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태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cklonia cava Kjellman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11 = no.127, 2010년, pp.1675 - 1682  

조은경 (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소재학과) ,  최영주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조류 감태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감태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XO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감태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높은 항산화능이 나타났으며 항산화제로 잘 알려져 있는 BHA, VitC, catechin의 활성보다 높거나 유사하게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 positive control인 VitC와 감태 열수 추출물은 시료농도가 증가할수록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pH 1.2에서 감태 열수 추출물의 경우 VitC 보다 약간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감태 열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감태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감태 열수 추출물은 알콜과 acetaldehyde 분해능을 모두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acetaldehyde의 분해능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감태 열수 추출물의 미용효능은 tyrosinase와 elastaase 억제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Tyrosinase 저해능 분석에서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kojic acid는 0.1 mg/ml의 농도에서 65%의 tyrosinase 억제효과를 나타낸 반면, 감태 열수 추출물의 경우 10 mg/ml의 농도에서 58%의 저해효능을 보였다. 비록, 그 효능이 충분히 높지는 않지만 감태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tyrosinase 저해활성이 증가하므로 충분한 미백효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lastase 억제 효능 분석에서는 감태 열수 추출물 0.5 mg/ml에서 38%, 1 mg/ml에서 44%의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Positive control로 elastase 저해 활성 효과가 알려진 VitC는 1 mg/ml의 농도에서 36%의 저해활성이 나타났고 elastase 활성저해제인 oleanolic acid는 농도 0.5 mg/ml에서 elastase를 32% 정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주름 예방 효능에 있어서 감태 열수 추출물의 우수한 기능성이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 from Ecklonia cava Kjellman (ECE) was investigated to assess antioxidative, anti-skin aging,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as well as alcohol metabolizing activities. Antioxidant activity of ECE was measured by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숙취의 주 원인물질인 acetaldehyde는 체내에서 흡수된 알코올이 분해 시 생성되는 대사산물로서 단순히 ADH만 활성화 시키면 혈중 알콜 농도는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으나 간이나 혈액에 남아있는 acetaldehyde는 계속 축적이 되어 심한 숙취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acetaldehyde의 분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소인 ALDH의 활성에 감태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감태 열수 추출물의 ADH 및 ALDH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는 반응 후의 최대 흡광도와 효소의 반응 속도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태의 생리활성을 좀 더 상세히 알아보기 위해 감태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능, 아질산 소거능 및 elastase 저해효과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해조류 기능성 소재개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해조류의 알코올 대사효능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 숙취해소 소재로써 감태의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melanin 색소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에 대한 감태 열수 추출물의 농도별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Fig. 7).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kojic acid는 0.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태의 생리활성을 좀 더 상세히 알아보기 위해 감태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능, 아질산 소거능 및 elastase 저해효과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해조류 기능성 소재개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해조류의 알코올 대사효능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 숙취해소 소재로써 감태의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에 함유된 영양소는? 더욱이, 최근 해조류의 다양한 생리⋅화학적 효과가 검증되면서 해조류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18,19]. 해조류에는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 및 섬유소, 단백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알긴산, 퓨칸설페이트, 라미나란등 수용성 다당류가 풍부하다. 이들은 많이 섭취하여도 독성이 없으며 퓨칸설페이트와 알긴산 유도체들은 항당뇨, 항응고, 항염증, 항종양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7,25].
감태의 외형적 특징은? 본 실험에 사용한 감태(Ecklonia cava Kjellman)는 비식용 해조류로 갈조 식물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의 식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제주연안 수심 10 m 내외에서 서식하고 있다. 길이는 1-2 m이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밑동은 뿌리 모양을 하고 있는 감태는 일본에서도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식용해조류로서 항산화성, 항암성, 항고혈압성 등 여러 가지 기능성들이 밝혀져 있으므로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10,22]. 특히, 감태의 주요 성분인 phlorotannin은 phloroglucinol을 기본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페놀화합물로 phlorotannin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혈전생성 저해활성, 항산화활성, 심혈관 보호효과, 및 항바이러스활성 등이 보고된 바가 있다[1,12,13].
해조류 감태의 열수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어떤 특징은 보였는가? 우선, 감태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XO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감태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높은 항산화능이 나타났으며 항산화제로 잘 알려져 있는 BHA, VitC, catechin의 활성보다 높거나 유사하게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 positive control인 VitC와 감태 열수 추출물은 시료농도가 증가할수록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hn, M. J., K. D. Yoon, S. Y. Min, J. S. Lee, J. H. Kim, T. G. Kim, S. H. Kim, N. K. Kim, H. Huh, and J. W. Kim. 2004. Inhibition of HIV-1 reverse transcriptase and protease by phlorotanins from the brown alga Ecklonia cava. Biol. Pharm. Bull. 27, 544-547. 

  2.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8-1200. 

  3. Bu, H. J., Y. M. Ham, J. M. Kim, S. J. Lee, J. W. Hyun, and N. H. Lee. 2006. Elastase and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cklonia cava. Korean J. Pharmacogn. 37, 92-96. 

  4. Choi, J. T., H. K. Joo, and S. K. Lee. 1995. The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on alcohol fermentation and enzyme activiti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gric. Chem. Biotechnol. 38, 278-282. 

  5. Dewitt, D. L., T. Rollins, J. S. Day, J. A. Gauger, and W. L. Smith. 1981. Orientation of the active site, and antigenic determinants of prostaglandin endoperoxide of synthase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J. Biol. Chem. 256, 10375-10382. 

  6. Gray, J. I. and L. R. Dugan J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7. Hsueh, W. A. and P. W. Anderson. 1992. Hypertension, the endothelial cell, and the vascular complications of diabetic mellitus. Hypertension 20, 253-263. 

  8. Hwang, J. Y., J. W. Ham, and S. H. Nam. 2004.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9-332. 

  9. James, A. E. K., D. W. Timothy, and L. Gorden. 1996. Inhibition of human leujocyte and porcine pancreatic elastase by homologues of bovine pancreatic tyrosinase inhibitors. Biochem. 35, 9090-9096. 

  10. Jimenez-Escring, A. and I. Goni Cambrodon. 1999. Nutritional evaluation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edible seaweeds. Arch.. Latioam. Nutr. 49, 114-120. 

  11. Joung, E. Y. and S. K Lee.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regeneration effect in HaCat cell by Jeju Island aboriginal Ecklonia cava. J. Korean Soc. Cosm. 13, 1071-1077. 

  12. Kang, H. S., H. Y. Chung, J. Y. Kim, B. W. Son, H. A. Jung, and J. S. Choi 2004. Inhibitory phlorotanins from the edible brown alga Ecklonia stolonifera on tota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Arch. Pharm. Res. 27, 194-198. 

  13. Kang, K., Y. Park, H. J. Hwang, S. H. Kim, J. G. Lee, and H. C. Shin. 2003.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rown algae polyphenolics and their perspectives as chemopreventive agents against vascular risk factors. Arch. Pharm. Res. 26, 286-293. 

  14. Kim, J. A. and J. M. Lee. 2004. The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Ecklonia cava with blanching times. Korean J. Food Culture 19, 369-377. 

  15. Kim, J. W., D. K. Kim, J. S. Park, Y. K. Lee, K. Y. Beik, and S. D. Kim.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hark collagens, and inhibitory actions on elastase and tyrosinase. Korean J. Food Preserv. 16, 419-426. 

  16. Kim, M. H., Y. T. Chung, J. H. Lee, Y. S. Park, M. K. Shin, H. S. Kim, D. H. Kim, and H. Y. Lee. 2000.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tion o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cis $T_{HUNB}$ from Korea and Chin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225-233. 

  17. Kim, M. K., J. Y. Kim, S. W. Choi, J. T. Hong, and K. S. Yoon. 2004.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thamustinctorius) seed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30, 15-22. 

  18. Kim, S. A., J. Kim, M. K. Woo, C. S. Kwak, and M. S. Lee. 2005.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ive kinds of seaw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51-459. 

  19. Kwon, M. J. and T. J. Nam. 2006. Effects of Mesangi (Capsosiphon fulvecens) power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30-535. 

  20. Lee, J. H. and S. R. Lee.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of Korea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21. Lee, S. H., K. N. Kim, S. H. Cha, G. N. Ahn, and Y. J. Jeon. 2006.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atic and methanolic extracts from Ecklonia cava stem and leav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139-1145. 

  22. Mabeau, S. and J. Fleurence. 1993. Seaweed in food products: biochemical and nutritional aspects. Trends Food Sci. Technol. 8, 22-30. 

  23.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4. Nam, K. A. 2007. Characterization of squid sjin collagens and functionality of their enzymatic hydrolysates. pp. 35-36, MS Thesis, University of Kangnung. 

  25. Nishino, T., Y. Aizu, and T. Nagumo. 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anticoagulant and activity of two types of fucan sulfates from the brown seaweed Ecklonia kurom. Agric. Biol. Chem. 55, 791-797. 

  26. Oki, T., M. Masuda, S. Furuta, Y. Nishibia, N. Terahara, and I. Suda. 2002. Involvement of anthocyanin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in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urple- fleshed sweet potato cultivars. J. Food Chem. Toxicol. 67, 1752-1756. 

  27. Park, D. C., C. I. Ji, S. H. Kim, and K. J. Jung. 2000. Characteristics of tyrosinase inhibitory extract from Ecklonia stolonifera. J. Fish Sci. Tech. 3, 195-199. 

  28. Park, Y. B. 2005. Determination of nitrite-scavenging activity of seawe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93-1296. 

  29. Park, Y. B., T. G. Lee, O. K. Kim, J. R. Do, S. G. Yeo, Y. H. Park, and S. B. Kim. 1995. Characteristics of nitrite scavenger derived from seeds of Cassia tora L. Korea J. Food Sci. Technol. 27, 124-128. 

  30. Racker, E. 1973. Alcohol dehydrogenase in rat liver. Biochem. J. 135, 577-581. 

  31. Ruidavets, J., P. Teissedre, J. Ferrieres, S. Carando, G. Bougard, and J. Cabanis. 2000. Catechin in the mediterranean diet: vegetable, fruit or wine? Atherosclero 153, 107-117. 

  32. Siriwardhana, N., K. W. Lee, S. H. Kim, J. W. Ha, and Y. J. Jeon.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Hizikia fusiformis on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Food Sci. Tech. Int. 9, 339-346. 

  33. Stirpe, F. and E. D. Cort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59. 

  34. Tottmar, S. O., H. Petterson, and K. H. Kiessling. 1973. The subcellular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aldehyde dehydrogenase in rat liver. Biochem. J. 135, 577-581. 

  35. Tsuji, N., S. Moriwaki, Y. Suzuki, Y. Takema, and G. Imokawa. 2001. The role of elastase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74, 283-290. 

  36. Yagi, A., T. Kanbara, and N. Morinobu. 1987. Inhibition of mushroom tyrosinase by aloe extract. Planta Medica 53, 517-519. 

  37. Ying, Q. L., A. R. Rinehart, S. R. Simon, and J. C. Cheronis. 1991. Inhibition of human leucocyte elastase by ursolic acid: evidence for a binding site for pentacyclic. Biochem. J. 277, 521-5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