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포도알균화상피부증후군(4S)은 황색 포도알균과 관련된 표재성 수포가 생기는 거의 드문 피부 질환이다. 저자들은 3세 이상의 건강한 소아에서 4S의 지역적 유행을 경험하였다. 방 법 : 저자들은 4S를 진단받았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의학적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신생아들의 경우 외인성 감염이 대부분이었으므로 이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임상적 특징, 실험 결과, 황색 포도알균의 항생제 내성과 분리, 항생제 치료와 보존적 치료법을 분석하였다. 결 과 : 2001년 10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본원에 입원하였던 4S를 진단받은 55명의 소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들의 평균 나이는 3세였다. 55명의 환아 중에서 9명이 전신형, 13명이 중간형이었으며 나머지 33명이 성홍열모양 피부발진이 있었다. 모든 환아들은 진주의 인접한 지역에 살고 있었다. 황색 포도알균은 9명의 환아에서 분리되었고, 분리된 모든 황색 포도알균은 methicilline 저항성을 가지고 있었다. 2명을 제외한 환아들은 flocloxacillin 또는 nafcillin 또는 cefotaxime 정맥 주사로 치료하였다. 모든 환아들은 2-3주간의 추적 기간 동안 완전히 회복되었다. 결 론 : 저자들은 이전에 건강했던 소아들에서 4S의 지역적 유행을 경험하였다. 이 질환의 유행을 막기 위해서 4S를 일으키는 황색 포도알균의 매개체를 찾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부가적으로 methicilline 저항성 황색 포도알균이 많으므로 4S를 치료하기 위한 지침서가 확립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SSSS) is a relatively uncommon superficial blistering skin disease that is due to Staphylococcus aureus. We had experienced a regional outbreak of SSSS over 3 years in healthy childre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ose...

주제어

참고문헌 (14)

  1. Am J Clin Dermatol Patel 4 165 2003 10.2165/00128071-200304030-00003 

  2. Semin Dermatol Melish 9 335 1982 10.1111/j.1346-8138.1982.tb01072.x 

  3. Clin Microbiol Rev Ladhani 12 224 1999 10.1128/CMR.12.2.224 

  4. Pediatr Infect Dis J Ladhani 19 819 2000 10.1097/00006454-200009000-00002 

  5. Korean J Dermatol Kang 42 398 2004 

  6. J Am Acad Dermatol Lyer 50 854 2004 10.1016/j.jaad.2003.12.043 

  7. J Infect Dancer 16 87 1988 10.1016/S0163-4453(88)96249-4 

  8. Epidemiol Infect Dave 112 103 1994 10.1017/S0950268800057460 

  9. Lancet Farrell 354 880 1999 10.1016/S0140-6736(99)90120-4 

  10. Pediatrics Curran 66 285 1980 10.1542/peds.66.2.285 

  11. Am J Dis Child Faden 130 265 1976 10.1001/archpedi.1976.02120040043008 

  12. Clin Infect Dis Begier 39 1446 2004 10.1086/425313 

  13. Pediatr Infect Dis J Ladhani 19 578 2000 10.1097/00006454-200006000-00021 

  14. Korean J Dermatol Park 40 1051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