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부들의 식품안전 관련 구매행동 및 정보요구도 조사
A Survey on the Housewives' Purchasing Behavior and Needs for Food Safety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3, 2010년, pp.392 - 398  

김규동 (을지대학교 의료산업학부) ,  이정윤 (을지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부들의 식품안전과 관련한 식품구매행동과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 거주 만 20세 이상의 주부를 대상으로 2009년 3월 9일부터 4월 3일까지 수집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식품안전 관련 구매행동에서 '유통기한을 확인'한다는 응답이 4.59로 가장 높았고, '국내산 구입'(4.08), '가격보다 안전을 고려'(3.66) 등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식품안전에 관한 교육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18.5%에 그쳤는데, 식품안전 위해요소에 관한 항목별 지식수준에 있어 '환경호르몬' 항목은 정답률이 89.1%로 가장 높았고 '광우병' 항목은 25.8%로 가장 낮았으며, 전체 지식수준은 총 13점 만점에 평균 8.56점으로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탐색도는 2.61로 낮게 나타났는데,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원천으로는 TV/라디오가 4.04로 가장 높았고 신문/잡지(3.80), 인터넷(3.44), 가족/친지/친구(3.39) 등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요구도는 3.82로 높게 나타나 평소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를 많이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 제조업자, 가공 및 유통업자 등은 식품안전 및 식품위해요소들에 관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다양한 정보원을 통해 제공해야 하며 또한 각종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소비자들의 정보탐색 활동을 유도하고 식품안전관련 지식수준을 향상시켜 나감으로써,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안전을 고려한 올바른 식품구매행동을 유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usewives' purchase behavior and needs for information on food safe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75 housewives over the age of 20 liv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from March 9 to April 3 in 2009.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hecking expi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주부들의 식품안전과 관련한 식품구매행동과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 거주 만 20세 이상의 주부를 대상으로 2009년 3월 9일부터 4월 3일까지 수집되었다.
  • 따라서 소비자들이 양질의 식품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위한 기초자료의 마련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부들의 식품안전과 관련한 식품구매행동과 식품안전에 대한 지식, 정보탐색, 정보요구도 등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식품안전에 관한 정확한 정보제공 및 올바른 식품구매행동 유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Color former is added to meat products such as ham and sausage in order to make them look better.
  • 10. Imported beef of less than 30-month-old is safe from the mad cow disease.
  • 11. Excessive agrichemicals may be used for imported food since it takes longer time to be imported.
  • 12. Environmental hormones may be emitted from the packaging materials.
  • 13. Residual antibiotics in food increases the tolerance to germs in the human body.​​​​​​​​​​​​​​​​​​​​​​​​​​​​​​​​​​​​​​​​​​
  • 2. Avian influenza virus become extinct if the food is heated for 5 minutes at 75℃.
  • 4. Even irradiated foods have no problems with food safety.
  • 5. Agrichemicals in food may increase the cancer development.
  • 6. If the food is irradiated, it is harmful due to radioactivity.
  • 7. Healthy people with normal immunity can also be easily infected with avian influenza.
  • 8. Agrichemicals residues may increase the cancer development.
  • 9. Heavy metal accumulated in body through taking food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입식품에 대한 소비자안전과 관련한 정보 내용에서 주부들은 어떤 순으로 관심이 있는가? 즉 병원성 미생물, 영양과잉, 환경오염물질, 자연독, 잔류농약 및 식품첨가물 순으로 위협성이 낮아진다고 나타났다(9). 또한 주부대상으로 수입식품에 대한 소비자안전과 관련하여 관심을 갖는 정보내용을 다룬 연구에서, 제조일자 및 유통기한에 관한 정보가 가장 높은 관심을 받았고, 다음으로 유해물질 및 식품첨가물에 관한 정보, 보관 및 사용에 관한 정보, 유통 및 반품에 관한 정보 등이 순서대로 높게 나타났다(10). 이와 같이 식품의 안전성에 대하여 소비자 인식과 건강 위해도 간에는 상당한 격차가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이 식품안전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못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11).
소비자의 정보요구는 무엇을 말하는가? 한편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요구는 매우 강한 반면 실제 제공되는 정보는 제한적인 것이 현실인데(13,14), 소비자의 정보요구란 소비자들이 구매선택과정에서 상품의 품질과 성능을 비교, 판단하고 보다 바람직한 선택을 하기 위하여 현재 알고 있는 지식수준과 그가 희망하는 지식수준 사이에 느껴지는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욕구가 발생하며, 이와 관련된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것을 말한다(15). 따라서 소비자들이 양질의 식품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위한 기초자료의 마련은 필수적이다.
식생활을 위협하는 여러 요인의 실제 수치를 측정하면 어떤 순으로 나타나는가? 병원성 미생물, 영양과잉, 환경오염물질, 자연독, 잔류농약 및 식품첨가물 순으로 위협성이 낮아진다고 나타났다(9). 또한 주부대상으로 수입식품에 대한 소비자안전과 관련하여 관심을 갖는 정보내용을 다룬 연구에서, 제조일자 및 유통기한에 관한 정보가 가장 높은 관심을 받았고, 다음으로 유해물질 및 식품첨가물에 관한 정보, 보관 및 사용에 관한 정보, 유통 및 반품에 관한 정보 등이 순서대로 높게 나타났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ang DK, Park HJ. 2006. Analysis for consumers food purchase behavior with respect to agrifood safety. Korean J Agric Manag & Pol 33: 563-582. 

  2. Nam HJ, Kim YS. 2006. A Survey on perceived food safety in urban residents. Korean J Food & Nutr 19: 126-142. 

  3. Bang BH, Kim JK, Yoon WH, Lee GR, Choe GY, Hwang SY, Hwang CH. 2009. Food hygiene. Jin Ro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4-23. 

  4. Roberts T, Smallwood D. 1991. Data needs to address economic issues in food safety. Am J Agric Econ 73: 933-942. 

  5. Yi JY. 2004. Die sicherheit des lebensmittes und die grenzen der regulierung von lebensmittes. Chung-ang Law Review 

  6. Yi JY. 2005. Zur sicherheit des lebensmittes im erneuerten lebensmittelrecht. Chung-ang Law Review 7: 41-61. 

  7. Lee WY. 1997. A study on consumers' behavior relative to food's safety.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8. Lee GB. 1996. Women consume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food safety and the factors related to safety concern.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9. Han YS. 1995.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housewives about safety of food additives.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0. Park HY, Kim SW. 2005. A study on consumers' information demand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11. Kim HC, Kim MR. 2002. Analysis of the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 need for food safety: focused 

  12. Choe JS, Chun HK, Hwang DY, Nam HJ. 2005.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13. Kim HC, Kim MR. 2003.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 needs towards food hygiene (I): focused on pesticide 

  14. Kim HC, Kim MR. 2003.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towards food hygiene (2): focused 

  15. Lee EH, Rhee KC. 1991. A study on consumers information needs and the related factors. J Korean Home Econ 29: 

  16. Park JY, Choi EH, Choi JH, Shim SK, Park HS, Park KH, Moon HK, Ryu K. 2009. Assessment of consumer's food safety perception and practices. J Fd Hyg Safety 24: 1-11. 

  17. Lee SR. 1992. Safety assurance in dietary scheme. Proceedings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Fall Meeting. 

  18. Kim HS. 1998. Farmers' attitude and perception on the food safety. Suwon University Nonmunjib 16: 217-227. 

  19. Kim HC, Kim MR. 2004.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for food safety. Injenonchong 19: 1-8. 

  20. Kim HC, Kim MR. 2009. consumers' awareness of the risk elements associated with foods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