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근로자의 작업환경, 사회경제적 상태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비고령 근로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Effects of Working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Status in Elderly Workers: A Comparison with Non-Elderly Worker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8 no.4, 2017년, pp.472 - 481  

이복임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working condi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between elderly and non-elderly workers and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age groups.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extracted from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령근로자가 처해 있는 작업환경과 사회경제적 상태를 파악하고 이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고령근로자 건강보호대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제4차 근로환경조사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55세 이상인 고령근로자 15,980명과 55세 미만인 비고령근로자 32,037명의 작업환경, 사회경제적 상태, 건강수준 결정인자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고령근로자와 비고령근로자의 작업환경, 사회경제적 상태 및 건강수준을 비교하고, 각 연령 그룹에서 건강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의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연령에 따른 건강보호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고령근로자와 비고령근로자의 작업환경, 사회경제적 상태, 건강 수준을 비교하고 연령별 건강수준 결정인자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4차 근로환경조사(2014)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분석연구이며, 비교연구설계(comparative study design)를 기반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인구의 고령화가 매우빠르게 진행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의료기술의 발달, 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국민의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매우 빠른 속도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00년에 고령화 사회(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에 접어들었고, 이후 25년 만인 2025년에 초고령 사회(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1].
고령근로자가 정년에 이르기전에 정규직장을 이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고령근로자는 구조조정, 명예퇴직, 정년제도 등의 이유로 정년에 이르기 전에 정규 직장을 이직하는 일이 많고, 퇴직한 이후 가능한 빨리 새로운 직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열악한 직장에 종사하거나 자영업으로 변경하는 경우가 많다[4]. 또한 고령근로자는 교육수준이 낮고 직업경쟁력이 낮기 때문에 퇴직, 실직 후 양질의 일자리에 편입하지 못하는 특성을 가진다[5].
건강근로자 생존효과란 무엇인가? 이는 고령근로자의 경우 건강문제를 더 많이 느끼고 있긴 하나 이로 인하여 결근하기는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이다. 한편 일부 연구에서는 55~59세 근로자에게서 자기보고 건강수준이 가장 나쁘고 그 이후로는 좋아지는 경향 을 보여주는데[7], 이것은 건강수준이 나이가 들수록 좋아진다 기보다는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근로자들이 노동시장을 떠났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다. 이를 건강근로자 생존효과(healthy worker survivor effect)라고 부른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15-2065. Statistics Report. Daejeon: Author; 2017 Feburuary. Report No.: 11-1240000-000125-13. 

  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5 Survey report on labor conditions by employment type. Labor Condition Report. Sejong: Author; 2016 June. Report No.: 11-1490000-000336-10. 

  3. Statistics Korea. Monthly report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Employment Report. Daejeon: Author; 2017 October. 

  4. Kim YS, Kim BH, Kim HM. A study on occupational accident of older workers and vulnerable working condition. Health & Social Science. 2014;35:309-329. 

  5. Choi SH. The economic review for industry safety and health for ageing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014;6(1):1-12. 

  6. Lee BI. Job and life satisfaction of nonstandard workers in South Korea. Workplace Health & Safety. 2013;61(8):355-363. https://doi.org/10.1177/216507991306100806 

  7. Eurofound. Sustainable work and the ageing workforce. Research Report.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https://doi.org/10.2806/42794 

  8. Taimela S, Laara E, Malmivaara A, Tiekso J, Sintonen H, Justen S, et al. Self-reported health problems and sickness absence in different age groups predominantly engaged in physical work.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2007;64(11):739-746. https://doi.org/10.1136/oem.2006.027789 

  9. Porta M. International epidemiological association. A dictionary of epidemiology. 6r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343 p. 

  10.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The user manual of the 4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Data. Mannual Report. Ulsan: Author; 2016 April.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Wellbing measures in primary health care/The depcare project. Report on a WHO Meeting. Copenhagen: Author; 1998 February. Report No.: EUR/ICP/QCPH 05 01 03. 

  12. Debrand T, Lengagne P. Working conditions and health of European older workers. Working Papers. Paris: IRDES Institut for research and information in health economics; 2008 February. Report No.: DTN8. 

  13. Niedhammer I, Chastang JF, David S. Importance of psychosocial work factors on general health outcomes in the national French SUMER survey. Occupational Medicine. 2008;58(1):15-24. https://doi.org/10.1093/occmed/kqm115 

  14. Leoni T. What drives the perception of health and safety risks in the workplace? Evidence from European labour markets. Empirica. 2010;37(2):165-195. https://doi.org/10.1007/s10663-010-9129-0 

  15. Shirom A, Toker S, Berliner S, Shapira I, Melamed S. The effects of physical fitness and feeling vigorous on self-rated health. Health Psychology. 2008;27(5):567-575. https://doi.org/10.1037/0278-6133.27.5.567 

  16. Grimshaw D. What do we know about low wage work and low wage workers?: Analysing the definitions, patterns, causes and consequences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Working Papers.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11. Report No.: ILO Conditions of Work and Employment Series No.28 

  17. Yun HS. Changes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minimum wage, income support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KDI Focus. 2016;71:1-7. 

  18. Jones MK, Latreille PL, Sloane PJ, Staneva AV. Work-related health risks in Europe: Are older workers more vulnerable? Social Science & Medicine. 2013;88:18-29.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3.03.027 

  19. Kim JH. The experience of ageism and meaning of aging among the Korean elderly by qualitative analysi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15;38(1):69-104. 

  20. Virtanen M, Ferrie JE, Singh-Manoux A, Shipley MJ, Stansfeld SA, Marmot MG, et al. Long working hours and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A 5-year follow up of the WhitehallII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2011;41(12):2485-2494. https://doi.org/10.1017/S0033291711000171 

  21. Lee YJ, Kim HL. Influences of working conditions and health status on absence due to sickness in health and medical related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3):216-226. https://doi.org/10.5807/kjohn.2016.25.3.216 

  22. Choi ES, Jeon KS. The impacts of psychosocial work conditions on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4):300-310. https://doi.org/10.5807/kjohn.2016.25.4.300 

  23. Kim MK, Chung WJ, Lim SG, Yoon SJ, Lee JY, Kim EK, et al. Socioeconomic inequity in self-rated health status and contribution of health behavioral factors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10;43(1):50-61. https://doi.org/10.3961/jpmph.2010.43.1.50 

  24. Gonzales E, Marchiondo L, Ran S, Brown C, Goettge K. Age Discrimination in Workplace and its Association with Health and Work: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y. Boston, MA: Boston University, Research Brief 201502; 2015. 4 p. 

  25. Lee BI. Gender differences in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interactive serv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5;24(2):132-141. https://doi.org/10.5807/kjohn.2015.24.2.132 

  26. Yi YJ, Jung HS. Analysis on female workers' job stress in scales and retail industri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09;18(1):22-32. 

  27. Yoon BJ. Differential effects on self-rated health by socioeconomic clas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6;41(1):35-42. https://doi.org/10.21032/jhis.2016.41.1.35 

  28. Handy JA. Maintaining family life under shiftwork schedules: A case study of a New Zealand petrochemical plant. New Zealand Journal of Psychology. 2010;39(1):29-37. 

  29. Lee SH, Moon EY, Kim BR. A study on family policy for baby boomers in Seoul. Research Report. Seoul: Seoul Foundation of Women & Family; 2014 December. Report No.: 2014-Policy research-06. 

  30. Baek JT, Cho YC.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ur, depressive symptoms and presenteeism among counselors in call cent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6):4086-4097. https://doi.org/10.5762/KAIS.2015.16.6.40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