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둠토의를 활용한 초등학생 흡연예방교육의 효과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by Making Use of Group Discussion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3 no.2, 2010년, pp.246 - 255  

심상희 (왕곡초등학교) ,  김현숙 (신흥대학 간호과) ,  김윤신 (한양대학교 산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based on an experimental research program designed to evaluate the before and after states of a control group that undertook a series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sessions. Methods: The research was undertaken between June 2 and July 22, 2008. Students from two public ele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흡연경험 이전인 초등학교 4학년생을 대상으로 모둠토의를 활용한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흡연경험 이전인 초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고 흡연예방을 위한 태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모둠토의를 활용한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그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는 흡연을 경험하기 이전 단계인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학습자 중심의 모둠토의를 활용한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000), Scheffe 사후 검정 결과 3차>2차>1차 순으로 흡연 관련 태도점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대조군의 흡연 관련 태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네 번째 가설인 모둠토의를 활용한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5차시 교육 후보다 10차시 교육 후에 흡연 관련 태도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표 8>.
  • 넷째, 모둠토의를 활용한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5차 시 교육 후보다 10차 시 교육 후에 흡연 관련 태도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두 번째 가설인 모둠토의를 활용한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에 대한 태도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는 흡연예방교육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흡연 관련 태도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6.
  • 둘째, 모둠토의를 활용한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에 대한 태도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000), Scheffe 사후 검정 결과 3차>2차>1차 순으로 흡연 관련 태도점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대조군의 흡연 관련 태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네 번째 가설인 모둠토의를 활용한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5차시 교육 후보다 10차시 교육 후에 흡연 관련 태도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표 8>.
  • 구체적으로 어느 시기에 평균의 차이가 의미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Scheffe 사후 검정 결과 3차>2차>1차 순으로 흡연 관련 지식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대조군의 시기별 흡연 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세 번째 가설인 모둠토의를 활용한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5차시 교육 후보다 10차시 교육 후에 흡연 관련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표 7>.
  • 구체적으로 어느 시기에 평균의 차이가 의미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Scheffe 사후 검정 결과 3차>2차>1차 순으로 흡연 관련 지식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대조군의 시기별 흡연 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세 번째 가설인 모둠토의를 활용한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5차시 교육 후보다 10차시 교육 후에 흡연 관련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표 7>.
  • 셋째, 모둠토의를 활용한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5차 시 교육 후보다 10차 시 교육 후에 흡연 관련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첫 번째 가설인 모둠토의를 활용한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 관련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는 흡연예방교육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흡연 관련 지식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4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인의 흡연율 추이는? 인간의 여러 가지 질병 중 흡연에 기인하는 것은 예방이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흡연으로 인한 피해는 여전히 심각하다. 점차 흡연의 건강위해성이 제기되면서 국가의 적극적인 흡연예방사업의 영향으로 성인의 흡연율은 2004년 30.4%에서 2007년 23.2%, 2010년 22.4%로 서서히 감소하고 있으나, 청소년 흡연율은 중학생의 경우 2004년 남학생 2.4%에서 2008년 4.
초등학생의 흡연에 대해 흡연예방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세포조직이 취약하고 신체적 발육이 완성되지 않은 초등학생 시기 흡연의 건강 위해성은 밝혀진 바와 같이 성인기에서의 흡연보다 더욱 크고 니코틴에 더 쉽게 중독될 뿐만 아니라 흡연의 장기화를 가져와 끊기도 어려우며, 이 시기의 흡연이 다른 약물을 사용하거나 중독에 이르게 하는 관문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청소년의 비행을 조장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Manely & Glynn, 1989; Epps et al., 1995; 류황건 등, 2002) 체계적인 흡연예방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문정순, 2002; 이은혜와 김일옥, 2003;김명희, 2004; 김수영, 2004; 김유자, 2004; 백경신, 2006;박우연, 2006; 이재형, 2007).
청소년 흡연율의 증가추세는? 2%, 2010년 22.4%로 서서히 감소하고 있으나, 청소년 흡연율은 중학생의 경우 2004년 남학생 2.4%에서 2008년 4.2%, 여학생의 경우 2004년 1.7%에서 2009년 1.9%에 이르는 등 오히려 빠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명희, 조정민, 전미영 (2005). 초등학생을 위한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11(1), 63-71. 

  2. 김수영 (2003).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흡연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38, 전북. 

  3. 김수진 (2004). 인터넷을 이용한 초등학생의 흡연예방교육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36, 전북. 

  4. 김유자 (2004). 흡연 예방교육이 초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지식,태도 및 건강행위 실천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25, 전북. 

  5. 김종희 (2002). 청소년의 흡연예방교육에 대한 강의식과 온라인토론식의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0-49, 서울. 

  6. 곽혜진 (2005). 소집단 토의활동을 활용한 시조교육 방안.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28, 서울. 

  7. 두영택 (2002). 청소년 흡연예방?금연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64, 서울. 

  8. 문정순 (2002). 초등학교 흡연 교육 실태와 효과 평가. 보건복지부. 27-98. 

  9. 박순우 (2007). 청소년 흡연예방 및 금연정책 방향. 보건복지부포럼, 7월호, 22-34. 

  10. 박인혜, 박정수, 김윤경 (2006). 청소년 흡연예방 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보건교육.보건진흥학회, 23(3), 1-16 . 

  11. 박우연,박영수 (2006). 초등학생의 흡연 실태와 흡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 학교보건교육학회지, 7 (통합), 33-49. 

  12. 박은옥 (2004). 흡연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4(6), 1004-1013. 

  13. 보건교사 (2008). http://www.1004bang.net [2008, May 3]. 

  14. 백경신 (2006). 초등학생을 위한 흡연예방교육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7(2), 273-282. 

  15. 서교순 (2001). 흡연예방교육이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의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25, 전남. 

  16. 송재현 (2006). 초등학생을 위한 역할극과 강의식교육의 흡연예방 효과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45, 서울. 

  17. 이미경 (2002). 흡연예방교육이 5학년 초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27, 서울. 

  18. 이소영 (2008). 창의력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모둠학습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21, 경기. 

  19. 이종숙 (2004).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흡연지식과 흡연의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28, 전북. 

  20. 이재형 (2007). 초등학생의 흡연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48, 충북. 

  21. 임영미 (2007). 초등학교 모둠학습의특성. 공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48, 충남. 

  22. 장세영 (2006). 고등학교 수학에서 모둠토의학습을 통한 수업지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 서울. 

  23. 최영미 (2004). 중학생의 흡연예방을 위한 실험중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35, 서울. 

  24. 한국금연운동협회 홈페이지 (2008). http://www.kash.or.kr [2008. July]. 

  2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1994). Guildlines for school health programs to prevent tabacco use and addiction. J Sch Health, 64(9), 353-360. 

  26. Epps, R. P., Manley, M. W., & Glynn, T. J. (1995). Tabacco use among adolescents. Pediatr Clin North Am, 42(2), 389-402. 

  27. Flay, B. R., Keepke, D., & Thomasom (1990). Six-year follow up of the first waterloo school smoking prevention trial. Am J Public Health, 79(10), 1371-1376. 

  28. Pederson, L. L., Baskerville, J. C., & Lefco, N. M. (1981). Change in smoking status among school-aged touth, impact of a smoking-awareness curriculum, Attitude. Knowledge and Environment Factors. Am J Public Health, 71(12), 1401-1404. 

  29. Rasmussen, M., Damsgaard, M. T., Due, P., & Holstein, B. E. (2002). Boys and girls smoking within the danish elementary school classes: A group-level analysis. Scand J Public Health, 30, 62-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