cult Divers, 5(1), 4-10 

  33. Wells, M. I. (2004). Beyond cultural competence: A model for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cultural development. J Community Health Nurs, 17(4), 189-199. 

  34. Williams, A., Mason, A., & Wold, J. (2001). Cultural sensitivity and day care workers. AAOHN J, 49(1), 35-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