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일부 성분을 분석하였다. 두 시료간의 일반성분 중에서 지방 함량이 뽕잎발효차가 더 높았고, 탄수화물의 함량은 뽕잎차가 더 높았다.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뽕잎발효차가 뽕잎차에 비해 전체 유리당 함량이 줄어들었으며, 특히 뽕잎차에서는 maltose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뽕잎발효차의 경우 maltose가 분석되지 않았고 lactose가 소량 분석되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뽕잎차가 뽕잎발효차보다 높았으며 뽕잎차에서는 glutamic acid, 뽕잎발효차에서는 cyst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 유도체에서는 $\gamma$-aminobutyric acid(GABA) 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각 시료 간 함량은 비슷하였다. 지방산의 조성에서는 뽕잎발효차가 뽕잎차에 비해 불포화 지방산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식용식물로서 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가치가 있는 뽕잎에 생균제를 이용하여 개발한 뽕잎발효차를 뽕잎차와 비교하였을 때 뽕잎발효차에서 유리당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유용성분 및 특이성분의 함량은 충분히 유지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tive and general components between mulberry leaf tea (MLT) and fermented mulberry leaf tea (FMLT). Among the general ingredients, the crude lipids of FMLT contained higher than that of MLT, while the level of carbohydrates was higher in the M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의 방안 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일부 성분을 분석하 였다. 두 시료간의 일반성분 중에서 지방 함량이 뽕잎발효차가 더 높았고, 탄수화물의 함량은 뽕잎차가 더 높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차와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의 유용성분을 분석하여 기능성 소재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뽕잎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뽕잎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piperidin계 alkaloid 화 합물의 분리, 대표적인 지표물질의 구조규명[1-deoxynojirimycin(DNJ), N-methyl-1-deoxynojirimycin 등]과 γaminobutyric acid(GABA)(2) 및 flavonoid 화합물(3)의 혈압강하 효과에 관한 것이 있다. 비단백성 아미노산 일종인 GABA는 L-glutamic acid의 α-탄소에 결합되어 있는 COOH가 glutamic acid decarboxylase의 촉매작용에 의해 탈 탄산 되어 생합성 되는 물질로서 중추신경계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4).
뽕잎에는 몇 종의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는가? )는 전통적으로 뽕잎뿐만 아니라, 뿌리, 글피, 어린가지, 글피의 액즙, 잎의 흰 액즙 및 열매와 같은 부산물 이 사용되고 뽕잎, 상백피, 오디의 생리활성은 이미 과학적으 로 밝혀졌다. 뽕잎에는 25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의 함량이 많아서 숙취를 없애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serine과 tyrosine이 함유되어 있어 뇌의 혈액 순환과 노인성 치매를 예방해 주며, 녹차와 비교해 볼 때 각종 미네랄 중에서 뽕잎이 칼슘은 6배, 철분은 2배, 칼륨은 1.
뽕잎의 어떤 성분이 뇌의 혈액 순한과 노인성 치매를 예방해 주는가? 뽕잎에는 25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의 함량이 많아서 숙취를 없애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serine과 tyrosine이 함유되어 있어 뇌의 혈액 순환과 노인성 치매를 예방해 주며, 녹차와 비교해 볼 때 각종 미네랄 중에서 뽕잎이 칼슘은 6배, 철분은 2배, 칼륨은 1.4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ee JR, Hah YJ, Lee JW, Song YM, Jin SK, Kim IS, Hah 

  2. Bang HS, Lee WC, Chon HR, Choi YC, Kim HB. 1998. 

  3. Kim SY, Gao JJ, Lee WC, Ryu KS, Lee KR, Kim YC. 1999. 

  4. Narayan VS, Nair PM. 1990. Metabolism, enzymology and possible roles of 4-amonobutyrate in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5. Omori M, Yano T, Okamoto J, Tsushida T, Murai T, 

  6. Tews JK. 1981. Dietary GABA decreases body weight of genetically obese mice. Life Sci 29: 2535-2542. 

  7. Kimura M, Chen F, Nakashimqa N, Kimura I, Asano N, Koya S. 1995. Anti hyperglycemic effect of N-containing sugars delivered from mulberry leav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J Traditional Medicine 12: 214-219. 

  8. Sung GB. 1998. Recent mulberry research trend and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Korean J Seric Sci 40: 180-184. 

  9. Yen GC, Wu SC, Duh PD. 1996.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nents from the leaves of mulberry (Morus alba L.). J Biol Chem 261: 12879-12882. 

  10. 채수규, 강갑석, 마상조, 방광웅, 오문헌, 오성훈. 2003. 표준식품분석학. 지구문화사, 서울. p 228-229. 

  11.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ington, VA, USA. Vol 33, p 10-13. 

  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식품영양실험핸드북. 효일출판사, 서울. p 124-126. 

  13.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Analytical Chemists Inc, Washington, DC, USA. Chapter 43, p 2. 

  14. Yun SJ, Kim NY, Jang MS. 1994. Free sugars,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minerals of the fruits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J Korean Soc Food Nutr 23: 950-953. 

  15. 한국식품공업협회. 2008. 식품공전. p 310-311. 

  16.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test. 

  17. Jo KH, Pae YR, Yang EJ, Park EJ, Ma SJ, Park SP, Chung DO, Jung ST. 2006. Major constituents and bioactivities of tea products by various manufacturing. Korean J Food 

  18. Park CS. 2005. Compon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dered green tea cultivated in Hwagae area. Korean J 

  19. Lee YL, Ahn MS, Hong KH. 1998. A study on the content of general compounds, amino acid, vitamins, catechins, alkaloids in green, oolong and black tea. J Fd Hyg Safety 13: 377-382. 

  20. Park BH, Back KY, Lee SI, Kim SD. 2008. Quality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Cudrania ticuspidata leaves tea. 

  21. Lim MJ. 2005. Physiological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orus alba leaf tea. MS Thesis. Jinju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p 11-24. 

  22. Choi OJ, Choi KH. 200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 (green tea, semi 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56-362. 

  23. Chung YH, Shin MK. 2005. A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eas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24. Mau JL, Chyau CC, Li JY, Tseng YH. 1997. Flavor components in straw mushrooms Volariella volvacea harvested at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J Agric Food Chem 45: 

  25. Solms J. 1969. The taste of amino acids, peptides and proteins. J Agric Food Chem 17: 686-688. 

  26. Shin GH. 2004. A study on the content chang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teas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PhD Dissertation. Sunchon University, Sunchon, Korea. p 9-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