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창원 지역에서 발생한 지역사회관련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포도알균 열상 피부증후군의 임상양상
Clinical Features of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Caused by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Changwon City, Korea, during 2006 and 2015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6 no.1, 2019년, pp.42 - 50  

박준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민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강진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최재원 (창원파티마병원 소아과학교실) ,  이학성 (창원파티마병원 소아과학교실) ,  신주화 (창원파티마병원 소아과학교실) ,  이제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마상혁 (창원파티마병원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경남 창원지역에서 발생한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의 임상 및 역학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방법: 2006년부터 2015년까지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6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의 지침에 따라 한천 평판 우무 희석법을 시행하였으며, MRSA는 oxacillin 감수성검사로표현형을확인한후, mecA 유전자를 polymerase chain reaction로증폭하여최종확인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중간연령은 2.0세이었고(범위, 0.2-6세) 임상형은 전신형이 3명(4.3%), 중간형이 53명(76.8%), 부전형이 13명(18.9%)이었다. 환자들은 연중 발생하였으나, 주로 7월부터 10월 사이에 많이 발생하였다. 배양검사를 실시한 60명의 환자 중 54명에게서 MRSA 균이 배양되었고 모든 환자들이 특별한 합병증 없이 회복되었다. 결론: 2006년부터 2015년 사이에 창원지역에서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 환자의 지속적인 발생이 있었다. SSSS 환자 발생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features and epidemiology of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SSSS) from year 2006 to 2015 in Changwon city, Korea. Method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69 patients diagnosed with SSSS from year 2006 to 2015.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was perfo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2) 이러한 결과는 특정 클론의 MRSA가 창원지역에서 발생한 SSSS의 원인균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창원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한 SSSS 환자들의 임상양상과 역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 장기간에 걸쳐 동일한 지역에서 발생한 SSSS 환자를 대상으로 원인균의 특성과 임상적 특성을 함께 규명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경남 창원지역에서 발생한 SSS 환자들을 대상으로 세균학적 특성을 규명한 선행연구11,12)를 바탕으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과 역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 SSSS 환자와 다른 지역 및 다른 시기에 발생한 SSSS 환자들을 비교해 보면 임상 및 역학적 특성에 큰 차이가 없었고, 8-10) 같은 지역에서 2003년에서 2005년 사이에 발생한 SSSS 환자의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도 임상 및 역학적 특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정 클론의 MRSA가 창원지역에서 발생한 SSSS의 원인균이었다는 것의 근거는 무엇인가? 국내에서는 Kim3)이 생후 7일 된 신생아에서 전신적 표피 박탈과 수포 형성이 발생한 예를보고한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 여러 연구자들이 국내의 SSSS 발생을 보고하였다.4-10) 2013년부터 2015년 사이 창원지역에서 SSSS 환자들에서 분리된 23주의 황색포도알균의 역학적특성을 조사한 Jeon 등11)의 보고에 의하면 분리균주들은 모두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이고, 이들 균주들은 2003년부터 2005년사이 SSSS 환자들에서 분리된 균주와 유전형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12) 이러한 결과는특정 클론의 MRSA가 창원지역에서 발생한 SSSS의 원인균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SSSS])이란 무엇인가?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SSSS])은 포도알균의피부박탈성 독소에 의하여 전신성 수포와 낙설을 일으키는 포도알균 감염증의 한 형태로, 압통이 심한 홍반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이며 균의 국소감염이후 독소가 혈행성으로 전파되어질병이 발생한다. 임상 양상은 발열과 압통이 동반되기도 하며 국소적인 수포에서부터전신적인 수포가 발생하였다가 이후 낙설이나 가피가 나타난다.
낙설이 생기는 시기는 언제인가? 임상 양상은 발열과 압통이 동반되기도 하며 국소적인 수포에서부터전신적인 수포가 발생하였다가 이후 낙설이나 가피가 나타난다. 낙설은 발병 후 10일 안에주로 발생하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14일 내에 흉터 없이 회복을 한다. 호발 연령은 신생아를포함하는 6세 이하의 소아이고, 소아에서 발병하는 경우는 예후가 좋은 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Handler 28 1418 2014 10.1111/jdv.12541 

  2. Clin Microbiol Infect Lamand 18 E514 2012 10.1111/1469-0691.12053 

  3. Korean J Dermatol Kim 9 31 1971 

  4. Korean J Dermatol Kim 40 147 2002 

  5. Korean J Dermatol Park 40 1051 2002 

  6. Korean J Pediatr Park 47 106 2004 

  7. Korean J Dermatol Kang 42 398 2004 

  8. Korean J Pediatr Infect Dis Lee 11 183 2004 10.14776/kjpid.2004.11.2.183 

  9. Soonchunhyang Med Sci Park 18 32 2012 10.15746/sms.12.006 

  10. Korean J Pediatr Do 53 48 2010 10.3345/kjp.2010.53.1.48 

  11. J Med Microbiol Jeon 65 1542 2016 10.1099/jmm.0.000373 

  12. J Med Microbiol Ma 56 866 2007 10.1099/jmm.0.46962-0 

  13.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twenty-fifth informational supplement (M100-S25)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132 2015 

  14. Antimicrob Agents Chemother Oliveira 46 2155 2002 10.1128/AAC.46.7.2155-2161.2002 

  15. Korean J Pediatr Infect Dis Heo 14 83 2007 10.14776/kjpid.2007.14.1.83 

  16. Eur J Pediatr Yokota 155 722 1996 

  17. Clin Microbiol Infect Nimmo 18 725 2012 10.1111/j.1469-0691.2012.03822.x 

  18.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Stam-Bolink 26 723 2007 10.1007/s10096-007-0352-y 

  19. J Antimicrob Chemother Song 66 1061 2011 10.1093/jac/dkr024 

  20. Int J Pediatr Kikuta 2011 143872 2011 10.1155/2011/143872 

  21. J Bacteriol Virol Park 45 104 2015 10.4167/jbv.2015.45.2.104 

  22. J Korean Med Sci Bae 25 197 2010 10.3346/jkms.2010.25.2.197 

  23. Curr Opin Pediatr Odell 22 273 2010 10.1097/MOP.0b013e328339421b 

  24. Clin Microbiol Infect Ladhani 7 301 2001 10.1046/j.1198-743x.2001.00258.x 

  25.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Kliegman 3203 2016 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