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기반 또래지도자 중심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School-based Peer Leader Center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6, 2014년, pp.649 - 659  

신성례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오복자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윤혜경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신선화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school-based peer leader center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Method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post-test design was used. Students (n=174) in two boys'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D city, Korea participated with 85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교기반 또래지도자 중심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를 통하여 학내에 건전한 금연문화 정착에 기여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학교를 중심으로 한 또래지도자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영향에 취약하지만 흡연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은 중학교 1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흡연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인지-행동주의 이론과 또래의 영향력을 고려한 사회영향모델에 근거하여 학교기반 또래지도자 중심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로써 흡연관련 지식, 흡연관련 태도, 비흡연 의도, 그리고 금연 효능감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는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흡연예방교육을 위한 별도의 시간을 확보하는 데 있어서 학교 당국과 학부모의 저항, 소그룹 형태의 교육 방식이 새롭게 도입되는 상황의 현실성을 감안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사회, 심리적 요인을 강조하는 사회영향모델[5,6]에 근거하여 또래로 구성된 소그룹 형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친구들의 영향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다양한 전략을 교육 내용에 포함시켜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흡연에 대한 지식, 부정적 태도, 비흡연 의도 및 금연 효능감의 변수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영향에 취약하지만 흡연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은 중학교 1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흡연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인지-행동주의 이론과 또래의 영향력을 고려한 사회영향모델에 근거하여 학교기반 또래지도자 중심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로써 흡연관련 지식, 흡연관련 태도, 비흡연 의도, 그리고 금연 효능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외부 전문가 혹은 연구진이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는 일회성 형태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적용 가능한 학습자 및 수요자 중심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보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교기반 또래지도자 중심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을 통하여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흡연예방교육의 방향을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흡연예방교육은 국내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금연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한 연구[11]에서 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효과크기가 컸다는 메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내에서 진행되는 흡연예방 캠페인과 아침 자습시간에 이루어지는 1주일 분량의 5회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학교기반 또래지도자 중심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를 이용한 유사실험 설계이다(Table 1).
  •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교기반 또래지도자 중심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를 통하여 학내에 건전한 금연문화 정착에 기여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학교를 중심으로 한 또래지도자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 또한,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로써 흡연관련 지식, 흡연관련 태도, 비흡연 의도, 그리고 금연 효능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외부 전문가 혹은 연구진이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는 일회성 형태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적용 가능한 학습자 및 수요자 중심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보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후 대상자의 연령과 특성을 고려할 때 금연교육보다는 흡연예방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학내 건전한 금연문화 정착’을 교육 목적으로 설정하였고, 금연문화 홍보와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학교기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세부 목표로 설정하였다.
  • 자료 수집은 2013년 5월 6일부터 6월 24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에 앞서 본 연구의 목적과 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설명을 하였고, 참여에 동의하여 선정된 해당 중학교의 교장과 협약을 체결한 후 학교 측과 협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연은 어떠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가? 담배는 오늘날 인간의 건강을 해치는 여러 요인들 중 단일요인으로는 가장 유해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흡연은 각종 암, 심혈관계 질환 그리고 만성 호흡기계 질환에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는 사실이 지난 수십 년 간의 연구를 통하여 입증되었다[1]. 우리나라의 경우 성인 남성의 40% 이상이 흡연을 하고 있고, 최초 흡연과 규칙적 흡연시작 연령이 계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2].
학교기반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의 장점은 무엇인가? 1985년부터 2006년까지 체계적으로 수행된 학교기반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한 연구[5]에서 교육 후 청소년의 흡연율, 흡연 시작 연령, 흡연의지에 있어 단기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청소년 흡연에 있어 또래와 대중매체의 모방이나 직접적인 또래친구로부터의 압력이 원인이 된다는 Evans의 사회영향모델을 기반으로 한 흡연예방교육이 개발된 바 있다[6].
선진국에서 운영되는 흡연예방교육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청소년 흡연에 있어 또래와 대중매체의 모방이나 직접적인 또래친구로부터의 압력이 원인이 된다는 Evans의 사회영향모델을 기반으로 한 흡연예방교육이 개발된 바 있다[6]. 선진국에서는 지난 수십 년 간 인지-행동주의 이론과 사회영향모델에 근거하여 학교에서 장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Project Towards No Tobacco Use(TNT), Project EX-4, Life Skill Training (LST)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6-8].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청소년의 흡연억제와 주당 흡연율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고, 여러 선행 연구에서 학교중심 흡연예방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시간 확보[9], 학급단위의 교육[8,9], 또래중심의 교육[10] 등 실질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reventing tobacco use among youth and young adults: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2012. Atlanta, G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Office on Smoking and Health; 2012.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mmunity health survey, 2012 [Internet]. Chungcheongbuk-do: Author; 2013 [cited 2013 August 24].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intro/CdcKrIntro0201.jsp?menuIds HOME001-MNU0005-MNU0011&cid20522. 

  3.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2012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ternet]. Chungcheongbuk-do: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cited 2013 July 22]. Available from: http://stat.mw.go.kr/front/statData/publicationView.jsp?bbsSeq13&nttSeq20652&menuId47. 

  4. Park E.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in South Korea: A systematic review.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6;21(3):407-415. http://dx.doi.org/10.1093/her/cyl038 

  5. Dobbins M, DeCorby K, Manske S, Goldblatt E. Effective practices for school-based tobacco use prevention. Preventive Medicine. 2008;46(4):289-297. http://dx.doi.org/10.1016/j.ypmed.2007.10.003 

  6. Botvin GJ. Life skills training: Promoting health and personal development level 2. Princeton, NJ: Princeton Health Press 2000. 

  7. Sussman S, Dent CW, Stacy AW, Sun P, Craig S, Simon TR, et al. Project towards no tobacco use: 1-year behavior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3;83(9):1245-1250. 

  8. Sussman S, Miyano J, Rohrbach LA, Dent CW, Sun P. Six-month and one-year effects of project EX-4: A classroom-based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intervention program. Addictive Behaviors. 2007;32(12):3005-3014. http://dx.doi.org/10.1016/j.addbeh.2007.06.016 

  9. Park SW, Lee JY, Park JH.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4;21(1):153-170. 

  10. Bosi S, Gorini G, Tamelli M, Monti C, Storani S, Carreras G, et al. A school-based peer-led smoking prevention intervention wi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LILT-LdP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and study population. Tumori. 2013;99(5):572-577. http://dx.doi.org/10.1700/1377.15304 

  11. Kim Y, Park I, Park JS. Meta-analysis of effects on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2):204-216. http://dx.doi.org/10.4040/jkan.2008.38.2.204 

  12. Chun JS, Kim J. A review of research on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2014;16(1):305-326. 

  13. Kim IH. The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program on chang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mok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boy'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3;14(2):242-252. 

  14. Kim YS, Jeong BR. An analysis of articles related to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of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0;21(1):53-62. http://dx.doi.org/10.12799/jkachn.2010.21.1.53 

  15. Kim HO. A study on the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refusal skill and nonsmoking related self-efficacy among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3;9(3):237-249. 

  16. Maxwell KA. Friends: The role of peer influence across adolescent risk behavi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02;31(4):267-277. http://dx.doi.org/10.1023/A:1015493316865 

  17. Kremers SP, Mudde AN, de Vries H. Subtypes with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of adolescent smoking acquisition. Addictive Behaviors. 2001;26(2):237-251. 

  18. Jee YO. Tes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among military smoker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94. 

  19. Plummer BA, Velicer WF, Redding CA, Prochaska JO, Rossi JS, Pallonen UE, et al. Stage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and temptations for smoking: measurement and validation in a large, school-based population of adolescents. Addictive Behaviors. 2001;26(4):551-571. 

  20. Sohn EJ. The comparison of family environment, smoking experience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 [master's thesis]. Seoul: Sahmyook University; 2006. 

  21. Paek KS. The effects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on the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moking among male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5;16(1):32-39. 

  22. Ewles L, Simnett I. Promoting health: A practical guide. 5th ed. London, UK: Ballierre Tindall; 2009. 

  23. Daewoong Pharmaceutical Co. Ltd. Nico free school project. Seoul: Korean Association on Smoking and Health; 2007. 

  24. Choi YM.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program based upon experiment to prevent smok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4. 

  25. Park IH, Park JS, Kim YK. Meta-analysis of effects on smoking prevention programs for the adolesce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6;23(3):1-16. 

  26. Vartiainen E, Pennanen M, Haukkala A, Dijk F, Lehtovuori R, De Vries H. The effects of a three-year smoking prevention programme in secondary schools in Helsinki.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7;17(3):249-256. http://dx.doi.org/10.1093/eurpub/ckl107 

  27. Ajzen I, Fishbein M.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0. 

  28. Shin SR, Jeong GC. Predictive variables on intention to stay as a nonsmoker based on educational environment related factors. Health and Social Science. 2007;21:5-24. 

  29. Oh H, Jeong H, Seo W. Integrative smoking cessation stage model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sian Nursing Research. 2013;7(4):182-190. http://dx.doi.org/10.1016/j.anr.2013.09.001 

  30. Shin SR, Shin SH, Lee BK, Yang JH. Influence of experiences of witnessing tobacco advertising and preferences of tobacco companies' social responsibility on current and future smoking intentions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4;25(1):33-43. http://dx.doi.org/10.12799/jkachn.2014.25.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