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관한 연구 - 문화적 인식, 지식, 기술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Multicultural Competence - Focusing on the Cultural Cognition,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Skill -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9 no.6, 2010년, pp.945 - 965  

김민경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migrants and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 total of 11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do, were selected for the interview. The participants provided their cultural cognition, cultural know...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적 역량은 무엇인가? 학문분야와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정의되고 있지만 문화적 역량은 “다문화 상황에서 사회 기관이나 시스템, 전문가들이 함께 협력하여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일관된 행동과 태도, 정책, 구조”를 의미한다. 이때 행동과 태도, 정책의 시행주체는 전문가 개인이 될 수도 있고, 조직 전체가 될 수 있다(Cross et al.
문화적 역량은 무엇으로 이뤄진다고 볼 수 있는가? 결론적으로 문화적 역량은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문화적 다름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자기자신의 문화적 세계관에 대한 인식, 둘째, 다양한 문화적 활동과 세계관에 관한 지식, 셋째, 문화간 교류하는 기술(cross-culture skill)로 이뤄진다고 볼 수 있다.
다문화 역량을 발휘하는데 기여하는 것은 무엇인가? 아울러 국제화, 세계화의 추세와 다인종, 다문화사회로의 변화과정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을 파악해 보는 것은 다인종, 다문화사회로의 원활한 이행과정을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즉 다문화적 가치관이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도록 존중해주는 사고방식이라고 볼 때 개인적 편견, 선입견, 고정관념 등을 인정하고, 문화적 규범, 태도, 신념을 알아가며, 다양성을 가치있게 여기며, 자신의 문화와 다른 문화에 대한 타인과 지식 및 경험을 공유하고, 문화적 집단의 신념과 태도가 자신과 타인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고, 문화 간의 협상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다문화 역량을 발휘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김민경. (2010).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지역사회구성원의 문화적 민감성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69-86. 

  2. 김상학. (2004). 소수자 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사회연구, 1, 169-206. 

  3. 김이선, 김민정, 한건수. (2007).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4. 김의철, 박영신. (2006). 한국인의 자기인식에 나타난 토착문화 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 1-36. 

  5. 김정화, 박선혜, 조상미. (2010). 한국대학생의 세계시민 의식과 문화다양성태도 영향 요인. 청소년학연구, 17(4), 183-210. 

  6. 민성혜, 이민영. (2009).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문화적 인식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1(1), 183-206. 

  7. 박성희. (2004). 공감학: 어제와 오늘. 서울: 학지사. 

  8. 박수미, 정기선. (2006).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70, 5-25. 

  9. 설동훈. (2006). 국민 민족 인종: 결혼이민자 자녀의 정체성, 한국사회학회, 동북아 다문화 시대 한국사회의 변화와 통합. 동북아시대위원회 용역과제 보고서. 

  10. 송미영. (2010). 다문화수용성의 원인분석. 민족연구, 41, 74-97. 

  11. 신경림. (1997). 질적 간호연구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2. 양애경, 이선주, 최훈석, 김선화, 정혁. (2007). 여성결혼 이민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성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3. 양성은. (2008). 국제결혼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4, 37-60. 

  14. 유태균. (2001). 사회복지질적연구방법론. 나남출판. 

  15. 윤갑정, 김미정. (2008). 다문화시대 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 개발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55-85. 

  16. 윤상우, 김상돈. (2010). 사회적 가치관이 한국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6(1), 91-117. 

  17. 이명진, 최유정, 최샛별. (2010). 다문화사회와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 조사연구, 11(1), 63-85. 

  18. 이정우. (2007). 다양한 인종, 민족 집단에 대한 예비교사의 고정관념: 사회과 예비교사교육에의 함의. 시민교육연구, 39(1), 153-178. 

  19. 인태정. (2009). 다문화사회지향을 위한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 태도 연구. -부산, 울산, 경남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3(2), 339-370. 

  20. 장태한. (2001). 한국 대학생의 인종?만족선호도에 관한 연구. 당대비평, 14, 99-113. 

  21. 전수현. (2002). 필리핀노동자와 결혼한 한국여성의 주변적 지위.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22. 전영자, 전예화. (2009).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고정관념과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9(1), 1-13. 

  23. 정연희. (2007).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을 위한 미술교사의 문화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최연선, 최혜지, 최원희. (2008a).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문화적 유능감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35-241. 

  25. 최연선, 최혜지, 최원희. (2008b). 사회복지실천 인력의 문화적 유능감(cultural competence)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42-247. 

  26. 최윤정, 이미영, 조미자, 문정신. (2003). 치매노인 여성의 체험연구. 한국노년학회, 23(1), 113-128. 

  27. 최효진, 유계숙. (2009). 이민자와 이민자지원정책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3), 1-27 

  28. 행정안전부. (2009).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29. 홍기원. (2007). 다문화사회 문화정책의 과제와 방향. 문화예술교육박람회 다문화사회와 문화정책 세미나 자료집, 12-36. 

  30.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9). Cultural Competence Compendium, Chicago: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1.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0). Guidelines for Providers of Psychological Services to Ethnic, Linguistic, and Culturally diverse Populations. Retrieved June 30, 2010, from www.apa. org/pi/guide.html. 

  32. Andrus, L. (2001). The culturally competent art educator. Art Education, 54(4), 14-19. 

  33. Aponte, J., Rivers, R., & Wohl, J. (1995).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nd Cultural Diversity. Boston: Allyn and Bacon. 

  34. Boyle, D., & Springer, A. (2001). Toward a cultural competence measure for social work with specific populations. Journal of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in Social Work, 9(3-4), 53-71. 

  35. Brewer, M. B. (2003). Intergroup relations (2nd ed.). Milton Keynes : Open University Press. 

  36. California Endowment. (2003). Principles and Recommended Standards for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California: Thousands Oaks. 

  37. Campinha-Bacote, J. (2002). Cultural competency in healthcare delivery: Have I asked myself the right question? Retrieved November 26, 2006 from http://www.transculturalcare.net. 

  38. Clark, J. A., & Legge J. S. Jr. (1997). Economics, racism, and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in the New Germany.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50, 901-917. 

  39. Crocker, J., Major, B., & Steele, C. (1998). Social Psychology. Oxford: Gillbert, S. T. Fiske, and G. Lindzey.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4th ed., pp. 504-553). New York: McGraw-Hill. 

  40. Cronin, M. S. (2005). Enhanc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social workers. Doctoral Dissertation, Yeshiva University in New York, NY. 

  41. Cross, T., Bazron, B., Dennis, K., & Isaacs, M. (1989). Towards a Culturally Competent System of Care. Washington, de: Georgetown University Child Development Center. 

  42. Diller, J. V. (2007). Cultural Diversity: A Primer for the Human Services. Thomson: Brooks/Cole. 

  43. Garmon, M. A. (2004). Changing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belief about diversity.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5(3), 214-226. 

  44. Hainmueller, J., & Hiscox, M. J. (2007). Educated preferences: Explaining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in Europe. International Organization, 61, 399-442. 

  45. Hatch, J. A. (2002).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 Albany,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6. Huberman, A., & Miles, M. (1994).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Metho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London: Sage. 

  47. Kunda, Z. (1999). Social Cognition: Making Sense of People.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48. Kymlicka, W. (1995). Multicultural Citizenship; A Liberal Theory of Minority Right. Oxford: Clarendon Press. 

  49. Lewin-Epstein, N., & Levanon, A. (2005). National identity and xenophobia in an ethnically divided society. International Behavior, 12, 119-128. 

  50. Liedbkind, K. (2000). Acculturation. in R. Brown and S. Gaertner, eds. Blackwell.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4, 386-404. Oxford: Blackwell. 

  51. Lum, D. (2005). Cultural Competence, Practice Stages, and Client Systems: A Case Study Approach. Belmont, California: Brooks/Cole. 

  52. Lum, D. (2007). Culturally Competent Practic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iverse Groups and Justice Issues (3rd. ed). Belmont, California: Brooks/Cole. 

  53. Luquis, R. R., & Perez, M. A. (2006). Cultural competency among school health educators. Journal of Cultural Diversity, 13(4), 217-222. 

  54. Manoleas, P. (1994). An outcome approach to assess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MSW students. Journal of Social Work in Long-term Care, 2(1/2), 81-94. 

  55. McPhatter, A, R. (1997). Cutural competence in child welfare: What is it? How do we achieve it? What happens without it? Child Welfare, 76(1), 256-278. 

  56. Medrano, J. D. (2005). Nation, citizenship, and immigration in contemporary Spain. International Journal on Multicultural Societies, 7, 133-156 

  57. Medrano, J. D., & Koenig, M. (2005). Nationalism, citizenship, and immigration in social scienc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n Multicultural Societies, 7, 82-89. 

  58.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National Committee on Racial and Ethic Diversity. (2001). Standards for Cultural Competence in Social Work Practice. Washington DC: NASW Press. 

  59. Nesdale, D., & Todd, P. (2000). Effect of contact on intercultural acceptance: A fiel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4, 341-360. 

  60. Ruefle, W., Ross, W. H., & Mandell, D. (1992). Attitudes toward Southeast Asian immigrants in a Wisconsin community.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6, 877-898. 

  61. Smith, D., Moore, G., Jayaratne, K. S. U., Kistler, M., & Smith, D. (2009). Factors affecting the global mindness of extension agents: Implications for building global awareness of extension agents. Proceedings of the 25th Annual Meeting, Intercontinental san Juan Resort, Puetorico. 

  62. Sue, S. (2006). Cultural competency: From philosophy to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4(2), 237-245 

  63. Sue, S. & Sue, D. (2003). Counseling the Culturally Diverse: Theory and Practice. Pacific Grove, California: Brooks/Cole. 

  64. Weaver, H. N. (2005). Explorations in Cultural Competence. California: Thomson Brooks/Col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