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숙도에 따른 대추(Ziziphus jujube Miller)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의 변화
Change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Ziziphus jujube Miller Fruits During Matur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7 no.5, 2010년, pp.712 - 719  

홍주연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남학식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신승렬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방 약용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추의 효능과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추 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과 각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추 추출물의 수율은 미숙 대추가 가장 낮은 11% 내외의 수율을 보였으며, 완숙 대추가 미숙 대추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율을 보였고, 건조 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55.67, 65.95%이었다. 대추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모두 미숙 대추에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았고, 10.0 mg/mL의 농도에서는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같이 9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SOD 유사활성능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 하였으나, 미숙 대추의 열수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SOD 유사활성능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능은 미숙 대추 추출물의 10 mg/mL의 농도에서는 39.92%의 SOD 유사활성능을 확인되었다. 대추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와 추출물의 1.0 m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미숙 대추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미숙 대추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실험에 사용한 시료인 미숙 대추, 완숙대추, 건조 대추에는 항산화 물질의 대표적인 폴리페놀 물질도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로서 항산화성도 우수한 것으로 보여 천연항산화제나 기능성 식품 및 다양한 식품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s out to analyz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jujube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jujube were analyzed by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소비자들의 기능성 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통적인 한방재료 대추가 가지는 장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효능 및 성분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고 있는 대추 추출물에 항산화성의 기능성을 평가함으로서 대추의 식품학적인 기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방 약용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추의 효능과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추 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과 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추 추출물의 수율은 미숙 대추가 가장 낮은 11% 내외의 수율을 보였으며, 완숙 대추가 미숙 대추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율을 보였고, 건조 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5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추의 약용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대추(Ziziphus jujube Miller)는 갈매나무과(Rhamnac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의 열매로서 중국계는 Zizyphus jujuba Miller라 하고 인도계는 Zizyphus mauritiana LAM이라 하며, 유럽 남부, 아시아 남부 및 동부가 원산지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재래종인 복조, 보은, 산조대추 등이 분포하고 있으며, 개발종인 월출, 무등, 금성대추 등은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고 있다(15). 대추의 약용성분으로는 각종 sterols, alkaloids, saponins, vitamins, serotonin, organic acid, fatty acids, polyphenol, flavonoids 및 amino acids 등이 보고되어 있다(16-19). 대추의 과육은 향기가 별로 없으며 단맛이 강하고 산미가 있어 상쾌한 느낌을 주며, 대추의 껍질은 적색을 띠고 있어 우리나라 전래의 길․흉사와 예식에 올려졌으며 생식 및 요리를 통해 식용되고 있으며 생대추는 저장성이 낮기 때문에 주로 건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대추란? 대추(Ziziphus jujube Miller)는 갈매나무과(Rhamnac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의 열매로서 중국계는 Zizyphus jujuba Miller라 하고 인도계는 Zizyphus mauritiana LAM이라 하며, 유럽 남부, 아시아 남부 및 동부가 원산지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재래종인 복조, 보은, 산조대추 등이 분포하고 있으며, 개발종인 월출, 무등, 금성대추 등은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고 있다(15). 대추의 약용성분으로는 각종 sterols, alkaloids, saponins, vitamins, serotonin, organic acid, fatty acids, polyphenol, flavonoids 및 amino acids 등이 보고되어 있다(16-19).
항산화 효과가 있는 효소적 방어체계에는 어떤 효소가 포함되는가?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항산화 생리 방어 시스템은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등에 의한 효소적 방어체계와 식품을 통해 섭취 가능한 항산화물질에 의한 비효소적 방어체계가 있다(6). 항산화 효과가 있는 비효소적 방어체계는 동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분야는 식물성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Paula A, Lucca B, Tepper J. (1994) Fat replacers and the functionality of fat in foods. Trends Food Sci. Technol., 5, 12-19 

  2. Moon JH, Park KH. (1995) Function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ea. J Korean Tea Soc., 1, 175-191 

  3. Ramarathnam N, Osawa T, Ochi H, Kawakishi S. (1995) The contribution of plant food antioxidants to human health. Trends Food Sci., 6, 75-82 

  4. Jang MJ, Woo MH, Kim YH, Jun DY, Rhee SJ. (2005) Effects of Antioxidativ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thrombogenic by the extract of sancho(Zanthoxylum Schinifolium). Korean Nutr. Soc., 38, 386-394 

  5. Oh HM, Kim MK. (2001)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and green tea leave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12-month-old rats. Korean Nutr Soc., 34, 285-298 

  6. Namik MO. (1990) Antioxidants antimutagens in food. Food Sci. Nutr., 29, 273-300 

  7. Cheng GC, Lee JY, Kim DC, Suh SO, Hwang WI. (2000) Inhibitory effect of salavia miltiorhiza extract on growth of some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726-731 

  8. Ji WD, Jeong HC, Lee SJ, Chun YG. (1997) Antimicrobial activity and distilled components of garlic and ginger. J. Agric. Chem. Biotechnol., 40, 514-518 

  9. Francene MS, Monica MB, Carl LK. (2003) Cocoa and chocolate flavonoids: Implications for cardiovascular health. J. Am. Dietetic Assoc., 103, 215-223 

  10. Record IR, Lane JM. (2001) Simulated intestinal digestion of green and black teas. Food Chem., 73, 471-486 

  11. Davies KJA. (1994) Oxidative stress the paradox of aerobic life. Biochem symp., 61, 1-34 

  12.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0) Handbook of food and nutrition analysis, p. 124-126 

  13. Lowry OH, Rosebrough NJ, Fair LA, Randal RJ. (1951) Protein measurment with folin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14. Nelson N. (1994) A photometric adoption of the somogyi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lucose. J. Biol. Chem., 153, 375-381 

  15. Choi KS. (1990)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jujube fruits var. bokjo during maturity and postharvest ripening(in Korean). J. Resour. Develop., 9, 47-53 

  16. Bal JS, Jawanoda JS, Singh SN. (1979) Development physiology of ber(Zizyphus mauritina) var. urman. IV. Change in amino acids and sugar(sucrose, glucose and fructose) at different stages of fruit ripening. Indian Food. Pack. 33, 3335-3337 

  17. Zryaev R, Irgasheve T, Israilov IA, Abdullaev ND, Yunusov MS, Yunusov S. (1977) Alkaloids of Ziziphus jujuba structure of yuziphine and yuzirine. Khim. Prir. Soedin. USSR., 2, 239-243 

  18. Okamura N, Nohara T, Yagi A, Nishioka I. (1981) Studies of dammarane-type saponin of Zizyphus fructus. Chem. Pharm. Bull., 29, 675-683 

  19. Korobkina ZV. (1968) Ascorbic acid and carotene content during storage of fresh and processed fruits. Tr. Uses. Semin. Biol. Aktiv(Leck) Veshchestvam Plodov Yagod., 3, 384-388 

  20. Kwon YI, Jung IC, Kim SH, Kim SY, Lee JS. (1997) Changes in properties of pitted jujube during drying and extraction. Agric. Chem. Biotechnol., 40, 43-47 

  21. Cha GH, Lee HG. (2001) Sensor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time of daechu-injeulmi added with various levels of chopping jujube. Korean J. Soc. Food Sci., 17, 29-41 

  22. Min YK, Lee MK, Jeong HS.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ujube alcoholic beverage form different addition level of jujube fruit. Agric. Chem. Biotechnol., 40, 433-437 

  23. Kwak EJ, An JH, Lee HG, Shin MJ, Lee YS. (2002) A study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of herbal sauces of jujube and omij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11 

  24. Hong JS. (2002)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Dachu-Injeolmi by various soaking time of glutinous r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211-215 

  25. Cha GH, Shim YH, Lee HG. (2000) Sensor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time of Daechu-Injeulmi added various levels of jujube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16, 609-621 

  26. Singleton VL, Rossi 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 -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27. Blois ML.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24 

  28.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9.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ory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30. Stirpe F, Corte ED.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1 

  31. Cha WS, Shin HR, Park JH, Oh SL, Lee WY, Chun SS, Choo JW, Cho Yj. (2004) Antioxidnat activity of phenol compounds from mulberry fruits. Korean J. Food Preserv., 11, 383-387 

  32. Choi SH, Lee BH, Choi HD. (1992) Analysis of catechin contents in commercial green tea by HPLC. J. Korean Soc. Food Nutr., 21, 386-389 

  33. Han DS, Kim SJ. (1994) Development of SOD like activity substance and functional foods. Food Technol., 7, 41-49 

  34.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 28, 232-239 

  35. Peter FS. (1975) The toxicology of nitrate, nitrite and N-nitrocompounds. J. Sci Food Agric., 26, 1761-1769 

  36. Moon JS, Kim SJ, Park YM, Hwang IS, Kim EH, Park JW, Park IB, Kim SW, Kang SG, Park YK, Jung ST. (2004) Activities of antioxidation and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Preserv., 11, 201-206 

  37. Fiddler W, Pensabene JW, Piotrowski EG, Doerr RC, Wasserman AE. (1973) Use of sodium ascorbate or erythrobate to inhibit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in frankurters. J. Food Sci., 38, 1084-1091 

  38. An BJ, Lee JT. (2002)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from etract of Crataegi fructus. Korean J. Herbol., 17, 29-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