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풍(防風)의 난알부민 유도 알레르기 비염 마우스에서의 항알레르기 효능 연구
Effects of Saposhnikoviae Radix on allergic responses in OVA-induced Allergic rhinitis mice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7 no.5, 2012년, pp.85 - 91  

정진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박용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aposhnikoviae Radix on allergic responses in ovalbumin(OVA)-induced Allergic rhinitis(AR) mice. Methods : BALB/c mice were orally administrated with Saposhnikoviae Radix water extract (SRW, 50 mg/kg) or anti-histamine drug, Ketotifen (10 m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방풍의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조절효과를 난알부민 유도 알레르기 비염 마우스에서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방풍의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난알부민 유도 알레르기 비염 동물을 이용하여 항알레르기 효과를 조사하였다.
  • 등 의 항알레르기 효과에 대한연구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복합처방의 구성의 하나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효과가 보고된 방풍의 알레르기 비염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연형 알레르기 비염 동물모델인 난알부민 감작 알레르기 비염 마우스에서 항알레르기 효능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레르기의 대표적인 질환은 무엇인가? 외부 자극 즉 항원(allergen)으로부터 반복적인 노출에 따른 변화된 상태 또는 이상반응이라는 광범위한 의미로부터 자극 적이거나 해로운 작용을 일으키는 면역반응으로 해석되고 있다1). 대표적인 질환으로 두드러기, 비염, 천식, 아토피 등이 있으며, 보통 면역글로불린 E(IgE) 매개의 과민반응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2,3). 항원(allergen)에는 유전적 요인이나 연령, 성별, 기후변화와 생활환경과 같은 소인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동물의 털, 기타 약물 등과 같은 외인성 알레르겐 등을 들 수 있으며 산업의 발전으로 인한 대기오염의 증가와 흡연이나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 등의 유발 인자 증가 등도 알레르기 반응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4).
알레르기란 무엇인가? 알레르기(allergy)는 비정상적으로 일어나는 면역학적 기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과민반응의 일종으로 만성염증 질환이다. 외부 자극 즉 항원(allergen)으로부터 반복적인 노출에 따른 변화된 상태 또는 이상반응이라는 광범위한 의미로부터 자극 적이거나 해로운 작용을 일으키는 면역반응으로 해석되고 있다1).
알레르기 비염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 알레르기 비염은 IgE를 매개로 하는 비강 내에서 발생하는 만성염증질환으로 주요 증상으로는 재채기, 가려움, 비루, 코막힘 등 이며, 알레르기 비염이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부비동염과 같은 만성 염증질환으로 발전하게 되고 더욱 나아가 천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rean Journal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Asthma and Allergy disease. Seoul : koonja publisher. 2002 ; 66 : 431-3. 

  2. Lee JB , Yang HM, Min YK, Seok HS. Role of Chemokine in a in vivo Medel of Food Allergy. J Kor Soc Living Environ Sys. 2009 ; 16(6) : 675-82. 

  3.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mmunology. Seoul :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er. 1987 : 188-97. 

  4. Min YK, Choi JW, Kim LS. Otorhinolaryngology for primary care. seoul : iljokac. 2002 : 60-2. 

  5. Kim YB, Chae BY. A Clinical study on the Sneezing, Nasal discharge, Nasal obstruction. Kor J Ori Med Soc. 1993 ; 14(2) : 162-7. 

  6. Kim HH. Allergic rhinitis, sinusitis and asthma: evidence for respiratory system integration. Kor J Pediatrics. 2007 ; 50(4) : 335-9. 

  7. Schwartz LB, Huff TF. Biology of mast cells. In : Middleton E, editor. Allergy : Principles and practice. 5th ed. Mosby : St. Louis. 1998 : 261-76. 

  8. Spector SL. Overview of comorbid associations of allergic rhinitis. J Allergy Clin Immunol. 1997 ; 99(2) : S773-80. 

  9. Borish L. Allergic rhinitis: systemic inflammation and implications for managerment. J Allergy Clin Immunol. 203 ; 112(6) : 1021-31. 

  10. Poole JA, Rosenwasser LJ. The role of immunoglobulin E and immune inflammation: implications in allergic rhinitis. Curr Allergy Asthma Rep. 2005 ; 5(3) : 252-8. 

  11. Kim YJ, Park SJ, Kim TJ. Anti-Allergic Effects of Nodakenin in IgE/Ag-Induced Type I Hypersensitivity. Journal of Science 2011 ; 21(12) : 1721-5. 

  12. Jung JK, Jung HM, Seo WG, Park YK. Anti-allergic effect of Osterici Radix water extract in human mast cells. Kor J Herbology. 2010 ; 25(3) : 35-41. 

  13. Kang SY, Hong SU, Park YK. Effects of KOB, a polyherbal medicine for allergic rhinitis and its main herb, Astragali Radix on allergic responses in OVA-induced Allergic rhinitis mice. Kor J Herbology. 2012 ; 27(4) : 1-7. 

  14. The whole country a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The joint textbook publish commission compilation. Herbalogy. seoul:younglimsa. 2007:163-4. 

  15. Lee DY, Choi GY, Yoon TS, Cheon MS, Kim SJ, Yasukawa K, Yu SY, Kim HK. Synergistic Effect of Notopterygium incisum and Saposhnikovia divaricatai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Kor J Herbology. 2008 ; 23(4) : 39-44. 

  16. Jo HC, Oh EY, Jee SY, Seo BI.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heongsangbangpungtang and its composition oriental medicine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Kor J Herbology. 2003 ; 18(2) : 37-47. 

  17. Lee JC. Effects of Gamibangpungtongseungsan on Lipid composition and antioxidant in rat fed high fat. Kor J Herbology. 2005 ; 20(2) : 69-75 

  18. Lee JE. Study on anti-allergic effect and safety of Bangpung-galgen-tang. Dongeui University. 2007 

  19. Park YJ. Allergy drug developments. KISTI. seoul : KISTI. 2006 : 1-5. 

  20. Kim KJ. Treatment for allergic rhinitis reported of gyejitanggamibang. J Ori Med Surgery,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1989 ; 10(1) : 99-106. 

  21. Jeon SY. Controversies in Management of Allergic Rhinitis: Immunotherapy vs. Medical Therapy. J Clinical Otolaryngol. 2000 ; 11(1) : 23-6. 

  22. Ahn KM. Role of mast cell in allergic inflammation and innate immunity. Kor J Pediatrics. 2004 ; 47(11) : 1137-41. 

  23. Brown JM, Wilson TM, Metcalfe DD. The mast cell and allergic disease : role in pathogenesis and implications for therapy. Clin Exp Allergy. 2008 ; 38(1) : 4-18. 

  24. Jung HY. Molecular biology of cytokines. worldscience publishing company. 2002 : 117-24. 

  25. Xu G, Mou Z, Jiang H, Cheng L, Shi J, Xu R, Oh Y, Li H. A possible role of CD4+CD25+ T cells as well as transcription factor Foxp3 in the dysregulation of allergic rhinitis. Laryngoscope. 2007 ; 117(5) : 876-80. 

  26. Rosenwasser LJ, O'Brien T, Weyne J. Mast cell stabilization and anti-histamine effects of olopatadine ophthalmic solution: a review of pre-clinical and clinical research. Surr Med Res Opin. 2005 ; 21(9) : 1377-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