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유럽의 근로환경조사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working conditions of Korea and Europ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1, 2016년, pp.45 - 65  

김영선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정책제도연구부) ,  양완연 (가천대학교 응용통계학과) ,  백재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정보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근래에 들어 기업 간 경쟁이 심화되고, 경제상황이 불안해지면서 근로시간의 단축은 물론 비정규직이나 시간제 근로자의 양산, 새로운 탄력근무제나 교대제의 도입 등이 일어났고, 따라서 근로시장은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우선 탐색적 자료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KWCS(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와 EWCS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데이터로부터 근로환경의 측면에서 근로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이 어떤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어서 KWCS와 EWCS의 데이터를 가지고 탐색적 자료분석 방법으로 주당 근로시간이 성별, 연령별, 종사상 지위별, 직종별, 산업별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근로자들을 건강이 적어도 좋은 편에 속하는 사람들과 건강이 적어도 나쁜 편에 속하는 사람들로 나누어 두 그룹 간 주당 평균근로시간이 성별, 연령별, 종사상 지위별, 직종별, 산업별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표를 통해 먼저 살펴보고, 주당 평균근로시간을 반응변수로 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건강, 성, 연령, 종사상 지위 등)의 효과를 점검하는 단순회귀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obal competition and unstable economic situation in recent years have brought in adverse working conditions such as proliferation of temporary or part-time workers and new shift system. In this study we use exploratory data analysis metho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me of the important v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탐색적 자료분석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Jang (2013)은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그래픽 탐색적 자료분석 방법의 하나인 재현그림을 사용하였고, Shin (2005)은 스팸메일의 차단율을 높이기 위해 대응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ox plot과 bar plot을 주로 이용 하여 주어진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런 여타 변수들의 영향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다중회귀분석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여타 변수들 중에서 성, 연령, 종사상 지위만을 고려하는 경우 다중회귀분석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 살펴본다. 다중회귀분석에서 설명변수들 중 성 (SEX)의 경우 남성이면 SEX=1, 여성이면 SEX=0으로 두고, 설명변수들 중 연령 (age)의 경우 해당 근로자가 속한 연령대의 변수가 1의 값을 받도록 한다.
  • 여기에서는 건강이 적어도 좋은 편 (매우 좋다 + 좋은 편이다)에 속하는 그룹과 적어도 나쁜 편 (매우 나쁘다 + 나쁜 편이다)에 속하는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주당 근로시간이 어떻게 되는지 보고자 한다. 이로부터 건강이 적어도 좋은 편과 적어도 나쁜 편에 속하는 사람들의 경우 성별, 연령별, 종사상 지위별, 산업별 및 직업별로 근로시간이 얼마나 긴지 알 수 있다.
  • 본 연구의 후반에서는 주당 근로시간을 반응변수로 두고, 건강상태, 성, 연령, 종사상 지위 등을 설명 변수로 잡았는데, 건강을 종속변수로 두고, 이런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설명변수들인 주당 근로시간, 성, 종사상 지위 등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싶을 수 있다. 이 경우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게 되는데, 다음 연구에서는 KWCS 데이터의 경우 적절한 로지스틱회귀분석 모형은 어떻게 나오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외의 연구로는 노동강도와 관련하여 노동강도의 강화와 물리적·심리적 근로환경과의 관련성, 노동강도와 자율성 및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등을 살펴보고, 노동강도의 시계열 추이 등을 통해 해가 지날수록 노동강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로 인해 일부 취약계층은 근로조건이 더욱 나빠져 여러 가지 위험요인에 노출될 수 있으며, 근로자의 건강이나 복지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1, 2, 3, 4차 KWCS 데이터를 바탕으로 근로시간의 변화에 따른 근로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다음 2절에서는 우리나라의 1, 2, 3, 4차 KWCS 데이터와 유럽의 5차 (2010년) EWCS 데이터를 가지고 탐색적 자료 분석 방법을 통해 근로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어떤지 살펴본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1, 2, 3, 4차 KWCS 데이터와 유럽의 5차 EWCS 데이터를 가지고 탐색적 자료분석 방법을 통해 근로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어떤지 살펴보았다.
  • 이외의 연구로는 노동강도와 관련하여 노동강도의 강화와 물리적·심리적 근로환경과의 관련성, 노동강도와 자율성 및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등을 살펴보고, 노동강도의 시계열 추이 등을 통해 해가 지날수록 노동강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시간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습니까? 왜냐하면 근로시간은 사용자의 지휘·감독 하에 있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근로자가 그의 노동력이 사용자의 처분 하에 둔 시간이면 근로시간이 되기 때문이다. 근로시간은 다음의 소정근로시간과 초과근로시간의 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로시간의 단축문제에 대해서 우리나라는 그동안 어떻게 다뤄왔나요? 특히 우리나라 근로자들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장시간 근로를 해왔고, 이에 근로시간의 단축문제는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다. IMF 경제위기 이후에는 일자리 나누어 고실업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근로시간 단축이 논의되어오다가, 이후 경제가 호전되면서 노동계에서는 근로자 삶의 질 향상이라는 또 다른 측면에서 법정근로시간의 단축을 요구해왔다.
고용노동부에 의하면 근로시간이란 무엇입니까? 고용노동부에 의하면 근로시간은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감독 아래 근로계약상의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으로 작업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에서 휴게시간을 제외한 시간, 즉 실 근로시간을 의미한다. 그러나 근로시간은 실제로 사용자가 그 시간에 근로자의 노동력을 경제적 목적을 위하여 사용하였느냐 여부는 문제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J. H. and Lee, K. Y. (2001). The impact of legally shortening of working hour on labor market: Focusing on manufacturing business. Quarterly Labor Trend Analysis, 14, 151-170. 

  2. Burchell, B., M. Gollac, M. Illessy, E. Lorenz, C. Mako, C. O'Brien and A. Valeyre (2009). Working conditions in the European Union: Working time and work intensity,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Luxembourg. 

  3. Hatzfeld, N. (2006). Ergonomie, productivite et usure au travail. Actes de la Recherche en Sciences Sociales, 165, available online at http://www.arss.fr/. 

  4. Hunt, Jennifer (1999). Has work-sharing worked in Germany?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4, 117-148. 

  5. Jang, D. H. (2013). Exploratory data analysis for Korean daily exchange rate data with recurrence plo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1103-1112. 

  6. Jo, J. N. and Jo, K. Y. (2013). Working conditions survey analysis contents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Ulsan. 

  7. Jo, J. N. and Jo, K. Y. (2014). Working conditions survey indicator advancemen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Ulsan. 

  8. Jung, K. H., Gum, H. S., Kwon, I. Y. and Choi, Y. T. (2012). Long working hour practices and system improvement policy employment impact assessment,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ejong. 

  9. Karasek, R. and Theorell, T. (1990). Healthy work: Stress, productivity and the reconstruction of working life, Basic Books, New York. 

  10. Kawaguchi, D., Naito, H. and Izumi Yokoyama, I. (2008). Labor market responses to legal work hour reduction: Evidence from Japan, Economic and Social Research Institute, Cabinet Office. 

  11. Kim, D. S. (2011). The analysis of the working hour on the worker's health and acciden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Ulsan. 

  12. Kim, S. T., Park, W. S., Ahn, J. Y., Jeon, B. Y. and Jung, J. H. (2001). The impact of shortened working hour on the national economy and the society, Korea Labor Institute, Ulsan. 

  13. Kim, Y. S. (2008). The impact of legally shortened working hour on the actual working hour, employment and actual wage.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14, 1-21. 

  14. Kim, Y. S. and Cho, H. H. (2014). First and secon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A comparison between South Korea and EU countri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3, 277-286. 

  15. Lee, J. W. and Millward Brown Media Research. (2014). The 4th working conditions survey micro data user's manue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Ulsan. 

  16. Shin, Y. K. (2005). The Exploratory analysis for spam mail data using correspondenc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6, 1103-1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