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근로자의 업무관련 불안감 및 우울감 경험에 대한 직장폭력의 영향
The Influence of Workplace Violence on Work-related Anxiety and Depression Experience among Korean Employe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5, 2010년, pp.650 - 661  

최은숙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  정혜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김수현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  박현주 (경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ork-related anxiety and depression are frequent work-related mental health problem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work-related anxiety and/or depression among Korean employees was evaluated.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Park & Lee, 2009; Suwazono, Okubo, Kobayashi, Kido, & Nogawa, 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개인적 요인, 근무조건, 사회심리적 작업환경을 고려한 상태에서 직장 폭력이 근로자의 업무관련 불안감 및 우울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직장폭력이 한국 근로자의 업무관련 불안감 및 우울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직장폭력이 근로자의 불안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적 요인, 근무조건, 사회심리적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파악한 것이다.
  • 직장폭력은 근로자의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는 근로자 개인, 가정, 지역사회, 국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심각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장폭력이 업무관련 불안감 및 우울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직장폭력 경험 및 업무관련 불안감 및 우울감의 경험을 파악하고, 개인적 요인, 근무조건, 사회 심리적 작업환경을 고려하였을 때 한국 근로자의 직장폭력이 업무관련 불안감 및 우울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의 자료분석 시 표본추출률과 완료율을 보정하기 위해 가중치를 적용하였는데, 이는 ‘2006년 근로환경조사’의 표본조사 결과가 우리나라 전체 근로환경을 대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구단위를 기준으로 각 층에서 조사 비대상 비율을 파악해 실제 조사대상이 되는 모집단의 구성비를 재산정하는 사후층화추정방법을 사용해 추정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Park et al., 2007).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를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한 “2006년 근로환경조사”(Park, Lee, & Kim, 2007) 자료를 이용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의 대표적인 증상이라고 할 수 있는 업무관련 불안감 및 우울감 경험에 대해 직장폭력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폭력의 문제점은? 2001년 한 해 동안 미국에서는 직장폭력과 관련하여 639건의 사망이 발생하여 업무상 사망원인 중 3번째를 차지하였으며(US Department of Labor, 2002), 유럽연합에서는 근로인구의 2%에 해당하는 3백만 명의 근로자가 직장 내에서 신체적 폭력을 경험했다고 보고하였다(WHO, 2002). 직장폭력은 기업에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기업 이미지에 손상을 주며, 생산성 감소와 근로자의 근무의욕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낳는다. 그러나 폭력으로 인해 나타나는 물리적 영향인 전쟁, 테러, 폭동 등은 가시적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지만, 폭력으로 인한 정신적 영향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WHO, 2002).
근로자의 업무관련 불안감 및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로자의 업무관련 불안감 및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장폭력 이외에도 성별, 연령, 학력, 음주, 흡연 등의 개인적 요인과 경력, 교대근무, 직종 등의 근무조건, 업무부담, 상사와 동료의 지지 등의 사회심리적 작업환경이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an, Kim, & Cho, 1995; Ikeda et al., 2009; Park & Lee, 2009; Suwazono, Okubo, Kobayashi, Kido, & Nogawa, 2003).
한국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장폭력이 업무관련 불안감 및 우울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본 연구의 결론은? 직장폭력은 업무관련 우울감 및 불안감의 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개인적 요인, 근무조건, 사회심리적 작업환경 등의 변수를 보정한 이후에도 직장폭력을 경험한 그룹에서 업무관련 불안감이 4.1배, 우울감이 4.6배 높은 것으로나타나, 근로자의 정신 건강 측면에서 직장폭력 예방에 초점을 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업무관련 불안감의 경험은 근무조건 요인 중 정규직일수록, 근무경력이 높은 군에서 높았으며, 주당 근무시간이 35-45시간에서 불안감의 경험이 가장 낮았고, 교대근무자에서 불안감의 경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심리적 작업환경과 관련해서는 직무요구도와 상사의 지지가 높은 그룹에서 불안감의 경험률이 높았다. 업무관련 우울감은 개인적 특성 중에서 여성, 중졸학력, 음주를 많이 하는 근로자의 경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근무조건 요인과의 관계는 회사규모가 클수록, 고용이 불안할수록, 근무경력 및 주당 근무시간이 높은 그룹에서, 교대근무를 하는 경우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심리적 작업환경요인과 관련해서는 직무요구도가 높은 그룹에서 업무관련 우울감의 경험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yun, C. B., Youn, K., Jung-Choi, K., Cho, Y., & Paek, D. (2009). Depressive symptoms of workplace violence exposed subjec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1, 314-323. 

  2. Carder, M., Turner, S., McNamee, R., & Agius, R. (2009). Workrelated mental ill-health and 'stress' in the UK (2002-05). Occupational Medicine, 1-6(online published). 

  3. Chang, S. J., Koh, S. B., Kang, D., Kim, S. A., Kang, M. G., & Lee, C. G.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 297-317. 

  4. Eriksen, W., Tambs, K., & Knardahl, S. (2006). Work factors and psychological distresses in nurses' aids: A prospective cohort study. BMC Public Health, 6, 1-11. 

  5. Han, I. S., Kim. S. Y., & Cho, Y. C. (1995). A study on the depression mood among textile industrial workers. Chungnam Medical Journal, 22, 33-47. 

  6. Health and Safty Executive. (2008). Labour Force Survey, Self-Reported Work-Related Ill-Health(SWI). Retrieved September 17, 2009, from http://www.hse.gov.uk/statistics/lfs/index.htm 

  7. Hoel, H., Sparks, K., & Cooper, C. L. (2001). The cost of violence/stress at work and the benefits of a violence/stress-free working environment.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8. Hong, M. J. (2009). A study on nurses' experiences of viol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9. Ikeda, T., Nakata, A., Takahashi, M., Hojou, M., Haratani, T., Nishikido, N., et al. (2009).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workers in small- and medium-scale manufacturing enterprises in Jap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51, 26-37. 

  10. Jung, H. Y. (2008).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violence experience, coping and burnout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11. Kamchuchat, C., Chongsuvivatwong, V., Oncheunjit, S., Yip, T. W., & Sangthong, R. (2008). Workplace violence directed at nursing staff at a general hospital in Southern Thailand.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50, 201-207. 

  12. Kim, J. S., & Shin, K. R. (2004). A study on depress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adul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352-361. 

  13. Kim, J. Y. (2000). Drinking, the standardization of data collections and measurements in health statistics. Seoul: Gyechukmunhwasa. 

  14. Kim, S. Y., Ahn, H. Y., & Kim, H. S. (2008). Violence experiences of clinical nurses and nurse aids in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7, 76-85. 

  15. Kingma, M. (2001). Workplace violence in the health sector: A problem of epidemic proportion.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48, 129-230. 

  16. 2007 Korean Health Statistics. (2009. March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trieved March 31, 2010, from http://knhanes.cdc.go.kr/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a).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Retrieved October 10, 2009, from http://www.nso.go.kr/std2006/k07a__0000/k07ab_0000/k07ab_0000.html 

  18.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b).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Retrieved October 10, 2009, from http://www.nso.go.kr/std2006/data/KSCO_6_1.hwp 

  19. Lee, W. H., & Kim, C.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925-932. 

  20. Morita, N., & Wada, I. (2007).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childcounseling office worker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49, 125-133. 

  21. Parent-Thirion, A., Fernandez Macias, E., Hurley, J., & Vermeylen, G. (2007).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Retrieved October 20, 2009, from http://www.eurofound.europa.eu/publications/ htmlfiles/ef0698.htm 

  22. Park, J., & Lee, N. (2009). First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A comparison between South Korean and EU countries. Industrial Health, 47, 50-54. 

  23. Park, J. S., Lee, G. H., & Kim, J. H. (2007). Report on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in 2006.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4. Park, K. C., Lee, K. J., Park, J. B., Min, K. B., & Lee, K. W. (2008).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white-collar male workers in an automotive compan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 215-224. 

  25. Pols, R. G., & Hawks, D. V. (1992). "Is there a safe level of alcohol consumption for men and women"some progress. Drug and Alcohol Review, 11, 339-342. 

  26. Song, Y. H., GongYoo, J. O., Kim, I., & Choi. W.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job stress and intensity of labor among security firm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 283-294. 

  27. Suwazono, Y., Okubo, Y., Kobayashi, E., Kido, T., & Nogawa, K. (2003). A follow-up study on the association of working conditions and lifestyles with the development of (perceived) mental symptoms in workers of a telecommunication enterprise. Occupational Medicine, 53, 436-442. 

  28. US Department of Labor. (2002). National census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in 2001. Washington DC: Author. 

  29. Wang, J. L., Lesaga, A., Schmitz, N., & Drapeau, A.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mental disorders in men and women: Findings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2, 42-27. 

  30. Wieclaw, J., Agerbo, E., Mortensen, P. B., Burr, H. Tuchsen, F., & Bonde, J. P. (2006). Work related violence and threats and the risk of depression and stress disorder.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0, 771-775. 

  3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World report on violence and health. Geneva: Author. 

  32. Yoo, Y. S., Na, C., & Lee, K. H. (1990). A correlative analysis between alcohol use and anxious or depressive trends among psychiatric inpatients. Chung-Ang Journal of Medicine, 15(2), 97-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