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일부 재활전문가들의 방문재활에 대한 필요성 조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Home Visit Rehabilitation Therapy by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Working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2 no.5, 2010년, pp.95 - 102  

이정한 (국민연금공단 장애심사센터) ,  김계엽 (동신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은정 (동신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cessity of home visit rehabilitation therapy by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working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7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social worker, nurse, physical therapist, occupa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장애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재활전문가들이 많이 설문에 응답해주다 보니 다수 종사자인 사회복지사의 의견이 많이 반영되었으며, 현재까지 방문재활을 실시하고 있는 치료사의 응답수가 적어 방문재활의 인식에 대해 보편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재활전문가에 의한 방문재활의 필요성을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재활전문가들에게 조사함으로써 방문재활서비스의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여 효과적인 도입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에 사회복지시설 중 설문에 답한 재활전문가(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특수교사, 사회복지사,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방문재활이 재가장애인에게 필요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 방문재활을 시행할 전문가별로 구분하여 제도 도입의 우선 순위를 알아본다. 또한, 사회복지시설 종별로 구분하여 물리치료사에 의한 방문재활 필요성에 대해 기관 종별 종사자의 인식에 대해 알아본다.
  • 16 재가급여서비스로 방문재활이 필요함에도 현재 급여서비스 부분에 제도화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입장에서 방문재활에 관한 의식수준을 객관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및 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관련종사자 227명의 설문응답을 기초로 재가급여서비스에 방문재활 도입에 관한 의식조사를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에 사회복지시설 중 설문에 답한 재활전문가(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특수교사, 사회복지사,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방문재활이 재가장애인에게 필요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 방문재활을 시행할 전문가별로 구분하여 제도 도입의 우선 순위를 알아본다. 또한, 사회복지시설 종별로 구분하여 물리치료사에 의한 방문재활 필요성에 대해 기관 종별 종사자의 인식에 대해 알아본다.
  • 물리치료사의 재활운동 및 통증치료에 대해 각 기관별로 어떻게 생각하는지 조사해 보았다. 장애인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는 매우 그렇다 40.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및 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관련종사자들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방문재활이 필요한 이유와 기대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물리치료사의 방문재활을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재가장애인의 병원왕래 불편함 해소와 경제적 이득, 잔존기능의 유지 및 향상, 이용자중심의 급여서비스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였다.
  • 본 연구를 위해 설문기관에 협조 공문을 보내어 설문의 취지를 설명하고, 실시간 응답(Online survey)으로 설문이 회수되었으며, 메일을 회신하지 않은 경우 추가메일을 발송하여 협조를 구하여 설문의 회수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일부 설문을 의뢰한 기관 중 직접 내원하여 설문지를 회수하기를 희망하는 곳은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문재활은 무엇인가? 12 이 제도가 노인장기요양제도 시행 이후, 등급외 판정자의 요양급여 대상자로의 진입을 억제하는 보완적 제도로 이용되어지고있다. 방문재활은 기능적, 사회적 문제를 가진 재가장애노인의 의료재활욕구를 충족시키는 적극적인 의료재활서비스로,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의료재활팀을 구성 팀접근 방식으로하여 재활치료가 필요한 수급자를 선정하고 의료재활서비스를 가정방문형태로 제공하는 재가급여 서비스를 말한다.13
국내 고령화 추세는 2000년~2026년도에 어떠한가? 현대의학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국내 고령화 추세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00년에 전체 인구의 7%를 넘어 ‘고령화사회(aging society)’로 진입하였으며, 2019년에는 14.4%로 계속 증가하여 ‘고령사회(age society)’로 진입, 이후 2026년에는 20.8%로 ‘초고령사회(hyper-age society)’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1
방문간호사업이 노인장기요양제도 시행 이후 어떤 대상자의 진입을 억제하는 보완적 제도로 이용되고 있는가?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시행되기 이전부터 보건소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중심재활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을 목표로 장애고령자의 건강욕구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방문간호사업을 시행하였다.12 이 제도가 노인장기요양제도 시행 이후, 등급외 판정자의 요양급여 대상자로의 진입을 억제하는 보완적 제도로 이용되어지고있다. 방문재활은 기능적, 사회적 문제를 가진 재가장애노인의 의료재활욕구를 충족시키는 적극적인 의료재활서비스로,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의료재활팀을 구성 팀접근 방식으로하여 재활치료가 필요한 수급자를 선정하고 의료재활서비스를 가정방문형태로 제공하는 재가급여 서비스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opulation projection by age. 2008. 

  2. Son MS. A study on the necessity of home visit rehabilitation therapy in care management. Sam Y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8. 

  3. Kim EJ. Study of sequallae if discharged 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s and home nursing care need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1991. 

  4. Jeong KH. The debate on comprehensive on the health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aged. A longitudinal study on the aging society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2. 

  5. Crimmins EM, Hayward MD, Saito Y. Changing mortality and morbidity rates and the health status and life expectancy of the older population. Demography. 1994;31(1):159-75. 

  6. Lee YS. A study on the main contents and the point at issue of the law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senior citizens. Kor Insure Acad Soc. 2008;79:163-93. 

  7. Kim EH.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asure of long-term care policy. J Humanit. 2003;8:193-234. 

  8. Oh EJ, Park HS. A study on growing needs for adult day service center in seoule under the new longterm care system. J Kor Inst Heath Archit.2006;12(2):41-50. 

  9. Oh EJ.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and its impact on the elderly care service environments in Korea. Archtec Inst of Kor. 2006;50(11):21-4. 

  10. Choi EY, Kwan SM, Kim CW, Kang JH. Issues in long-term care services in OECD countries and implications for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11. Cha HB, Seok JE, Yang JW. The models on financing and service administration system of long term care; the demonstration project of care management based on community. Kor Associaion of Social Welfare Policy. 2006; 27:115-48. 

  12. Kim YT, Seo K, Lee SJ. A study on the aged home residence rating of CBR research and the assignment: Focused on CBR evaluation of the activity of Kyung-ju city public health center. Kor Soc Welf Aged. 2004;24:101-24. 

  13. Yang YE, Kim ES. A study on the needs about nursing home care physical therapy system. Bull Inst Env Ind. 2000; 9(1):19-28. 

  14. Jang BW. Long term care system in Japan. Gyeonggi-do, Ynangseowon, 2008. 

  15. Evashwick CJ. The continum of long-term care: an integrated system approach. New York, Delmar Publishers, 1996. 

  16. Dhillon V, Hurst N, Hannan J, Nuki G. Association of low general health status, measured prospectively by Euroqol EQ5D, with osteoporosis, independent of a history of prior fracture. Osteoporos Int. 2005;16(5):483-9. 

  17. Kim DH.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s for disabled persons. Dank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1999. 

  18. Lee JS. A study of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model for the physically disabled at home. Dea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1999. 

  19. Park KS. Comparison between the rural and urban elderly receiving pubic assistance on their needs and util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in kyonggi province. 2001;14(1): 175-211. 

  20. Lee IS. Study to development community based home nursing care model. Seoul 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1990. 

  21. Kim CW. Aligning Community-Based Care Management to the Risks for Community-Dwelling Chronically-III Elders. Korea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04;23:5-41. 

  22. Kwan HC, Kim JG. A comparative study of the future demand for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s by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1996;3(2):8-18. 

  23. Yi CH, Lee HJ, Park KH et al. Needs analysis for home rehabilitation services by disabled person in the rural areas.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2002;9(2):61-82. 

  24. Kim EY, Kim CY. Who wants to enter a long-term care facility in a rapidly aging non-western society? Attitudes of older Koreans toward long-term care facilities. J Am Geriatr Soc. 2004;52(12):2114-9. 

  25. Park SH. A study on the life style and in-home service needs of the aged. Wonkwang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8. 

  26. Kim HJ. A study for the introduction of home rehabilitation services in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ly. Inje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0. 

  27. Lee TS, Goo BO. Study of importance of grade decision to enforce the insurance policy for long term care. J Kor Soc Phys Ther. 2008;20(2):43-8. 

  28. Lee IH, Kwon CS, Hand DU et al. Necessity and features of service required for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J Kor Soc Phys Ther. 1999;11(2):6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