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모 종류 및 발효 방식에 따른 현미식초의 유기산과 휘발성분 특성
Properti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Components in Brown Rice Vinegar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and Fermentation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7 no.5, 2010년, pp.733 - 740  

윤성란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귀란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지현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수원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여수환 (농촌진흥청 발효이용과)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초제조시 효모균주(Saccharomyces kluyveri DJ97, Saccharomyces cerevisiae JK99, Saccharomyces cerevisiae GRJ, Saccharomyces cerevisiae H9)와 속성 및 정치발효에 따른 현미식초의 유기산 및 휘발성 성분을 비교하였다. 현미식초의 유기산 함량은 acetic acid 이외에 속성발효에서는 citric acid, lactic acid, oxalic acid, tarta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치발효에서는 citr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lactic acid 함량이 속성발효 식초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accharomyces cerevisiae GRJ 균주 알코올 발효액의 속성발효 식초는 acetic acid가 다른 식초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유기산 함량은 효모균주보다는 발효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C-MS로 휘발성 성분을 동정한 결과, 현미식초의 주된 휘발성 성분인 acetic acid 이외에 속성발효에서는 alcohol류로 phenylethyl alcohol, isoamyl alcohol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ster류는 ethyl acetate, isoamyl acetate, isobutyl acetate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 benzaldehye, iso butyric acid, pentanoic acid, heptanoic acid, caprylic acid 등이 검출되었다. 정치발효에서는 alcohol류는 1-butanol, phenylethyl alcohol, isomyl acohol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ester류는 phenylethyl acetate 및 ethyl acetate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코 분석에서 속성발효 및 정치발효에 있어서 향기 패턴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능적 특성으로 효모 균주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이취(발효취) 강도는 속성발효에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acetic acid의 자극취로 인해 검사원에 의한 뚜렷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rown rice vinegars were prepared by agitated or static acetic acid fermentation using different yeast strains (Saccharomyces kluyveri DJ97, Saccharomyces cerevisiae JK99, Saccharomyces cerevisiae GRJ, or Saccharomyces cerevisiae H9). Organic acid contents and levels of volatile compounds were com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곡물식초인 현미식초 제조시 효모균주 및 발효방식(속성발효, 정치발효)에 따른 유기산 및 휘발성 향기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고품질의 현미식초 제조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하였다.
  • 휘발성 성분을 비파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전자코(electronic nose)는 신속하고 편리하게 향 패턴을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31). 본 연구에서는 식초의 복합적인 향을 전자코 분석에 의해 시료 간 차이를 판별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Jo JS. (1984)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vine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38-60 

  2. KFDA (2008) Korea Food Standard Code, 5-21-1 

  3. Lee WJ, Kim SS. (1998) Preparation of Sikhe with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6-150 

  4. Joo KH, Cho MH, Moon SY, Song SH. (1998)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odor properties of commercial vine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99-305 

  5. Ha YD, Kim KS. (2000) Civilization history of vinegar. Food Ind. Nutr., 5, 1-6 

  6. Kwon SH, Jeong EJ, Lee GD, Jeong YJ. (2000)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 including vinegar. Food Ind. Nutr., 5, 18-24 

  7. Jang SY, Jeong YJ. (2005) Effect of lactate and corn steep liquor on the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by Gluconobacter perimmonis KJ145T. Food Sci. Biotechnol., 5, 561-565 

  8. Jeong YJ. (2009)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 the Korean vinegar industry. Food Sci. Ind., 42, 52-59 

  9. Lee YC, Jang OY, Kim HW, Choi CU, Yoon SK. (199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vinegars in Andong province. Korean J. Dietary culture, 14, 17-20 

  10. Jeong YJ, Seo JH, Jung SH, Shin SR, Kim KS. (1998) The quality comparison of uncleaned rice vinegar by two stage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uncleaned rice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5, 374-379 

  11. Joo KH, Cho MH, Park KJ, Jeong SW, Lim JH. (2009) Effects of fermentation method and brown rice cont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16, 33-39 

  12. Jeong YJ, Lee MH. (2000)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industry. Korean J. Food Ind. Nutr., 5, 7-12 

  13. Jones DD, Greenshields RN. (1970) Volatile constituents of vinegar.II. Formation of volatiles in a commercial malt vinegar process. J. Inst. Brew., 76, 55-60 

  14. Lee TS, Han EH.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91-698 

  15. Kim AR, Lee SY, Kim KBWR, Song EJ, Kim JH, Kim MJ, Ji KW, Ahn IS, Ahn DH. (2008) Effects of Glycyrrhiza uralensi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94-200 

  16. Yoon HN, Moon SY, Song SH. (1998)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odor properties of commercial vine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99-305 

  17. SAS (1998) SAS user's guide Statistics, 3th ed.,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Cary, NC, USA 

  18. Furukawa S, Udea R. (1963) Studies on non-volatile organic acid in vinegar. contents of non-volatile organic acid in commercial vinegars. J. Ferment. Technol., 41, 14-19 

  19. Moon SY, Chung HC, Yoon HN. (1997) Comparative analysis of commercial vinegar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minor components and organoleptic tas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63-670 

  20. Shoji F, Ryuzo U. (1963) Contents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commercial vinegars. J. Ferment. Technol., 41, 14-19 

  21. Shoji F, Toshio T, Ryuzo U. (1967) Alcohol fermentation in cider vinegar production. J. Ferment. Technol., 45, 204-209 

  22. Shoji F, Nobuhiko T, Ryuzo U. (1973) Conversion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to acetic acid in acetic acid fermentation. J. Ferment. Technol., 51, 327-334 

  23. Su MS, Chein PJ. (2010) Aroma impact components of rabbiteye blueberry(Vaccinium ashei) vinegars. Food Chem., 119, 923-928 

  24. Tasfaye W, Garcia-parrilla MC, Troncoso AM. (2002) Sensory evaluation of sherry wine vinegar. J. Sensory Studies, 17, 133-144 

  25. In HY, Lee TS, Lee DS, Noh BS. (1995) Vola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5-240 

  26. Suomalainen H, Lehtonen M. (1978) The production of aroma compound by yeast. J. Inst. Brew., 85, 149-156 

  27. Editorial Committee of Encyclopedia Chimica (1964) Encyclopedia Chimica Vol. 11, p. 110, 811, 847, Vol. 2, p. 481. Kyolis Publishing & Printing Co., Ltd., Tokyo, Japan 

  28. Nishiya T. (1977) Composition of soju. J. Jpn. Soc. Brew.,72, 415-432 

  29. Yuda J. (1976) Volatile compounds from beer fermentation. J. Jpn. Soc. Brew., 71, 818-830 

  30. Lee BY, Yuk JS, Oh SR, Lee HK. (2000) Aroma pattern analysis of various extracts of Agastacbe rugosa O. Kuntice by electron no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16 

  31. Hong HK, Shin HW, Park HS, Yun DH, Kwon CH, Lee KC, Kim ST, Morizumi T. (1996) Gas identification using micro-gas sensor array and neutral-newwork pattern recognition. Sensors Actuators, B33, 68-71 

  32. Seo JH, Park NY, Jeong YJ. (2001) Volatile components in persimmon vinegars by solid phase microextract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53-1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