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부모의 식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a Public Health Center on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nd the Parent's Dietary Attitude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5 no.5, 2010년, pp.593 - 602  

홍미애 (진천군 보건소) ,  최미숙 (충청대학 간호과) ,  한영희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현태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Jincheon Public Health Center on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nd the parents' dietary attitu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 and six-year-old children as well a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충북 진천군 보건소에서 영양교육용 교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 유아의 영양지식, 식습관 뿐 아니라 유아 대상의 영양교육으로 인한 부모의 식태도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일환으로 유아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5, 6세 유아를 대상으로 5주 동안의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전후의 영양지식, 식습관 뿐 아니라 부모의 자녀에 대한 식태도를 조사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 교육군 대상으로는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영양지식을 조사하였으며, 대조군 대상으로는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채 5주의 간격을 두어 영양지식을 2회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는 훈련된 조사자가 한 문항씩 질문 내용을 읽어 주고 유아가 옳다고 생각하는 보기에 직접 표시하도록 하였다.
  •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동질적 대조군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로 교육효과를 분석하여, 교육군의 경우 교육 후 영양지식 점수가 향상된다 하더라도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반복 조사로 인한 영향을 배제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영양지식 점수가 2차 조사에서 유의적으로 향상되었고(Table 4), 연령별로 보면 6세에서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는 어떤 시기이기에 성장 발달에 필요한 충분한 영양공급이 매우 중요한가? 유아기는 영아기에 비해 성장 속도는 느리지만 신체의 성장이 꾸준히 이루어지는 시기로 성장 발달에 필요한 충분한 영양공급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 시기에는 식품기호가 발달하고 식습관 및 식태도가 형성되기 시작하므로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평생의 영양상태와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내용에 있어서 보건소나 보육정보센터 등의 외부기관으로부터 지원 받을 필요가 있는데 충청북도 12개 시군 보건소에서 실시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현황은 어떻게 되는가? 충청북도 12개 시군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아 대상 영양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보면, 2008년에 10개의 보육시설 유아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육 횟수는 1~2회 정도로 대부분이 일회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교육내용으로는 ‘아침밥 먹기’에 대한 교육이 가장 많았고 그 외에 식품구성탑, 식사예절, 골고루 먹기, 우리 몸과 영양소의 관계에 대한 교육이 있었으며, 동화구연, 인형극, 동영상 CD상영, 영양교육 패널 설명 등의 방법을 통해 교육 내용을 전달하였다. 이와 같이 여러 보건소에서 유아에게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교육자료나 교구의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영양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도 보고된 바 없다.
보육교사대상으로 유아 영양교육에 대한 필요성 조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이러한 환경적 변화로 인해 보육시설에서의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93년 조사에서는 보육교사의 92.5%, 원장의 74.1%가 영유아의 영양 및 식사지도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고(Yang 등 1993a), 1997년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에서는 95.1%가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Shin 1997), 2000년에는 전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9.1%가 유아 영양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어(Park & Lee 2000), 점점 많은 교사들이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원장과 보육교사는 유아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으나 영양에 대한 전문 지식 부족으로 교육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에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내용에 적합한 교구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었다(Kim 1998; Lee 등 1999; Park & Lee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ellows L, Cole K, Anderson J (2006): Family fun with new foods: A parent component to the food friends social marketing campaign. J Nutr Educ Behav 38(2): 123-124 

  2. Choi KS (2010):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 education needs among child-care teachers. Korean J Community Nutr 15(1): 137-148 

  3. Choi YS (2008): Nutrition and health of toddlers and preschoolers - current status and issues. Proceedings of 2008 Fall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pp.15-32 

  4. Dunn C, Thomas C, Pegram L, Ward D, Schmal S (2004): Color me healthy, preschoolers moving and eating healthfully. J Nutr Educ Behav 36(6): 327-328 

  5. Dunn C, Thomas C, Ward D, Pegram L, Webber K, Cullitan C (2006):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curriculum for child care settings. Prev Chronic Dis 3(2): A58 

  6. Kang HJ, Kim KM, Kim KJ, Ryu ES (2000): The development and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nutrition support in kindergarten. Korean J Nutr 33(1): 68-79 

  7. Kim IO (1998): A study on the status of health education of kindergartens for preschooler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4(2): 255-264 

  8. Kim IO, Lee JH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measurement of it`s effects. Korean J Nutr 9(1): 46-56 

  9. Kim KH (2006): The effect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in Gyunggi-do. Korean J Community Nutr 11(5): 598-607 

  10.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2007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standard.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 [cited 2010 May 1] 

  11. Lee YM, Chung MR, Kim JH (1999): Evaluation of eating behavio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37(7): 69-81 

  12. Park GA, Lee JH (2000): Child care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nutrition for infants, toddlers & young children. J Korea Open Assoc Early Childhood Education 5(3): 51-65 

  13. Park YM (2007):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 of group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f day-care center children.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14. Shin DJ (1997): Preschool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ttitude to nutri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nutrition knowledge - centered on the Kyongnam area. Korean J Food Nutr 10(2): 219-227 

  15. Shin EK, Lee YK (200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ealth belief model 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center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1(4): 488-501 

  16. Yang IS, Kwak TK, Han KS, Kim EK (1993a): Needs assess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providers. Korean J Nutr 26(5): 639-650 

  17. Yang IS, Kim EK, Bai YH, Lee SJ, Ahn HJ (1993b):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 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 -. Korean J Diet Culture 8(2): 125-137 

  18. Yang IS, Kim EK, Chai IS (1995): The development and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in child-care centers. Korean J Nutr 28(1): 61-70 

  19. Young L, Anderson J, Beckstrom L, Bellows L, Johnson SL (2003): Making new foods fun for kids. J Nutr Educ Behav 35(6): 337-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