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흡연부모 초등학생을 위한 간접흡연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Effects of Secondhand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Smoking Par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0 no.1, 2017년, pp.29 - 39  

강류교 (서울잠현초등학교) ,  이수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교실) ,  김연하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condhand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smoking parents and to identify its effects on their knowledge and coping skills related to secondhand smoke and their assertive behaviors towards secondhand smoke. M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초등학생은 기본적 생활태도 및 건강습관이 형성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 건강행위를 증진시키는 것은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므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보건교육방법을 접목시키고 초등학생의 건강 향상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흡연부모 초등학생들의 간접흡연예방에 대한 지식과 대처행동을 실생활에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흡연부모 초등학생의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이 간접흡연 지식, 간접흡연 대처, 간접흡연 주장행위, 그리고 흡연부모 자녀의 간접흡연 대처 주장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설계이다.
  • 본 연구는 흡연부모를 가진 초등학생을 위해 간접흡연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후,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4주간의 흡연부모 초등학생의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간접흡연 지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가족이 아닌 타인에 대한 간접흡연 대처와 간접흡연 주장행위는 차이가 없었다.
  • 본 연구에서는 흡연부모 초등학생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구성주의 학습이론 기반의 선행문헌[25]과 선행연구인 유아의 건강권리증진을 위한 유아의 간접흡연 예방교육 프로그램[19], 자녀와 학부모의 간접흡연예방연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17] 및 청소년 간접흡연예방 프로그램[18]고찰하였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보건교사회의 초등학생용 금연 Life Skill, 초등학생 흡연예방 단계별 프로그램 Junior END (보건복지부, 2014), 초등학교 보건교과서(천재교육, 들샘, YBM), 학교흡연예방 교육사업 안내(보건복지부, 2015)에서는 흡연예방 교육을 주요내용으로 하며 간접흡연 예방교육은 1차시 정도로 빈약함이 검토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부모를 가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4주간 적용했을 때 흡연부모를 가진 초등학생의 간접흡연 지식, 간접흡연 대처, 간접흡연 주장행위, 그리고 흡연 부모에 대한 간접흡연 대처 주장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자는 학교 흡연예방 교육을 위한 선도학교 및 흡연 예방 중심학교를 6년간 운영하였고 본 프로그램 제작을 위하여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실시하는 금연상담전문가 연수를 35시간 이상 이수하였으며 한국교원캠퍼스의 ‘소통과 공감의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을 15시간 이수하는 등 다양한 연수를 통하여 프로그램 진행자로서의 자격을 갖추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가설 설정

  • 부가설 1.1 흡연부모 초등학생의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간접흡연 단기적 영향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2. 흡연부모 초등학생의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간접흡연 대처점수가 높을 것이다.
  • 1. 흡연부모 초등학생의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간접흡연 언어적 대처 점수가 높을 것이다.
  • 2. 흡연부모 초등학생의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간접흡연 장기적 영향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3. 흡연부모 초등학생의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간접흡연 주장행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1. 흡연부모 초등학생의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간접흡연 지식점수가 높을 것이다.
  • 2. 흡연부모 초등학생의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간접흡연 행동적 대처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4. 흡연부모 초등학생의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부모에 대한 간접흡연 대처 ․ 주장행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접흡연예방교육 연령이 어릴수록 교육 효과가 큰 이유는 무엇인가? 간접흡연예방교육은 연령이 어릴수록 지식이나 대처행동에 효과적으로 반응하고 부모에게도 금연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어 교육 효과[13]가 크다. Philips 등(1990)은 아이가 간접흡연에 노출된 상태에서의 대처방법에 대하여 부모와 함께 활동하는 것으로 구성된 ‘Smoke Busters (흡연파괴자)’라는 학령전기 흡연예방 프로그램 운영 결과, 이 프로그램으로 교육받은 아동이 교육받지 않은 아동에 비해 간접흡연으로부터 자신을 더 잘 보호한다고 하였다[14].
흡연부모로 인해 간접흡연을 한 자녀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초등학생은 50%가 아버지의 흡연에 노출되어 있고, 5%가 어머니의 흡연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7]. 흡연부모로 인해 간접흡연을 한 자녀는 그렇지 않은 자녀보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에 걸릴 확률이 1.4배 높고[8] 초등학생의 간접흡연 노출이 천명 증상, 천식, 중이염, 더 나아가 갑작스런 사망과도 관련 있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4,5,9-11]. 또한 장시간 간접흡연에 노출되면 직접 담배를 피웠을 때와 비슷한 니코틴 중독이 일어난다[12].
폐암 외에도 간접흡연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은 무엇이 있는가? 8%[2]로 나타나고 있어 간접흡연의 위해성은 심각하다. 또한 유방암 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과 같은 질병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꾸준히 있다[3-5]. 우리나라 연령별 흡연율을 보면 성인남성 20대에서 40대의 흡연율이 55%로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는데[6] 이 연령대의 흡연자는 초등학교 학부모일 가능성이 매우 커 이들에 의한 초등학생 간접흡연 노출의 위험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 Health Promotion Law [Internet]. Seoul: Author; 2016 [cited 2017 March 6].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A%B5%AD%EB%AF%BC%EA%B1%B4%EA%B0%95%EC%A6%9D%EC%A7%84%EB%B2%95#undefined 

  2. Jung KW, Won YJ, Kong HJ, O CM, Joe H, Lee KH.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5;47(2):127-141. https://doi.org/10.4143/crt.2015.060 

  3. Duaso MJ, Duncan D. Health impact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strategies: current evidence.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2012;17(8):356-363. 

  4.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port on protection from exposure to second-hand tobacco smoke, policy recommendation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cited 2007 July 4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43677/1/9789241563413_eng.pdf 

  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2008-the MPOWER packag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cited 2017 March 6]. Available from: http://www.who.int/gho/tobacco 

  6.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Internet]. Seoul: KCDC; 2014 [cited 2014 September 17]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notice/CdcKrIntro0201.jsp?menuIdsHOME001-MNU1154-MNU0005-MNU0011&cid28314 

  7. Byeon JO, Cho YT. School smoking rate as a social factor affecting the adolescent smoking in Korea: Multilevel analysi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0;27(4): 7-16 

  8. Max W1, Sung HY, Shi Y.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ong children exposed to secondhand smoke: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secondary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y. 2013;50(6):797-806.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2.10.002 

  9. Lee SU, An SB. Environmental Tobacco smoke influences to the health and economic. Korean Jouranl of EHS Assessment. 2005;3(1):41-50. 

  10. Hwang SJ, Kim JH, Chung SH, Park DH, Shim JW, Kim DS, et al. Impact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and home.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2010;20(4):238-246. 

  11. Suh M, Kim HH, Choi DP, Kim KW, Sohn MH, Ha KH, et al.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asthma symptoms among korean children: a nation-wide study.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1;26:1541-1547. https://doi.org/10.3346/jkms.2011.26.12.1541 

  12. Brody AL, Mandelkern MA, London ED, Khan A, Kozman D, Costello MR, et al. Effect of secondhand smoke on occupancy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in brai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11;68(9):953-960. https://doi.org/10.1001/archgenpsychiatry.2011.51 

  13. Andrews RL, Hearne JT. Effects of primary grades health curriculum project on student and parents smoking attitudes and behavior. Journal of School Health. 1984;54(1):18-20. https://doi.org/10.1111/j.1746-1561.1984.tb08748 

  14. Philips BU, Longoria JM, Parcel GS, Ebeling EW. Expectation of preschool children to protect themselves from cigarette smoke: Result of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Cancer Education. 1990;5(1):27-31. https://doi.org/10.1080/08858199009528031 

  15. Park SW. Factors related with the intention of smoking abstinence among elementary students in a large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9;22(1):49-59. 

  16. Kim JG, Shin HS.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stop-smoking program for active smoking and passive smok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2002;28(3):26-33. 

  17. Shin SR, Jeong GC, Kim HS. The effect of a child-parent secondhand smoke preven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1;28(3):1-15. 

  18. Park MA, Kim MY, Ha YS. Effectiveness of a secondhand smoking prevention program o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ing. 2014;25(1):44-53.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1.44 

  19. Gwon GN, Min HY, Yoon CS. A study on early childhood secondhand smoke preven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s health right promo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06;15(2):187-196. 

  20. Kim JM. A study on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hird-hand smoke preven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2;17(5):309-324. 

  21. Lee KO, Choi HY.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n smok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0;11(1):209-221. 

  22. Im MY, Youn YM. Effects of a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9;26(1):39-50. 

  23. Shim SH, Kim HS, Kim YS.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by making use of group discuss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0;23(2):246-255. 

  24. Lee EH, Kim IO.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moking preventive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3;9(2):264-275. 

  25. Bek YK, Park JS, Han SR, Kim HK, Choi MS, Beon SH, et al.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of Ubiquitous. Seoul: Hacjisa; 2006. p. 125-133. 

  26.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NY: W.H. Freeman & Company; 1997. p. 97-1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