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잎발효차 제조에 따른 in vivo 상에서의 S-180 항암 및 항알레르기 효과
Anti-allergy Activity and in vivo for S-180 Solid Anti-cancer Effects in Manufacturing Fermented Mulberry Leaf T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3, 2010년, pp.337 - 342  

예은주 ((재)경북테크노파크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명자원특화센터) ,  이성태 (순천대학교 생물학과) ,  배만종 (효능검증원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약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 추출물의 S-180 고형암, 항알레르기 활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in vivo 상에서 S-180 고형암 억제 효과는 뽕잎차에서 16.67%, 뽕잎발효차에서 17.78%로 나타났다.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검증한 결과 두 군 모두 에탄올 추출물보다 열수 추출물이 히스타민 분비 억제에 더 효과적이었고, HMC-1의 염증성 cytokine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 군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염증성 cytokine의 억제율이 더 높았고 뽕잎발효차군이 뽕잎차군에 비해 더 효과적이었다. 뽕잎발효차 추출물의 기능성이 더 우수한 것은 발효를 통해 생리활성 물질이 생성된 것이 원인으로 사료되며 이 점에 있어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qualitative properties of MLT (mulberry leaf tea) and FMLT (fermented mulberry leaf tea) on the basis of the anti-cancer and anti-allergy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The inhibitory effect against S-180 solid cancer in vivo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 추출물의 S-180 고형암, 항알레르기 활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in vivo 상에서 S-180 고형암 억제 효과는 뽕잎차에서 16.
  • 또한 Shim 등(18)은 뽕잎의 탁월한 약리 효과에서 염증세포로부터 발생되는 활성산소종 및 환경호르몬이 유도한 염증성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염증질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차와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의 S-180 고형암의 항암성 및 항알레르기 활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소재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뽕잎은 어떠한 효과 때문에 기능성 식품 재료로 주목받고 있는가? 천연물 소재 중에서 뽕잎은 최근 들어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에서 성인병 예방 및 치료효과가 밝혀지면서 기능성식품의 재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뽕나무(Morus alba L.
뽕나무의 품종은 몇개인가? 이러한 뽕나무(Morus alba L.)는 뽕나무과(Moraceae)의 낙엽교목으로서 세계적으로는 130여종의 품종이 존재하며, 우리나라에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산상계(Morus bombysis Koidz), 백상계(Morus alba L.), 노상계(Morus lhou Koidz)가 있다(1).
뽕잎에 존재하는 성분 중, 비휘발성에 해당하는 rutin은 무엇으로 활용되는가? 뽕잎에 존재하는 성분은 크게 휘발성 성분과 비휘발성 성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휘발성 성분으로는 guaiacol, eugenol, methyl salicylate, benzaldehyde 및 phenylacetaldehyde(5) 등이 있으며, 비휘발성 성분은 rutin(6,7), quercetin(8), isoquercetin(9,10) 등의 flavonoid 화합물들이 있다. 이중 rutin은 인체 내 모세혈관 강화작용과 수축작용을 나타내는 순환계 질환 치료제(11)와 혈압 강하제(12)로 이용되고 있다. 뽕잎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piperidin계 alkaloid 화합물의 분리, 대표적인 지표물질의 구조규명[1-deoxyno-jirimycin(DNJ), N-methyl-1-eoxynojirimycin 등]과 γ-aminobutyric acid(GABA)(13) 및 flavonoid 화합물(14)의 혈압강하 효과에 관한 것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ong UI. 2000. Medicinal plant experiment station of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in Gyeongbuk. In I llustrated book of medicinal plants. Dongamunhwasa, Seoul, Korea. p 120. 

  2. Cho YJ, Ju IS, Kim BO, Kim JH, Lee BG, An BJ, Choo JW. 2007.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effect from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J Korean Soc Apple Biol Chem 50: 334-343. 

  3. Lee SE, Bang JK, Song J, Seong NS, Park HW, Chung HG, Kim GS, An TJ. 2004.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of Korean medicinal herbs. Korean J Med Crop Sci 12: 73-78. 

  4. Lee JR, Hah YJ, Lee JW, Song YM, Jin SK, Kim IS, Hah KH, Kwak SJ. 200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mulsified sausages containing mulberry and persimmon leaf powd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330-336. 

  5. Kim HB, Kim AJ, Kim SY. 2003. The analysis of functional materials in mulberry fruit and feed product development trends. Food Sci Industry 36: 49-60. 

  6. Naitoh K. 1968. Studies on the micro constituent in mulberry leaves pert 2. Isolation of rutin and quercetin from mulberry leaves. Nippon Nogei Kagaku Kaishi 42: 422-425. 

  7. Shin KH, Young HS, Lee TW, Choi JS. 1995.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Solanum lyratum. Korean J Pharmacogn 26: 130-138. 

  8. Kim JS, Kang SS, Lee MW, Kim OK. 1995.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Aralia concinentails. Korean J Pharmacogn 26: 239-243. 

  9. Onogi A, Osawa K, Yasuda H, Sakai A, Morita H, Tokawa H. 1993.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Morus alba. Shoyakugaku Zasshi 47: 423-425. 

  10. Kang SS, Woo WS. 1984.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Zizyphus jujuba. Korean J Pharmacogn 15: 170-178. 

  11. Markham KR. 1989. Flavones, flavonols and their glycosides. In Methods in Plant Biochemistry. Dey PM, Harborne JB, eds. Academic Press, London, UK. Vol 1, p 197-235. 

  12. Lim MJ, Bae YI, Jeong CH, Cho BR, Choi JS. 2007. Phytochemical components of mulberry leaf tea by different roasting processes. J Agric Life Sci 41: 17-24. 

  13. Bang HS, Lee WC, Chon HR, Choi YC, Kim HB. 1998. Varietal comparison of $\gamma$ -aminobutysic acid content in mulberry root bark. Korean J Seric Sci 40: 13-16. 

  14. Kim SY, Gao JJ, Lee WC, Ryu KS, Lee KR, Kim YC. 1999. Antioxidative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Morus alba. Arch Pharm Res 22: 81-85. 

  15. Kimura M, Chen F, Nakashimqa N, Kimura I, Asano N, Koya S. 1995. Anti hyperglycemic effect of N-containing sugars delivered from mulberry leav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J Traditional Medicine 12: 214-219. 

  16. Sung GB. 1998. Recent mulberry research trend and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Korean J Seric Sci 40: 180-184. 

  17. Yen GC, Wu SC, Duh PD. 1996.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nents from the leaves of mulberry (Morus alba L.). J Agric Food Chem 44: 1687-1690. 

  18. Shim JU, Lee SJ, Oh PS, Lim KT. 2007. Glycoprotein isolated from Morus indica Linne has an antioxidative activity and inhibits signal factors induced by bisphenol A in raw 264.7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09-216. 

  19. Jo SG. 1995. Experimental studies on the change of cytotoxic and anti tumor effects according to the prebrewed method of Semen Tiglii and Rhizoma Coptidis. J Korean Oriental Oncology 1: 191-211. 

  20. Shore PA, Burkhalter A, Cohn VH. 1992. A method for the fluorometric assay of histamine in tissues. J Pharmacol Exp Ther 127: 182-186. 

  21. Shin SH, Chae SY, Ha MH, Jo SK, Kim SH, Byun MW, Yee ST. 2004. Effect of bu-zhong-yi-gi-tang on B cell develop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71-277. 

  22.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test. Biometeics 11: 1-42. 

  23. Bae MJ, Kim KJ, Kim SJ, Ye EJ. 2007. Effect of mycelia extracts from Lentinus edodes mushroom-cultered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on anticancer and antiallergy activ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13. 

  24. Bae MJ, Yee ST, Ye EJ. 2007. Anti-cancer and anti-allergy activities of mycelia extracts of Lentinus edodes mushroom-cultured Glycyrrhiza radix.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43-50. 

  25. Simons FE. 1992. The antiallergic effect of antihistamines (H1-receptor antagonists). J Allergy Clin Immunol 90: 705-715. 

  26. Schafer-Korting M, Schmid MH, Korting HC. 1996. Topical glucocorticoids with improved risk-benefit ratio. Rationale of a new concept. Drug Safety 14: 375-385. 

  27. Kawakami T, Galli SJ. 2002. Regulation of mast-cell and basophil function and survival by IgE. Nat Rev Immunol 2: 773-786. 

  28. Ennis M, Pearce PM, Weston PM. 1980. Some studies on the release of histamine from mast cells stimulated with polylysine. Br J Pharmacol 70: 329-334. 

  29. Kim HK, Lim YM, Kim DK, Nho YC. 2008. Effect of natural extracts mixture from Houttuynia cordata and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in mast cell-induced allergic inflammatory response. Lab Anim Res 24: 1-7. 

  30. Moon PD, Na JJ, Jeoung HJ, Hong SH, Kim SJ, Chae HJ, Kim HR, Choi JO, Lee SH, Shin JY, Kim HM. 2005. Inhibitory effect of Gamibojungikaitang extract on mast cellmediated allergicreaction in murine model. J Pharm Pharm Sci 8: 94-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