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 프로젝트 특성과 프로젝트 성과 난이도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oject Characteristics and Project Performance Level of difficulty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1 no.6, 2010년, pp.78 - 88  

조영선 (아주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차희성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 프로젝트의 대형화, 복잡화에 따라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합리적인 관리전략 수립을 위한 프로젝트 성과측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나 이러한 성공요인은 프로젝트 시공자가 성과 증진을 위하여 실행하는 관리방법과 개선할 수 없이 받아 들어야 하는 프로젝트 고유의 특성이 혼재되어 있어 측정된 성과 자료를 벤치마킹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의 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시공자가 개선할 수 없는 요인을 프로젝트 특성으로 정의, 분류하였으며, 특성에 따른 성과증진에 어려움 정도를 프로젝트 관리 실무자 조사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프로젝트 성과 난이도 지수로 프로젝트 초기단계의 프로젝트 특성 정보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행의 어려움 정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시공자의 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larger and complex construction projects are performed, project performance measurement i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to eliminate inefficiencies and plan to reasonable management practices. So many researchers are conducting research about the project critical sucess factor. But, thes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로젝트 특성에 따른 각 성과 영역의 난이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 pool을 구성하여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연구에서 정의된 프로젝트 특성들이 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 시공자의 노력여하에 따른 개선이 불가능한 요인인 프로젝트 특성은 프로젝트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서 그 정도가 다르며, 특성별 세부항목에 따라 각 성과 영영과의 영향 관계가 다르다. 따라서 위의 표 1에서 정의된 프로젝트 특성의 세부항목과 각 성과영역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프로젝트 성과 난이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특성의 대분류 하위 항목인 소분류의 특성별 세부항목에 대한 7가지 성과 영역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 이러한 성공요인들이 독립적인 변수, 프로젝트에 연관된 요소, 프로젝트 관리 도구 등으로 혼재되어 있으나 각각의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분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시공자 입장에서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초기단계에 결정되며 추후 프로젝트 진행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시공자 스스로가 이들을 리스크로 인식한다 하여도 이를 변화 시킬 수 없는 프로젝트 특성에 대해 정의하였다. 특히, 사업수행 성과결과를 활용하여 추후 프로젝트 성과향상에 적용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을 위해서는 프로젝트 시공자의 노력을 통한 성과 증진의 내용과 프로젝트 본연의 성질, 즉 노력을 통한 성과증진이 불가피한 부분에 대한 구분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 프로젝트 성과난이도 도출에 이용된 29개 프로젝트 관리 실무자의 데이터는 모집단인 건설 프로젝트 전체의 프로젝트 특성에 따른 성과측정 점수를 활용한 것이 아니므로 난이도 지수에 대한 검증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 3개를 선정하여 분석된 프로젝트 난이도 등급과 실제 프로젝트 관리 어려움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성과 난이도의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젝트 성과 난이도 검증을 위한 3개의 실제 프로젝트 데이터 개요는 다음의 표 9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건설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를 점검하고 이러한 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건설 프로젝트 수행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성과 난이도 지수에 대한 실제 진행 프로젝트 데이터로 검증하였다.
  • 이 과정에서는 각 프로젝트 특성의 가중치를 동일하게 가정하였으며, 17개의 특성의 성과 난이도 지수의 평균으로 각 영역의 난이도 등급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예측등급과 설문 응답자가 기입한 해당 프로젝트의 실제 관리의 어려움 정도를 비교하여 프로젝트 성과 난이도 예측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체 3개 프로젝트에 난이도 등급을 계산해 본 결과 표 10와 같이 예측난이도 등급과 설문 응답의 실무자 평가는 각 7개 성과 영역에서 57.

가설 설정

  • 선정된 프로젝트의 특성 설문 결과를 토대로 각 프로젝트 별로 성과영역의 난이도 등급을 예측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각 프로젝트 특성의 가중치를 동일하게 가정하였으며, 17개의 특성의 성과 난이도 지수의 평균으로 각 영역의 난이도 등급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예측등급과 설문 응답자가 기입한 해당 프로젝트의 실제 관리의 어려움 정도를 비교하여 프로젝트 성과 난이도 예측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젝트 특징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은 무엇이 될 수 있는가? 따라서 효과적인 성과측정을 통한 벤치마킹을 위해서는 이러한 프로젝트 특성을 고려한 성과관리가 이루어야 한다. 프로젝트 특징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은 프로젝트 초기단계에 프로젝트의 개략적인 성과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계를 인식함에 따라 프로젝트의 관리 전략 수립에 효율성을 더할 수 있을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는 프로젝트 성공요인 중 시공자의 노력 여하에 따른 성과 증진이 불가능한 요인들은 무엇인가?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는 프로젝트 성공요인 중 시공자의 노력 여하에 따른 성과 증진이 불가능한 요인들은 프로젝트 초기단계에 결정되며 추후 프로젝트 진행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시공자 스스로가 이들을 리스크로 인식한다 하여도 이를 변화시킬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요인은 프로젝트 종류, 규모, 대지조건과 위치 등으로 프로젝트 특징으로 정의 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트 성과 측정 결과를 활용하여 추후 프로젝트 성과향상에 적용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을 위해서는 프로젝트 시공자의 노력을 통한 성과증진의 내용과 프로젝트 본연의 성질, 즉 노력을 통한 성과증진이 불가능한 부분에 대한 구분이 필요하다.
건설 프로젝트의 무엇으로 인해 프로젝트의 실패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건설프로젝트의 공기, 공사비, 품질 측면의 경쟁력 확보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가? 건설 프로젝트의 대형화, 복잡화로 인해 프로젝트의 실패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건설프로젝트의 공기, 공사비, 품질 측면의 경쟁력 확보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건설 프로젝트의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스스로의 수준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프로젝트 관리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건설 프로젝트의 성과측정이 필수적이다(차희성 외 2008, 유일한 2004, 신용일 외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신규철 (2002), "균형성과지표(BSC) 개념의 건설기업 성과평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제3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27-34. 

  2. 신용일, 김한수 (2004), "건설사업 성과측정기법 비교분석 및 성과측정 Best Practice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3), pp.109-116. 

  3. 유일한, 김경래, 정영수, 진상윤(2005)," 건설산업 성과지수 개발을 위한 핵심성과지표 - 건설기업 대상 KPI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1 (2), pp.139-150. 

  4. 유일한, 김경래, 정영수, 진상윤, 김예상(2004), "건설산업의 비교가능한 성과측정 모델 framework",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5 (5), pp.172-182. 

  5. 정규진 외(2009), "2 ${\times}$ 2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에서 이상치 검출을 위한 통계적 방법", 한국통계학회논문집 16권 5호, pp.745-751. 

  6. 차희성외(2008)," 건설프로젝트 효율적 성과관리를 위한 핵심지표 체계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9, n.4, pp. 120-130. 

  7. 차희성 외(2008), "초기단계 프로젝트 특성을 고려한 리스크 평가 및 예측 툴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 9, n. 5,pp. 168-175. 

  8. Albert P.C. Chan 외(2004),"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a Construction Projec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January/February 2004, pp.153-155. 

  9. Anthony D. Songer 외 (1997), "Project Characteristics for successful public-sector design-build",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March 1997, pp.34-40. 

  10. D. K. H. Chua (2006), "CB-Contract: Case-Based Reasoning Approach to Construction Contract Strategy Formulation",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Seprember/October 2006, pp.339-350. 

  11. Du Y. Kim (2008), "Discriminant Analysis for Predicting Ranges of Cos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June 2008, pp.398-410. 

  12. Gena L.Abraham (2003),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Construction Research 2003. 

  13. James E. Diekmann (1995), "Are contract disputes predictabl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December 1995, pp.355-363. 

  14. Sung Ho Park (2009)," Whole Life Performance Assessment_Critical Success Factor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May 2009. 

  15. Xueqing Zhang (2005),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Public_Private Partnerships in Infrastructure Developmen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January 2005, pp.3-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